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모델에 기반한 다채널 시계열 데이터 EEG의 특징 분석
Feature Analysis of Multi-Channel Time Series EEG Based on Incremental Model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B. Part B, v.16B no.1, 2009년, pp.63 - 70  

김선희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  양형정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  정종문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CI 기술은 생체신호인 뇌파를 수집하여 신호처리를 거친 후 실질적인 기기제어 및 통신 시스템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련 기술이다. BCI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뇌파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학습 시키고 학습된 뇌파의 특성을 적용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EEG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갱신되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왼손/오른손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EEG 신호의 특징을 찾고, 이를 반영하여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한다. 입력 자료의 특징을 충분히 포함하면서 낮은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를 이용한다면 분류를 위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특징을 제거함으로써 분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진적으로 갱신되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고 이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K-NN분류기를 이용하여 분류 정확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분류율을 측정한 경우보다 평균 5% 높은 분류 정확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CI technology is to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or machines by brain signal among biological signals followed by signal process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BCI systems, it is requi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signal are learned and analyzed in real-time and the learned character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azarika는 단일 채널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를 4-레벨의 웨이블릿 변환을 한 다음 각 레벨에서 제일 큰 웨이블릿 계수와 두 번째로 큰 계수를 선택한 후, 이들을 입력으로 학습데이터를 구성하였다[12]. 또한 [2]에서도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recurrent 신경망(RNNs)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간질 발작에 관한 예측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4]에서는 오른쪽, 왼쪽 손의 움직임을 상상할 때 측정된 데이터에 적응적 AR 모델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특징을 찾고 이를 분류 학습에 이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는 뇌파 데이터에 시간적 특성을 고려하는 점진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였다. 방향성을 띄는 실제 동작을 행하는 동안 동작과 관련된 EEG데이터에 점진적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동작과 관련된 특징을 포함하는 은닉변수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방법을 EEG 데이터에 적용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데이터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는 특징을 추출하였다. 또한 분류 학습을 위하여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여 분류 학습데이터를 구성하였다.

가설 설정

  • 그 결과 주성분 분석과 점진적 주성분 분석 모두의 경우 주성분 구성요소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재현 에러율의 값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실험에 이용되는 뇌파 데이터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가장 낮은 에러율을 가지는 차원으로 데이터를 축소한다. 또한 점진적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였을 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경우보다 낮은 평균 재현 에러율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CI 기술는 어떤 기술인가? BCI 기술은 생체신호인 뇌파를 수집하여 신호처리를 거친 후 실질적인 기기제어 및 통신 시스템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련 기술이다. BCI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뇌파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학습 시키고 학습된 뇌파의 특성을 적용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뇌파 분석을 위한 특징 추출 방법에서 뇌파 데이터 분류율 측정이 위해 사용하는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중 [1]에서는 다차원 특징 벡터로 이루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높은 차원에서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낮은 차원으로 차원을 축소시키는 다변량 데이터 처리 방법 인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각 전극에서 측정된 뇌파를 전극 수와 같은 개수의 성분으로 분리하였다[1]. [22]에서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LDS(linear dynamic system)와 HMM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하여 뇌파 데이터의 분류율을 측정하였다. 위에 소개된 대부분의 방법들은 일반적인 뇌파 분석을 위한 특징 추출 방법으로 예측이 어려운 시계열 데이터인 뇌파 데이터의 경우 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EEG란 무엇인가? EEG(electroencephalography)란 뇌의 수많은 신경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뇌 표면의 신호를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예측이 어려운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이다. EEG 신호는 뇌의 활동, 측정시의 상태 및 뇌기능에 따라 시간영역에서의 특성과 뇌 기능과 관련된 공간적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krami A, Solhjoo S, Motie-Nasrabadi A and Hashemi-Golpayegani M.R, “EEG-Based Mental Task Classification: Linear and Nonlinear Classification of Movement Imagery,”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pp.4626-4629, 2005 

