$\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한라산 남부 지역 분석구 스코리아의 철 화합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ron Compounds of Cinder Cones' Scoria in the Southern Area of Halla Mt.,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6 no.6, 2016년, pp.213 - 218  

고정대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최원준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한라산 중산간지대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스코리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지역 스코리아 시료들에 대한 광물 조성과 산화철원자가 상태 그리고 자기적 성질을 고찰하였다. XRD 분석으로부터 조성 광물을 확인하였으며, $M{\ddot{o}}ssbauer$ 분광법을 통해 시료 내에 존재하는 철 화합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XRD 분석으로부터 구성 광물들은 석영장석 anorite가 주 성분을 이루는 장석 현무암임을 알 수 있었으며, 철 화합물로는 olivine, pyroxene, ilmenite, hematite, magneti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철 화합물에 관한 $M{\ddot{o}}ssbauer$ 분광 분석으로부터 한라산 남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스코리아는 대부분 6중 선의 초미세자기장을 나타내는 hematite와 magnetite로 구성되어 있고, olivine, pyroxene, ilmenite에 의한 2중선들도 함께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전 연구에서 발표했던 제주 서부 지역의 시료들과 비교한 결과, $Fe^{2+}$인 olivine의 I.S.와 Q.S. 값은 각각 1.22 mm/s와 3.09~3.13 mm/s로써 서로 비슷한 구조의 $Fe^{2+}$ olivin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았고, $Fe^{3+}/Fe_{tot.}$의 비율은 85.90~92.82 %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서로 같은 시기에 육상 형성된 시료들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시료 내의 magnetite에 대한 사면체(A site) 면적 비와 팔면체(B site) 면적 비(B/A)를 조사한 결과, 2보다 작은 0.22~0.55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mineral composition on Scoria samples of this area, atomic value state of oxidized steel, and magnetic property in order to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scoria that was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mountainous areas, Halla Mt. of Jeju Island. By XRD analysis, mineral compo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의 특성을 알아 볼 수 있는 이들 분석구의 주성분 스코리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선 회절법 (XRD) 그리고 Mössbauer 분광법을 통해 이들 스코리아 시료 내의 철 화합물에 관하여 고찰하였다[4-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지형의 특징은? 제주도는 한라산(해발 1,950 m)을 중심으로 북동동-남서서 방향의 장축(74 km)과 이에 수직인 방향의 단축(32 km)을 갖는 타원형의 화산섬으로 신생대 제4기 동안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순상화산의 지형으로 그 면적은 약 1,847 km2에 달한다[1, 2].
제주도는 어느시기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는가? 제주도는 한라산(해발 1,950 m)을 중심으로 북동동-남서서 방향의 장축(74 km)과 이에 수직인 방향의 단축(32 km)을 갖는 타원형의 화산섬으로 신생대 제4기 동안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순상화산의 지형으로 그 면적은 약 1,847 km2에 달한다[1, 2].
한라산 중산간지대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스코리아는 어떤 자기장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XRD 분석으로부터 구성 광물들은 석영 및 장석 anorite가 주 성분을 이루는 장석 현무암임을 알 수 있었으며, 철 화합물로는 olivine, pyroxene, ilmenite, hematite, magneti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철 화합물에 관한 $M{\ddot{o}}ssbauer$ 분광 분석으로부터 한라산 남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스코리아는 대부분 6중 선의 초미세자기장을 나타내는 hematite와 magnetite로 구성되어 있고, olivine, pyroxene, ilmenite에 의한 2중선들도 함께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전 연구에서 발표했던 제주 서부 지역의 시료들과 비교한 결과, $Fe^{2+}$인 olivine의 I.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 S. Koh, S. H. Yun, G. B. Hyeon, M. W. Lee, and Y. W. Gil, Jour. Petrol. Soc. Korea 14, 45 (2005). 

  2. K. H. Park, J. S. Ahn, W. S. Kee, and W. B. Park, Guidebook for a Geological Tour of Jeju Island, KIGAM and JDI, Daejeon (2013) p. 15. 

  3. N. H. Yea, S. H. Yun, and J. S. Koh, J. Petrol. Soc. Korea 21, 309 (2012). 

  4. E. Murad, Hyp. Inter. 117, 39 (1998). 

  5. J. G. Stevens, A. Khasanov, J. W. Miller, H. Pollak, and Z. Li, Hyp. Inter. 117, 71 (1998). 

  6. J. M. R. Genin, G. Bourrie, F. Trolard, M. Abdelmoula, A. Jaffrezic, P. Refait, V. Maitre, B. Humbert, and A. Herbillon, Environ. Sci. Technol. 32, 1058 (1998) 

  7. E. De Grave, S. G. Eeckhout, and C. A. McCammon, Hyp. Inter. 122, 21 (1999). 

  8. Y. K. Sohn and K. H. Park, J. Volcanol. Geotherm. Res. 141, 157 (2005). 

  9. B. D. Cullity,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Addition-Wesley (1978) pp. 281-292. 

  10. V. G. Bhide, Mossbauer Effect and its Application, Tata Mcgraw-Hill, New Deli (1973) pp. 273-274. 

  11. C. S. Lee and C. Y. Lee, J. Korean Magn. Soc. 7, 232 (1997). 

  12. S. Steinthorsson, O. Helgason, M. B. Madsen, C. B. Koch, M. D. Bentzon, and S. Morup, Mineral. Mag. 56, 185 (1992). 

  13. Canil and O'Neill, J. Petrol. 37, 609 (1996). 

  14. S. R. Hong, G. Haley, and J. G. Mullen, Hyp. Inter. 57, 2221 (1990). 

  15. T. S. Duffy and D. L. Anderson, J. Geophys. Res. 94, 1895 (1989). 

  16. J. J. Fripiat, Advaced techniques for clay mineral analysi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Oxford, New York (1982) pp. 122-126. 

  17. Z. Adamczyk, J. Komraus, and T. Maczynski, Geol. Q. 44, 405 (2000). 

  18. G. M. da Costa, E. G. da Silva, and M. F. de Jesus Filho, Hyp. Inter. 67, 501 (1991). 

  19. J. Sitek, K. Sedlackova, and J. Dekan, Proc. of the Applied physics of condensed matter of the 19 th International conference (2013) p. 66. 

  20. A. A. Ariskin and A. A. Yaroshevsky, Geochem. Int. 44, 72 (2006). 

  21. J. D. Ko, New Phys.: Sae Mulli 63, 577 (2013). 

  22. W. J. Choi and J. D. Ko, New Phys.: Sae Mulli 66, 121 (2016). 

  23. S. Yoon, W. H. Hyun, and C. Y. Jung, J. Geol. Soc. Korea 41, 481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