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벌당의(唐衣)에 관한 연구 I - 겹당의 유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f Double-Layered Dangui I - Focusing on the Remains of Double-Layered Dangui -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9, 2009년, pp.87 - 96  

구남옥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ngui is a formal dress of the wives of high officers and royalty in Chosun Dynasty and it was worn as a day dress in palace and a semi-ceremonial dress in upper-class households. Among the remains of Dangui a double-layered Dangui was found in which two sets of Dangui were combined to be worn 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칭하고 있었다. 홑당의 2벌로 구성된 당의도 존재하기 때문에 4겹당의라 칭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자는 두벌당의로 명하여 논문을 전개하고자 하며, 편의상 겉에서 보이는 당의는 겉 당의, 안에 끼워진 당의를 내작당의라 칭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혜진 (2001). 당의에 관한 연구: 궁중 '발기'와 유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46 

  2. 김은희 (2007). 조선시대 당의 변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05 

  3. 박성실 (2006). 전왕비당의.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77 

  4. '발기'가 궁중문서이므로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논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음을 밝힌다 

  5.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V.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18 

  6.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주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76-79, pp. 270-273 

  7. 권혜진 (2001). 앞의 책, p. 23 

  8. 김소현 (2009). 가례 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복식, 59(3), p. 102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 12, 영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33, 36, 69, 73, 100, 164 

  10. 우종윤 (2006). 한성부 판윤 김원택 묘역 출토복식 수습. 한성부 판윤 김원택 묘역 출토복식, 충북: 충북대학교박물관, pp. 91-92 

  11. 2009년 3월 17일 본인 촬영 

  12. 석주선기념박물관 (1996). 의 서울: 석주선기념박물관, p. 104 

  13.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앞의 책, p. 118 

  14. 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복식유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236 

  15.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 하. 서울: 석주선기념박물관, p. 128 

  16. 김은희 (2007). 조선시대 당의 변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07 

  17. 문화재청. 앞의 책, p. 273 

  18. 위의 책, p. 273 

  19. 위의 책, p. 272 

  20. 충북대학교박물관 (2008). 조선시대 여인의 옷. 충북: 충북대학교박물관, p. 29 

  21. 문화재청. 앞의 책, p. 77 

  22. 위의 책, p. 79 

  23. 구남옥 (2008). 조선 후기 복식에 나타난 합봉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58(9), p. 13 

  24. 김영숙 (2002). 조선조후기궁중복식. 서울: 신유, p. 76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