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호흡의 환기량에 따른 뇌파의 변화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Alteration by Ventilation Volume of Hyperventila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2 = no.116, 2009년, pp.1829 - 1835  

김영식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최현주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호흡은 뇌파 측정 시에 사용하는 중요한 부활법 중의 하나이며, 과호흡의 질을 평가하여 결과에 반영하는 것이 진단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호흡이 제대로 유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환기량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쥐를 대상으로 기관 절개를 한 후 삽관하여 인공호흡을 유도하였다. 환기유도 시 조건은 정상 환기량을 160 ml/min으로 하여, 240 ml/min, 300 ml/min의 총 세 군으로 하여, 인공적 과호흡을 유도하였다. 뇌파는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측정하였으며 과호흡을 하기 전과 후의 뇌파를 비교하였다. 뇌파는 델타, 세타, 알파, 베타의 네 가지 주파수 영역에서의 파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조직검사 결과, 인공적인 과호흡 유도는 폐조직에 물리적인 손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과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조건인 기관절개술도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호흡은 정상환기량의 약 90%까지 증가하였을 때에 적절한 결과를 보였고, 뇌파는 델타파가 가장 우세하였으며 세타, 알파, 베타 순으로 출현 비율이 높았고, 특히 전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과호흡으로 인한 뇌파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두부 델타 파워가 12.8%(p<0.01) 증가하였고 전두부의 세타 파워와 알파 파워는 각각 41.3%(p<0.01), 48.6%(p<0.05) 감소하였으며, 베타파워도 41.9%(p<0.0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전 두부의 뇌파가 과호흡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erventilation (HV) is routinely induced in order to activate brain waves during an electroencephalogram (EE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V conditions on EEG and suggested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ed procedure. Three degrees of HV were induced for 5 minutes with a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는 지표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과호흡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oux, C., I. Tropres, O. Montigon, C. Julien, M. Decorps, and J.-F. Payen. 2002. The effects of sustained hyperventilation on regional cerebral blood volume in thiopental anesthetized rats. Anesth. Analg. 95, 1746-1751 

  2. Budzynski, T. H., H. K. Budzynski, J. R. Evans, and A. Abarbanel, editors. 2009. Introduction of quantitative EEG and neurofeedback. Burlington, MA, USA: Academic Press 

  3. Burykh, E. A. 2008. Interaction of hypocapnia, hypoxia, brain blood flow, and brain electrical activity in voluntary hyperventilation in humans. Neurosci. Behav. Physiol. 38, 647-659 

  4. Cho, S. M., S. H. Kwon, D. H. Kim, J. S. Kim, J. K. Kim, H. K. Moon, W. S. Park, J. H. Yeo, H. H. Oh, E. J. Lee, J. H. Lee, and B. Y. Kim. 2006. The experience of the 1st Daegu-Gyeongbuk multicenter epilepsy camp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pilepsy. J. Korean Child Neurol. Soc. 14, 303-309 

  5. Choi, H. Y., B. I. Kim, and J. C. Kim. 1993. Electroencephalographic, behavioral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al complex partial seizure induced by microinjection of kainic acid into the unilateral amygdale in the rat.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2, 287-299 

  6. Choi, J. H, S. E. Jee, G. I. Ok, D. E. Moon, E. S. Kim, S. K. Lee, and J. Y. Shim. 1992. Evalua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effects about pH, ( $a-_Et$ ) $PCO_2$ , K + between normal and hyperventilation with capnometric control. Korean J. Anesthesiol. 25, 941-945 

  7. Clement, E. A, A Richard, M. Thwaites, J. Ailon, S. Peters, and C. T. Dickson. 2004. Cyclic and sleep-like spontaneous alternations of brain state under urethane anesthesia. Plos One 3 

  8. Eichenbaum, H, G. Schoenbaum, B. Young, and M. Bunsey. 1996.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hippocampal memory system. Proc. Natl. A cad. Sci. 93, 13500-13507 

  9. Emery, M. J., R. L. Eveland, S. S. Kim, J. Hildebrandt, and E. R. Swenson. 2007. $C0_2$ relaxes parenchyma in the liquid-filled rat lung. J. Appl. Physiol. 103, 710-716 

  10. Gattinoni, L., E. Carlesso, P. Cadringher, F. Valenza, F. Vagginelli, and D. Chiumello. 2003. Physical and biological triggers of ventilator induced lung injury and its prevention. Eur. Respir. J. 22, 15-25 

  11. Gelisse, P. and A Crespel. 2008. Phantom spike and wave bursts during REM -sleep pointes ondes fantomes pendant Ie sommeil paradoxal. Clin. Neurophysiol. 38, 249-253 

  12. Hara, K. and R. A. Harris. 2002. The anesthetic mechanism of urethane:The effects on neurotransmitter-gated ion channels. Aneth. Analg. 94, 313-318 

