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업 메세나활동의 동기를 개관하여 보고, 한국기업의 메세나활동의 실태와 애로점을 분석한 이후, 마케팅 관점에서의 메세나론으로 지향하기 위해 메세나활동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기업 메세나활동의 동기로는 문화투자론적 관점, 즉 기업이미지 개선, 마케팅관점, 세제혜택 등 기업의 사적인 이익과 직결되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공헌과 책임은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의 메세나활동을 조사한 결과, 1996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평균증가율은 지원건수 기준으로 18.45%, 지원금액 기준으로 15.27%의 견조한 증가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 메세나활동의 효과로서 Kotler와 Scheff는 기업의 예술 후원이 앞으로 마케팅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호주문화 인문학재단과 앤더슨은 문화투자로서 기업 메세나활동의 효과를 기업측면, 시장측면, 그리고 종업원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는 기업의 정당성, 시장우위, 종업원혜택의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의 메세나활동은 philanthropy관점보다는 마케팅관점에 입각한 메세나론이 보다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효율성과 유효성을 위해서는 마케팅관점에 입각한 메세나론으로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업 메세나활동의 동기를 개관하여 보고, 한국기업의 메세나활동의 실태와 애로점을 분석한 이후, 마케팅 관점에서의 메세나론으로 지향하기 위해 메세나활동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기업 메세나활동의 동기로는 문화투자론적 관점, 즉 기업이미지 개선, 마케팅관점, 세제혜택 등 기업의 사적인 이익과 직결되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공헌과 책임은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의 메세나활동을 조사한 결과, 1996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평균증가율은 지원건수 기준으로 18.45%, 지원금액 기준으로 15.27%의 견조한 증가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 메세나활동의 효과로서 Kotler와 Scheff는 기업의 예술 후원이 앞으로 마케팅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호주문화 인문학재단과 앤더슨은 문화투자로서 기업 메세나활동의 효과를 기업측면, 시장측면, 그리고 종업원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는 기업의 정당성, 시장우위, 종업원혜택의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의 메세나활동은 philanthropy관점보다는 마케팅관점에 입각한 메세나론이 보다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효율성과 유효성을 위해서는 마케팅관점에 입각한 메세나론으로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ultimately making more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ecenat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motives of such activitie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ultimately making more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ecenat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motives of such activitie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ose activiti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motive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which is identified from the view of cultural investment, and direct corporate profits like tax favor, from the view of marketing. Regarding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P. Kotler and J. Scheff suggested that in future, corporate supports to art would be the most remarkable part of marketing. In association, the Australian Foundation for Culture & Humanities and Arthur Andersen described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in form of cultural investment largely in terms of business, market and employees. In a similar vein, the Korea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classifies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largely into three, corporate legitimacy, market advantage and benefit to employees. In relation to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now, the theory of mecenat which i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is considered more persuasive than that which is pro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anthropy. For more corporat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conclusion, it's needed to orient the theory of mecenat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ultimately making more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ecenat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motives of such activitie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ose activiti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motive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which is identified from the view of cultural investment, and direct corporate profits like tax favor, from the view of marketing. Regarding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P. Kotler and J. Scheff suggested that in future, corporate supports to art would be the most remarkable part of marketing. In association, the Australian Foundation for Culture & Humanities and Arthur Andersen described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in form of cultural investment largely in terms of business, market and employees. In a similar vein, the Korea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classifies the effects of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largely into three, corporate legitimacy, market advantage and benefit to employees. In relation to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now, the theory of mecenat which i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is considered more persuasive than that which is pro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anthropy. For more corporat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conclusion, it's needed to orient the theory of mecenat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