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모자보건 정책사업 분석 - 미숙아와 저체중출생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Korea - Perspective of the Premature Infant -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5 no.1, 2009년, pp.81 - 87  

이혜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이광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신미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reductions in infant mortality have mainly been accomplished by improving the survival of premature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however premature infants still remain at great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 related to premature in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 2000년부터 시작된 미숙아 등록관리 및 의료비 지원사업은 보건의료기관에서 미숙아의 발생 즉시 관할 보건소에 보고하여 기본 정보의 확보와 집중 관리의 수요를 파악하고, 지역내 적절한 신생아 집중치료 관리자원을 공급함으로써 영아 사망과 장애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미숙아에 대한 지속적인 보건, 의료, 재할서비스 등의 연계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미숙아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고, 미숙아의 입원치료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의료비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신생아집중치료 지역 센터 지원 및 육성 사업'은 전국 9개의 지방 국립대 병원을 “신생아집중치료 지역센터”로 지정하여 10개의 병상을 추가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시설과 장비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생아집중치료실이 지역별 편중이 심하여 주로 서울과 경기 등의 수도권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신생아집중치료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들이 경영상의 적자 때문에 재투자나 확장을 기피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있다. 또한 전반적인 미숙아 출생률의 변화, 미숙아 분만의 위험요인, 그리고 미숙아치료에 대해 먼저 소개함으로써 미숙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종설은 우리나라의 미숙아 출생율의 변화, 미숙아 분만의 위험요인,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미숙아 관리 및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모자보건 정책 사업을 선택 분석하였다. 미숙아의 증가는 단순히 임신부의 산과적(신체적/심리적)인 문제나 태아의 의학적인 문제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고령 산모의 증가나 보조생식술로 인한 다태아 임신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문화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다.
  • 이에 본 종설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모자보건 사업 증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거나, 미숙아와 관련이 있는 사업을 선택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의 모자보건 정책 사업을 위한 제언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반적인 미숙아 출생률의 변화, 미숙아 분만의 위험요인, 그리고 미숙아치료에 대해 먼저 소개함으로써 미숙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미숙아의 최선의 치료법은 미숙아 출생의 예방이다.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숙아는 여러 가지발달 장애의 합병증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kin, D. H. (2006). Feeding problems in the late preterm infant, Clin Perinatol, 33, 831-837. 

  2. Ahn, Y. (2004). The effects of the systematic follow up health care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risk reduction in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J Korean Acad Nurs, 34(6), 1129-1142. 

  3. Akukwe, C. (2000).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ritical issu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1, 641-653. 

  4. Bae, J., Kim, G., Kim, B., Lim, B., Choi, Y., Lee, S., & Shin, S. (2007). Plan of increasing medical support for premature babies and unhealthy infants.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5. Cooper, T. R., Berseth, C. L., Adams, J. M., & Weisman, L. E. (1998). Actuarial survival in the premature infant less than 30 weeks' gestation, Pediatrics, 101(6), 975-978. 

  6. de Kleine, M., den Ouden, A., Kollee, L, der Sanden, M., Sondaar, M., van Kessel-Feddema, Knuijt, S., van Baar, A., Ilsen, A., Breur-Pieterse, R., Briet, J., Brand, R., & Verloove-Vanhorick, S.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follow up assessment of preterm infants at 5 years of age. Arch Dis Child, 88, 870-875. 

  7. Faldella, G., Galletti, S., Corvaglia, L., Ancora, G., & Alessandroni, R. (2007). Safety of DTaP-IPV-HIb-HBV hexavalent vaccine in very premature infants, Vaccine, 25, 1036-1042. 

  8. Han, Y., Seo, K., Oh, H., Shin, S., Hong, J., Choi, J., & Lee, N. (2007).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low-birth-weight infan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Jain, S., & Cheng, J. (2006).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rehospitalization in late preterm infants, Clin Perinatol, 33, 935-945. 

  10. Ju, H. (2008).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4(1), 44-52. 

  11. Kelly, M. M. (2006). The basics of prematurity, J Pediatr Health Care, 20, 238-244.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Retrieved from http://www.kosis.kr/ 

  13. Lee, H., Lee, S., & Um, J. (2008). Health insurance expenditure of premature infants hospitaliz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2(2), 266-274. 

  14. Lee, H., White-Traut, R., & Park, C. (2008).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of infants born prematurely in the U.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4(2), 146-154. 

  15. Lee, S., Khang, Y., Ha, B., Lee, M., Kang, W., Koo, H., & Kim, C. (2001). Inter-hospital comparison of cesarean section rates after risk adjustment, Korean J Prev Med, 34(4), 337-346. 

  16. March of Dimes (2008). Perinatal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search.marchofdimes.com/cgi-bin/MsmGo.exe?grab_id6&page_id9896192&querybirth+rate+of+late+preterm&hiwordBIRTHED+BIRTHING+BIRTHS+LATELY+LATER+RATED+RATES+birth+late+of+preterm+rate+ 

  17. 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 (2008). Strategic plan FY 2003-2007, Retrieved from http://mchb.hrsa.gov/about/stratplan03-07.htm 

  18. Massett, H. A., Greenup, M., Ryan, C. E., Staples, D. A., Green, N. S., & Maibach, E. W. (2003). Public perceptions about prematurity: A national survey, Am J Prev Med, 24(2), 120-127. 

  19. Mattison, D. R., Damus, K., Fiore, E., Petrini, J., & Alter, C. (2001). Preterm delivery: A public health perspective, Paediatr Perinat Epidemiol, 15(2), 7-16. 

  20. McCormick, M. C., Brooks-Gunn, J., Buka, S. L., Goldman, J., Yu, J., Salganik, M., Bennett, F., Kay, L., Bernbaum, J., Bauer, C., Martin, C., Woods, E., Martin, A., & Casey, P. (2006). Early intervention in low birth weight premature infants: results at 18 years of age for the infant health and development program, Pediatrics, 117(3), 771-780.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 in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National Assembly Library (2008). Annual report 2006, Retrieved from http://u-lib.nanet.go.kr:8080/dl/SimpleView.php 

  23. Park, D., Kil, C., & Bae, C. (2004). National statistics of Korea in 2002: Collective results of live-birth, and neonatal mortality rates from 62 hospitals, Korean Soc Neonatol, 11(2), 22-129. 

  24. Park, J., Kim, D., Kim, S., Kim, Y., Kim, J., Park, S., Suh, K., Son, M., Shin, S., & Cho, S. (2008). A report on birth registration system developmen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5. Park, J, Lee, J., Shin, S., Park, S., Shin, J., & Lee, S. (2005). Plan for maternal child service program, Ministry of Health, Welfare. 

  26. Phibbs, C. S., & Schmitt, S. K. (2006). Estimates of the cost and length of stay changes that can be attributed to one-week increases in gestational age for premature infants, Early Hum Dev, 82(2), 85-96. 

  27. Pike, I. L. (2005). Maternal stress and fetal responses: evolutionary perspectives on preterm delivery. Am J Human Biol, 17, 55-65. 

  28. Saari, T. N. (2003).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Immunization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12(1), 193-198. 

  29. Tierney-Gumaer, R., & Reifsnider, E. (2008). Risk factors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of Hispanic,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in Bexar County, Texas, Public Health Nursing, 25(5), 390-400.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Reproductive health goals and the 17 indicator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whosis/data/Search.jsp?countries[Location].Memb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