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바느질기법에 대한 연구 I - 트임 보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wing Methods of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Reinforcing the Opening of Cloth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8, 2008년, pp.120 - 136  

구남옥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sewing methods used to reinforce the opening of clothes of the Joseon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a total of 117 clothing items of the Joseon peri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ost costumes of the Joseon period had the opening. The purpose of the opening was to ...

주제어

참고문헌 (71)

  1. 금종숙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정 (2006). 광주출토 조선전기 적성이씨(여. 1458-1538) 저고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문공화 (2004). 조선시대 단령의 착용규례와 실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서지혜(2001).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15-17세기 철릭의 구성과 바느질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안명숙 (200) 김덕령장군 묘 출토복식의 실태와 바느질법 연구. 광주대학교 민족문화예술연구소 논문집, 11 

  6. 안인실 (2001). 조선시대 여자바지 연구 : 유물의 구성과 복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정자 (1992). 16-17세기 저고리의 바느질기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황조 (2006). 조선시대 액주음의 조형적 특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장인우 (2001). 출토복식을 통해본 17세기 봉제구성 - 임경백. 임계백 묘 중심-. 복식, 51(1) 

  10.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솜철릭 구성에 대하여. 복식, 52(8) 

  11. 정경임 (2003). 고려후기 요선철릭에 관한 연구 : 해인사 유물 부원 재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광희 (1984). 단령 및 창의 봉제에 관하여. 복식, 8 

  13. 진현자 (2007). 조선 전기 단령의 모양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자료검색일 2008. 4. 26, 자료출처 http://krdi세기.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40093900&query1A040093900#A040093900 

  15. 자료검색일 2008. 4. 26, 자료출처 http://engdi세기.daum.net/dicen/view_detail.do?q%세기6%AE%c0%세기세기%B4%D9&qaliasK856530 

  16. 라사라 복식대사전 

  17. 심수륜 (1534-1589: 심수륜묘출토복식 (2004), p. 198) 

  18. 정응두(1508-1572: 한국복식 9 (1991), p. 172) 

  19. 이석명(1513-1583: 이석명묘출조복식조사보고서 (2000), p. 56) 

  20. 벽진이씨(?-1985: 조선전기출토복식연구 (1988), p. 235) 

  21. 강대호(1541-1624: 한국복식 23 (2005), p. 86, p. 90, p. 92, p. 96) 

  22. 이익정 바지(1699-1782: 명선 중, p. 154). 개구멍바지(우리옷과 장신구 (2003), p. 271) 

  23.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54 

  24. 영친왕 바지 (1922: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2002), pp. 244-245) 

  25. 자료검색일:2008. 4. 20.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pages/portal/search/full.jsp?dbNoArr3&docNo00117405 

  26.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시대풍속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198 

  27.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발달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300 

  28.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시대풍속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209 

  29. 이경자 외2인 (2003).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71 

  30. 박성실, 고부자 (1992). 서울시 하계동 출토 문화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0 

  31. 이동아 (2006). 이응해 출토복식의 직령포와 창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32. 이순원 외2인 (2000).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박물관, p. 68 

  33.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122 

  34. 송미경 (2004) 심수륜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심수륜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22 

  35. 고복남 (1986). 한국전통복식사연구. 서울: 일지사, p. 358 

  36. 박성실 (1988).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 

  37. 이순원 외2인 (2000).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박물관, p. 61 

  38. 이상은 (2004). 이응해 출토복식 연구.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충북: 국립충주박물관, p. 149 

  39.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박물관, p. 78 

  40. 박성실 외2인 (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200 

  41. 고부자 (2003). 충남 예산 출토 파평윤씨 유물연구. 한국복식, 21.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00 

  42. 이경자, 홍나영 (1998). 개성복식의 연구.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113 

  43.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93 

  44. 이은주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 보고서. 경북: 안동대학교박물관, p. 200 

  45. 김영재 (2004). 이응해 출토복식의 바느질법과 특성.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충북: 국립충주박물관, p. 163 

  46.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 유물. 한국복식, 23.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96 

  47. 송미경 (2004) 심수륜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심수륜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71 

  48.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236 

  49.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172 

  50. 이은주 외2인 (2005).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73 

  51. 송미경 (2007). 김확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 102 

  52.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235 

  53. 서울역사박물관 (2003). 조경묘출토유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 51 

  54.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 유물. 한국복식, 23.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85 

  55.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192 

  56.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6 

  57.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8 

  58. 한국복식문화사전. 검색어:개밑단추. 자료검색일 2008. 5. 22, 자료출처 http://gate.dbmedia.세기o.kr/dressing/index.htm 

  59. 유희경 외2인 (1989). 염습의. 안동김씨분묘조사발굴보고서. 충남: 온양민속박물관, p. 185 

  60. 유희경, 김미자 (1991). 출토복식. 진주하씨묘출토문헌과 복식조사보고서. 진주: 건들바우박물관, p. 99 

  61. 김영숙 (2002).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서울: 신유, p. 268 

  62.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p. 117 

  63.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p. 126 

  64. 고부자, 박성실 (1995). 경주출토 동래정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8, pp. 95-96 

  65. 이은주 (2003). 동래정씨 흑곡공일가 남자묘에서 출토된 복식류.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p. 182-183 

  66. 고부자 (2001). 충남 예산 출토 파평윤씨 유물 연구. 한국복식, 21.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96 

  67. 송미경 (2007). 김확합장묘 출토복식 연구. 김확합장묘 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78 

  68. 송미경 외3인 (2005). 연안김씨묘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연안김씨묘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256 

  69. 고부자 (1999). 일영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7.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66 

  70.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성주이씨 대사헌공 언웅묘 복식고찰. 한국복식, 20.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31 

  7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4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