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삼 추출물의 향균 활성 및 첨가 설기떡의 품질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and It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ulgidduk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3, 2009년, pp.321 - 331  

최해연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단삼항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 활성을 검색하였고, 실제 식품에의 이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삼의 에탄올 추출물을 0, 0.25, 0.5, 0.75, 1% 농도가 되게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여 0, 1, 2, 3, 4일 동안 $20^{\circ}C$항온기에 저장하면서로 수분 함량, 색도, 조직감, 총균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단삼을 건조시켜 분쇄한 후 95% ethanol로 추출, 농축한 것을 ethanol에 10% 농도로 희석하여 1,000, 2,000, 3,000, 4,000 ${\mu}g$/disc 농도씩 되게 첨가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E. coli와 B. subtilis에 대한 항균 활성은 disc에 점적한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inhibition zone의 크기가 증가하여 1,000 ${\mu}g$/disc 농도에서 각각 9, 11 mm의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S. aureus는 3,000 ${\mu}g$/disc 농도에서 8.5 mm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대조군과 단삼 추출물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명도 (L값)는 단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단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조직감에서 견고성과 점착성, 씹힘성은 단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은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별로 살펴봤을 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결과, 단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고, 특성 강도 검사결과에서는 단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특성 강도 점수도 증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항균 활성이 있는 단삼 추출물을 설기떡 제조시 멥쌀가루에 0.5% 첨가한 군이 수분, 색, 기계적 texture에서 대조군과 단삼 추출물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고, 총균수에서는 저장 1일까지 초기 균수를 유지하였으며, 저장 4일까지도 미생물의 증식이 105 CFU/g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 우수한 보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품질 평가에 중요한 요인인 기호도 검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으므로, 0.5% 단삼 추출물 첨가가 설기떡에 대한 보존 효과와 품질 특성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천연 대체 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alvia miltiorrhiza Bunge(Danshen) powder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ethanol extract of the Danshen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inhibition zones of the Da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식품 부패 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Escherichia coli의 생육저해력을 paper disc법으로 측정 하고, 단삼의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균 활성이 있는 단삼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단삼 설기떡을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수분, 색도, 기계적 texture,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 기능성이 있는 단삼 설기떡의 최적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삼은 무엇인가? 특히 천연색소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하다고 간주된 것들로 대부분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기능적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질병의 예방, 생체 조절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해 식생활과 관련된 성인병의 가장 좋은 대처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Yoon & Kim 1999). 단삼 (Danshen, Salvia miltiorrhiza Bunge)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중국이 원산지로서 드물게는 약용으로 재배하고 굵은 뿌리의 표피에 적색 색소가 침착되어 있다. 말린 근경(rhizome)을 한약재료도 쓰이며 혈관 확장, 진정 진통 작용,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ng & Eisenbrand 1992).
단삼의 주요 화학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단삼의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tanshinone Ⅰ, ⅡA, ⅡB 등을 포함하는 diterpene 화합물과 danshensu, protocatechuic aldehyde, salvianolic acid B 등을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들, 그 외에 baicaline, β-sitosterol, ursolic acid, vitamin E와 tannin 등이 알려져 있으며(Fugh-Berman A 2000), 단삼의 밝혀진 생리활성으로는 항균(Mok 등 1994; Mok 등 1995; Choi & Han 2003), 항산화(Kang 등 2003), 항암(Kim 등 1999), 항돌연변이(Ahn 등 1999), 단삼 유래 magnesium salvianolate의 간염에의 효과 (Hase 등 1997), 항혈전 효과(Yang 등 2007) 등이 있다.
단삼의 말린 근경을 한약재료도 쓰는데 이것은 무슨 작용을 하는가? 단삼 (Danshen, Salvia miltiorrhiza Bunge)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중국이 원산지로서 드물게는 약용으로 재배하고 굵은 뿌리의 표피에 적색 색소가 침착되어 있다. 말린 근경(rhizome)을 한약재료도 쓰이며 혈관 확장, 진정 진통 작용,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ng & Eisenbrand 1992). 단삼은 피를 맑게하여 혈액 순환에 효능이 있어 혈액 응고를 방지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전 형성을 억제시키는 생약으로 한방에서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 복통 및 어혈의 심복부동통, 타박상의 치료와 불면증, 피부 발진 등의 약재로 쓰인다(Kim JK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BY, Kim DG, Choi DS. 1999. Antimutagenic effect of tansen(Salvia miltiorrhiza Bung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197-202 

  2. Bae YJ, Hong JS. 2007. The quality che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with buchu(Allium tuberosum R.)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827-833 

  3. Cho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aprika. Korean J Cookery Sci 24:333-339 

  4. Choi E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loe vera sap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2:330-335 

