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혼종모형
Concept Analysis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Hybrid Model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350 - 358  

김정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  신희선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에게 발달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최적의 성장발달을 촉진하기위한 발달지지간호 개념을 탐색하기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개념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론적 단계, 현장작업 단계, 최종분석 단계에 따라 개념을 분석하였다. 현장작업단계에서는 참여자와 심층면담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발달지지간호 개념의 속성은 간호실무차원과 가족중심차원인 2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간호실무차원은 자궁 내 환경 따라가기, 상호작용, 개별화, 발달에 대한 인식을 간호에 통합 등의 4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가족중심차원은 전문적인 협력, 부모-아기 애착지지인 2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혼종모형을 사용한 개념분석을 통해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6가지 속성을 추출하였다. 아직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정의를 제시함으로써 미숙아 발달지지간호 관련 이론 개발 및 실무 증진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Methods: The hybrid model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main attributes and indicators. In the field work stag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nd Cheonan, Korea. The participa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자는 연구의 도구로써 자료수집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시행하기 전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 방법론” 수업을 수강하였으며, 질적 연구 관련 워크숍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연구자는 수년간 질적 연구 관련한 다수의 워크숍에 참여하였고 질적 연구 수행 자료 분석 경험을 가짐으로써 연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혼종모형 방법은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 관찰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개발 방법으로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와 같은 특정적인 간호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chwartz-Barcott와 Kim(2000)의 혼종모형(hybrid model)방법을 이용하여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에 필요한 교육과 지지체계의 구축을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론적 단계에서는 개념을 선택하고 문헌고찰을 시작하며 분석을 통해 개념의 의미와 측정에 대해 비교하여 작업적 정의를 선택한다.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실증적 관찰을 통해 이론적 단계에서 시작한 분석을 확장, 통합함으로써 개념을 확증하고 정련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종 분석 단계에서는 경험적 관찰로 부터 얻어진 통찰을 통해 초기 이론적 분석과 결과를 재검토하고 유용한 정의를 추출하게 된다(Schwartz-Barcott & Kim,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의료처치 및 장비에 의해 생명을 유지하는 이유는? , 2011). 미숙아는 재태 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하여 자궁 외 환경에 적응할 능력이 부족하여 대부분 신생아중환자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하여 각종 의료처치 및 장비에 의해 생명을 유지하게 된다(Pee et al., 2004).
자궁은 태아에게 생명유지 측면에서 어떤 환경을 제공하는가? , 2004). 자궁 내 환경은 태아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양수는 중력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며, 태반을 통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은 과도한 에너지 소모 없이 신체발달에 필요한 영양 요구를 충족시킨다(Ahn, 2012; Goldson, 1999). 그뿐만 아니라 보온을 해주고 모체의 심장박동 소리, 목소리, 장음, 그리고 자궁혈관 내 혈류 흐름소리 등이 자연스럽게 태아를 자극함으로써 성장발달에 좋은 자극을 제공하며, 충격적인 외부소리가 여과되어 불필요한 자극 노출을 감소시켜 유해한 자극에 대해 보호하고 성장발달을 자극한다(Goldson, 1999).
자궁 내 환경이 태아에게 성장발달을 자극하는 방법은? 자궁 내 환경은 태아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양수는 중력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며, 태반을 통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은 과도한 에너지 소모 없이 신체발달에 필요한 영양 요구를 충족시킨다(Ahn, 2012; Goldson, 1999). 그뿐만 아니라 보온을 해주고 모체의 심장박동 소리, 목소리, 장음, 그리고 자궁혈관 내 혈류 흐름소리 등이 자연스럽게 태아를 자극함으로써 성장발달에 좋은 자극을 제공하며, 충격적인 외부소리가 여과되어 불필요한 자극 노출을 감소시켜 유해한 자극에 대해 보호하고 성장발달을 자극한다(Goldson, 1999). 반면, 미숙아의 생명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신생아중환자실 환경에서의 과도한 빛과 소음은 시각과 청각 기능에 손상을 초래하며, 장기적 인큐베이터 치료는 촉각과 전정기능에 자극결핍을 가져와 이는 미숙아의 뇌기능 변화를 초래하여 발달장애, 성장 지연, 행동장애와 같은 문제들을 유발할 수 있다(Butler & Als, 2008; Shi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S. (2012). Pediatrics (10th eds.). Seoul: MiraeN. 

  2. Aita, M., & Snider, L. (2002). The art of developmental care in the NICU: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3), 223-232. 