  13. Hayashi, K., M. Fujikawa, and T. Sawa. 2008. Hyperventilation induced hypocapnia changes the pattern of electroencephalographic bicoherence growth during sevoflurane anaesthesia. British J. Anaesthesia 101, 666-672 

  14. Holmes, G. L. 1987.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eizures in children. Philadelphia, PA, USA: Saunders company 

  15. Hyman, J. M., E. A. Zilli, A. M. Paley, and M. E. Hasselmo. 2005. Medical prefrontal cortex cells show dynamic modulation with the hippocampal theta rhythm dependent on behavior. Hippocampus 15, 739-749 

  16. Jeong, S. H., Y. N. Park, M. G. Lee, and J. S. Park. 2000. Effects of 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clozapine on the EEG in rat. J. Kor. Soc. BioI. Ther. Psychiatry 6, 1-11 

  17. Jones, M. W. and M. A Wilson. 2005. Theta rhythms coordinate hippocampal prefrontal interactions in a spartial memory task. Plos. BioI. 3, 2187-2199 

  18. Kiloh, L. G., A. J. McComas, and J. W. Osselton. 1972. Clinical Electroencephalography. London, UK 

  19. Kim, J. I., S. M. Chang, S. P. Park, I. S. Jang, B. J. Choi, S. H. Kim, H. W. Lee, and M. G. Lee. 2006. Sleep-wake cycle and neu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adult rats after prenatal exposure to methylazoxymethanol acetate at gestational day 15. J. Kor. Soc. BioI. Ther. Psychiatry. 12, 231-251 

  20. Kim, S. I. 1980. Diagnostic effects of hyperventilation on EEG in epilepti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 256-261 

  21. Kim, T. H., Y. H. Won, W. Kim, Y. H. Jeon, and W. Y. Baek. 1997. Spectral analysis of EEG during infusion of propofol in the rats. Kor. J. Anesthesiol. 32, 252-259 

  22. Konish, T. 1987. The standardization of hyper ventilation on EEG recording in childhood : 1. The quantity of hyperventilation activation. Activation Brain Dev. 9, 16-20 

  23. Konish, T. 1987. The standardization of hyper ventilation on EEG recording in childhood : 2.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uild up. Activation Brain Dev. 9, 21-25 

  24. Kwon, D. H., S. H. Won, K. M. Kim, S. M. Chang, S. H. Kim, and M. G. Lee. 2006. Effect of caffeine on sleep and EEG spectra in rats. J. Kor. Soc. BioI. Ther. Psychiatry 12, 252-265 

  25. Lavenex, P. and D. G. Amaral. 2000. Hippocampal neocortical interaction: A hierarchy of associativity. Hippocampus 10, 420-430 

  26. Miyake, Y., H. Kaise, K-I. Isono, H. Koseki, K. Kohno, and M. Tanaka. 2007. Protective role of macrophages in noninflammatory lung injury caused by selective ablation of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J. Immunol. 178, 5001-5009 

  27. PateL V. M. and R. L. Maulsby. 1987. How hyperventilation alters the electroencephalogram: A review of controversial viewpoints emphasizing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J. Clin. Neurophysiol. 4, 101-120 

  28. Posse, S., U. Olthoff, M. Weckesser, L. Jancke, H.-W. Muller-Gartner, and S. R. Dager. 1997. Regional dynamic signal changes during controlled hyperventilation assessed with blood oxygen level-dependent functional MR imaging. AJNR Am. J. Neuroradiol. 18, 1763-1770 

  29. Rowan, A J. and E. Tolusky. 2003. Primer of EEG with a Mini-Atlas: Butterworth Heinemann 

  30. Sadleir, L. G., I. E. Scheffer, S. Smith, B. Carstensen, K. Farrell, and M. B. Connolly. 2009. EEG features of absence seizures in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 Impact of syndrome, age, and state. Epilepsia 1-7 

  31. Shcussler, P., M. Kludge, A. Yassouridis, M. Dresler, K. Held, J. Zihl, and A. Steiger. 2008. Progesterone reduces wakefulness in sleep EEG and has no effect on cognitio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sychoneuroendocrinology 33, 1124-1131 

  32. Toth, A., L. Zaborszky, and L. Detari. 2005. EEG effect of basal forebrain neuropeptide Y administration in urethane anaesthetized rats. Brain Research Bulletin 66, 37-42 

  33. Worp, H. B. V. d., V. Kraaier, G. H. Wieneke, and A. C. V. Huffelen. 1991. Quantitative EEG during progressive hypocarbia and hypoxia. Hyperventilation induced EEG changes reconsidered. Electroencephalography Clin. Neurophysiol. 79, 335-3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