  5. Choi HY, Han YS.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sam(Salvia miltiorrhiza Bunge). J Food Sci Nutr 32:22-28 

  6.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148-155 

  7. Eun SD,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3-30 

  8. Fugh-Berman, A. 2000. Herbs and dietary supplemen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escular disease. Prev Cardiol 3:24-32 

  9. Han JS, Shin DH, Yun SE, Kim MS. 1994. Antimicrobial effects on Listeria monocytogenes by some edible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545-551 

  10. Han JY, Lee HG.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Korean J Cookery Sci 18: 164-172 

  11. Hase K, Kasimn R, Basnet P, Kadota S, Namba T. 1997. Preventive effect of lithospermate B from Salvia miltiorrhiza on experimental hepatiti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r D-galactosamine/lipopolysaccharide. Planta Med 63:22-26 

  12. Hong HJ, Choi JH, Yang JA, Kim GY.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5:224-230 

  13. Hwang J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P. japonica and P. suffruticosa and their effects of processed foods. Ph.D.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14. Hwang SJ, Kim JW. 2007. Effect of root power of balloon 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77-82 

  15. Hwang SJ, Yoon S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ok added with Aloe pow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50-658 

  16. Jhee KH, Choi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n var. gom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601-607 

  17. Joung HS.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cksulgi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37-642 

  18. Jun MK, Kim MY, Chun S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Ulmus cortex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1-38 

  19. Kang HS, Chung HY, Byun DS, Choi JS. 2003. Further isolation of antioxidative (+)-1-hydroxypinoresinol-1-O- $\beta$ -D-glucoside from the rhizome of Salvia miltiorrhiza that acts on peroxynitrite, total ROS and 1,1-dipheneyl-2-picrylhydrazyl radical. Arch Pharm Res 26:24-27 

  20. Kim BH, Yoon SJ, Jang MS. 2005. Effect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1:895-907 

  21. Kim GY, Kang WW, Choi SW. 199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ersimmons leave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61-466 

  22. Kim JK. 1989. Illustrated Natural Gruges Rncyclopedia, p160. Namsandong Publishers, Seoul, Korea 

  23. Kim OH, Chung SY, Park MK, Rheu HM, Yang JS. 1999. Anticancer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including Salvia miltiorrhiza. J Appl Pharmacol 7:29-34 

  24. Kim SI, Han YS.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Soc Food Sci 13:56-63 

  25. Kim SJ. 1998. Inhibitory effect of green laver on the growth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26. Kim YH, Han YS, Paik JE, Song TH. 2003.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in Dansam(Salvia miltiorrhiza) and additional effect on the shelf-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Korean J Food Cookery Sci 19:463-469 

  27. Kim YS. 2008. Addition ratio of buckwheat vegetable powder (Fagopyrum esculentum Moen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 Nutr 21:436-442 

  28. Lee HG, Kim HJ,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onghwa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05-513 

  29. Lee HG, Lee EM,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ay Sci 21:422-432 

  30. Lee KA. 1999. Effect of wild plants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31. Lee YK. 1995.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innamon and clove extracts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Ph.D.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32. Miller L, Berger T. 1985. Bacteria identification by gas chromatograph of whole cell fatty acid. In Hewlett-Packard application note, pp.228-267. Hewlett-Packard Co 

  33. Mok JS, Kim YM, Kim SH, Chang DS. 1995. Antimicrobial proper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J Fd Hyg Safety 10:23-28 

  34. Mok JS, Park UY, Kim YM, Chang DS. 1994. Effect of solvents and extracting conditio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radix(Salvia miltiorrhiza) extract. J Food Sci Nutr 23:1001-1007 

  35. Oh HE,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fresh sweet potato.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01-510 

  36. Park UJ, Park US, Im MH, Kim HJ, An JS, Cho JY, Heo BG. 2008. Antibiotic activities of flower and leaf extracts from four species of white Lotus. J Life Sci & Nat Res 30:25-34 

  37. Roh HJ, Shin YS, Lee KS, Shin MK. 1996.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cooked rice putrefactiv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6-71 

  38. Shin MJ, Park YM.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iogap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Asian Soc Dietay Life 16:747-752 

  39. Son KH, Park D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77-986 

  40. Speck ML. 1984.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2nd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41. Tang W, Eisenbrand G. 1992.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p891. Springer-Verlag, New York 

  42. Yang SA, Im NK, Lee IS. 2007.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83-87 

  43. Yoon HH, Kim MS. 1999. Some natural food colorants. Food Industry and Nutr 4:24-38 

  44. Yoon SJ, Choi B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Lotus root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31-438 

  45. Yoon SJ, Lee M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575-580 

  46.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Lotus leaf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33-442 

  47. Zaika LL. 1988. Spices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J Food Safety 9:9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