  3. Als, H., & Gilkerson, L. (1997). The role of relationship-bas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newborn intensive care in strengthening outcome of preterm infants. Seminars in Perinatology, 21, 178-189. 

  4. Atun-Einy, O., & Scher, A. (2008). Measur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neone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Perinatology, 28, 218-225. http://dx.doi.org/10.1038/sj.jp.7211908 

  5. Bae, N. Y. (2007). Research for family support of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1(1), 81-94. 

  6. Bowden, V. R., Greenberg, C. S., & Donaldson, N. E. (2000). Developmental care of the newborn. Online Journal of Clinical Innovation, 3(7), 1-77. 

  7. Buttler, S., & Als, H. (2008).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improves the lives of infants born preterm. Acta Paediatrica, 97, 1173-1175.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8.00916.x 

  8. Carrier, C. T. (2002). Individualized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Reflection on implementation.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1), 27-34. 

  9. Cho, M. J., Ko, J, H., Jung, S. H., Choi, Y. S., Han, W. H., Jang, J. Y., et al. (2011). Ratio observation by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in infant mortality: 2005-2009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18(2), 182-188. 

  10. Coughin, M., Givvins, S., & Hoath, S. (2009). Core measures for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eory, precedence and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0), 2239-2248. http://dx.doi.org/10.111/j.1365-2648.2009.05052.x 

  11. Goldson, E. (1999). The environment of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E. Goldson (Ed.), Nurturing the premature infant (pp. 3-17).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2. Kang, I. S., & Kim, Y. H. (2011). The effect of recorded mother's voice on the body weight and physiological reactions of the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2), 94-101. 

  13. Kim, E. J. (2003).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f preterm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2), 131-139. 

  14. Kleberg, A., Warren, I., Norman, E., Morelius, E., Berg, A. C., Met-Ali, E., et al. (2008). Lower stress response after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care during eye screening examination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A randomized study. Pediatrics, 121(5), 1267-1278. 

  15. Lee, D. G. (2013).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2). 161-188. 

  16. Nam, J. H., Yoon, H. S., Lee, T. Y., Shin, C. Y., & Lee, D. H. (2013). An understandi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adapt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Journal of Korea Psychological Woman, 18(1), 129-168. 

  17. Nugent, K. E. (1989). Routine care: Promoting development in hospitalized infants.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14, 318-321. 

  18. Park, J. S., Hong, K, J., & Bang, K, S. (2013). Effects of the intervention - mother's song on physical response and behavioral state of low-birth weight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9(3), 198-206. http://dx.doi.org/10.4094/chnr.2013.19.3.198 

  19. Park, S. J., Kim, S. J., & Kang, K. A. (2014).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2), 75-86. http://dx.doi.org/0.4094/chnr.2014.20.2.75 

  20. Pee, S. Y., Park, J. D., Kim, A. R., Park, M. S., Jang, Y. S., Kim, M. J., et al. (2004). Neonatal intensive care manual. Seoul: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1. Reid, T., & Freer, Y. (2000). Developmentally focused nursing care. In G. Boxwell (Ed.), Neonatal Intensive Care Nursing (pp. 14-42). New York, NY: Routledge. 

  22. Schwartz-Barcott, D.,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B. L. Rodgers, & K. A. Knafl (Eds.), In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129-159). Philadelphia, PA: Saunders. 

  23. Sehgal, A., & Stack, J. (2006).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and NIDCAP.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73(11), 1007-1010. 

  24. Shin, Y. H. (2003). NICU environment and premature infants. The Journal of Keimyung Nursing Science, 7(1), 139-145. 

  25. Spittle, A. J., Anderson, P. J., Lee, K. J., Ferretti, C., Eles, A., Orton, J., et al. (2010). Preventive care at home for very preterm infants improves infant and caregiver outcomes at 2 years. Pediatrics, 126(1), e171-e178. 

  26.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7.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4, June 24). Naver linguistic dictionary. Retrieved August 13, 2014, from http://krdic.naver.com 

  28. VanderVen, K. (1992). Developmental care: A proposal for a new profession whose time is coming! Journal of Child and Youth Care, 7, 3-38. 

  29. Walker, L. O. (1992). Parent-infant Nursing Science: Paradigms, Phenomena, Methods.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30. Westrup, B., Sizun, J., & Lagercrantz, H. (2007).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A holistic and humane approach to reduce stress and pain in neonates. Journal of Perinatology, 27, S12-S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