  2. Arthur P., Danil V.P., Richard H., Richard D. and Donald C.W., “Recurrent neural network based prediction of epileptic seizures in intra- and extracranial EEG,” Neurocomputing pp.201-218, 2000 

  3. Costa EJ and Cabral EF Jr, “EEG-based discrimination between imagination of left and right hand movements using Adaptive Gaussian Representation,” Med Eng Phys, pp.345-348, 2000 

  4. Dharwarkar G.S and Basir O, “Enhancing Temporal Classification of AAR Parameters in EEG single-trial analysis for Brain-Computer Interfacing,” IEEE-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pp.5358-5361, 2005 

  5. Folkers A, Mosch F, Malina T and Hofmann U.G, “Realtime bioelectrical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from 128 channels utilizing the wavelet-transformation,” Neurocomputing, pp.247-254, 2003 

  6. Gasser B, Toussant M, Luthringer R, Macher J.P and Cerf R, “Wave Separation versus Bandpass Filtering: a Comparative Non-linear Analysis of Brain ${\alpha}$ -EEG Signals with and without Psychotropic Drug Treatment,” Journal of Biological Physics, pp.209-225, 1996 

  7. Harner P.K and Sannit T, “A review of the international ten-twenty system of electrode placement,” Quincy, MA: Grass Instrument, 1974 

  8. Li Y and Zhang S, “Apply wavelet transform to analyse EEG signal,”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pp. 1007-1008, 1996 

  9. Lindsay I Smith, “A tutorial o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2002 

  10. Lee H and Choi S, “PCA-based linear dynamical systems for multichannel EEG classificati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pp.745-749, 2002 

  11. Michael D and Houchin J. “Automatic EEG analysis: a segmentation procedure based on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pp.232-5, 1979 

  12. Neep H, Jean Z.C, Ah C.T and Alex S, “Classification of EEG signals using the wavelet transform,” Signal Processing, pp.61-72, 1997 

  13. Pari J, Vassilis K and Kenneth R, “EEG Signal Classification Using Wavelet Feature Extraction and Neural Networks,” IEEE John Vincent Atanasoff 2006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rn Computing, pp.120-124, 2006 

  14. Scott M, Anthony J.B, Tzyy-Ping J and Terrence JS,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p.145-151, 1996 

  15. Spiros P, Jimeng S and Christos F, “Streaming pattern discovery in multiple time-series,” Proceeding of the 31st VLDB Conference, pp.697-708, 2005 

  16. Shaker M.M, “EEG waves classifier using wavelet transform and Fourier transform,” IJBS pp.85-90, 2006 

  17. Walter D.O and Leuchter A.F, “A Tourial on Classical computer analysis of EEGs: Spectra and Cohereneces in analysis of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By Angeleri R, Butler S, Giaquinto S, Majkowski J. Wiley & Sons, pp.105-124.1997 

  18. Yong L, Xiaorong G, Hesheng L and Shangkai G, “Classification of single-trial electroencephalogram during finger movement,” IEEE- Biomedical Engineering, pp.1019-1025, 2004 

  19. Zarjam P and Mesbah M, “Discrete wavelet transform based seizure detection in newborns EEG signals,” Signal Processing and Its Applications, pp.459-462, 2003 

  20. Zhang Q and Benveniste A, “Wavelet Networks,” IEEE Trans, Neural Networks, pp.889-898, 1992 

  21. 임성길, 박찬호, 이현수, “웨이블릿 신경망을 이용한 패턴 분류 시스템 설계 및 EEG 신호 분류에 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CI 제39권 3호 pp.32-43, 2002 

  22. 이혜경, 최승진, “다채널 뇌파 분류를 위한 주성분 분석 기반 선형동적시스템”, 한국뇌학회지, Vol.2, No.1, pp.53-59, 2002 

  23. http://ida.first.fraunhofer.d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