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쥐의 비만과 혈중 생화학적 지표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Lycii folium Leaves on Obesity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2, 2009년, pp.1707 - 1711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순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원종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화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3주 동안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비만쥐에게 10%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을 1 mL/day로 8주간 경구투여한 후비만도, 혈중 지질, homocysteine, leptin, ghrelin, glucose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구기엽 추출물의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비만도의 경우 일반식이 비만군의 Rohrer index와 Lee index는 FO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M. index는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FLEO 군은 모든 비만지수가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구기엽 추출물이 비만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BO 군의 혈중 중성지질은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반면,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은 혈청 지질, homocysteine, leptin, ghrelin, glucose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만쥐에서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는 혈중 지질이 나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만도를 낮춰 비만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Lycii folium (L. folium) leaves on obesity index, serum lipids, homocysteine, leptin, ghrelin, and glucose in obese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rated high-fat diets to induce obesity. Then, obese rats were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작용과 생리기능 성분이 풍부한 구기엽의 항비만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만 유도한 흰쥐에 있어 구기엽 추출물의 섭취가 비만도, 혈중 지질, homocysteine, leptin, ghrelin, glucos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JS. 2000.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new variety of Chungyang Gugij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 You SY. 1988. Medicinal plant culture. Ohsung Press Co., Seoul, Korea. p 244-253 

  3. Lee BC, Park JS, Kwak TS, Moon CS. 1998. Variation of chemical properties in collected boxthorn varieties. Korean J Breed 30: 267-272 

  4.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s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352-357 

  5. Kim HS, Park YS, Kim CI. 1998. Changes of serum lipid profiles after eating Lycii fructu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31: 263-270 

  6. Han SH, Park SH. 2008. Effect of Lycii fructu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1% cholesterol fed rats. Korean J Food Culture 23: 521-528 

  7. Kim OK. 2008.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Lyci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il Chemists Soc 25: 73-82 

  8. Kim OK. 2009.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Lyci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Pharmacogn 40: 128-136 

  9. Park YJ, Kim MH, Bae SJ. 2002.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Lycii fructus with vitamin 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43-148 

  10. Kim NJ, Youn HG, Hong ND. 1994. Pharmacological effects of Lycium chinesis. Korean J Pharmacogn 25: 264-271 

  11. Kim KS, Shin SH, Jeong KH, Cheong CS, Ko KH, Park JI, Hur H, Lee BJ, Kim BK. 1998. Antidiabetic activity of constituent of Lycii fructus. Biomolecules & Therapeutics 6: 378-382 

  12. Yoon CG, Kim HH, Chae SN, Oh MJ, Lee GH. 2001. Hepatic oxygen free radical and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Lycium chinese 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68-672 

  13. Park WJ, Lee BC, Lee JC, Lee EN, Song JE, Lee DH, Lee JS. 2007. Cardiovascular biofunction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ugija (Lycium chinesis mill) species and its hybrids. Korean J Med Sci 15: 391-397 

  14. Aviva M, Jennifer S, Eugenie HC, Alison EF, Graham C, William HD. 1999.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282: 1523-1529 

  15. Kim TS, Park WJ, Ko SB, Kang MH. 2008. Development of extracts of Lycii folium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18-1322 

  16. Kim HS, Sung CJ. 2001. Effects of dietary zinc and iron levels on serum trace minerals and obesity index in high fat diet-induc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25-330 

  17. Kang JH, Kim KA, Han JS. 2004. Korean diet and obesity. Korean J Obesity 13: 34-41 

  18. Kim SW, Moon SJ, Popkin BM. 2001.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Am J Clin Nutr 71: 44-53 

  19. Youna WG, Kim NJ, Hong ND. 1994. Pharmacological effects of Lycium chinese. Korean J Pharmacogn 25: 264-271 

  20. Chung HK, Choi CS, Yang EJ, Kang MH. 2004. The effect of Lycii fructus beer intake on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52-60 

  21. Fonseca V, Guba SC, Fink LM. 1999. Hyperhomocysteinemia and the endocrine system: implications for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 Endocr Rev 20: 738-759 

  22. Graham IM, Daly LE, Refsum HM. 1997. Plasma homocysteine as a risk factor for vascular disease. The European Concerted Action Project. JAMA 277: 1775-1781 

  23. De Laet C, Wautrecht JC, Brasseur D, Dramaix M, Boeynaems JM, Decuyper J, Kahn A. 1999.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a Belgian school-age population. Am J Clin Nutr 69: 968-972 

  24. Fasshauer M, Paschke R. 2003. Regulation of adip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Diabetologia 46: 1594-1603 

  25. Kojima M, Hosoda H, Date Y, Nakazato M, Matsuo H, Kangawa K. 1999. Ghrelin is a growth-hormone-releasing acylated peptide from stomach. Nature 402: 656-660 

  26. Kim JY, Shin HW, Jeong IK, Cho SW, Min SJ, Lee SJ, Park CY, Oh KW, Hong EG, Kim HK, Kim DM, Yu JM, Ihm SH, Choi MG, Yoo HJ, Park SW. 2005. The relationship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to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uman obesity. Korean J Medicine 69: 631-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