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OC 박막의 화학적 특성과 전기적인 특성에 대한 차이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Chem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8 no.1, 2009년, pp.49 - 53  

오데레사 (청주대학교 반도체설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층간 절연막으로써 연구되고 있는 SiOC 박막의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iOC 박막의 형성은 알킬기와 수산기에 의한 극성분자의 조합에 의해 무분극성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무분극성에 의한 비정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상수의 감소를 유도할수 있다. 박막의 화학적인 특성은 이온의 변화에 의한 결정구조의 변화로 결정할수 있고, 화학적인 변화의 분석은 FTIR에 의한 탄소함량변화로부터 무분극성의 영역을 유추해 내었다. 전기적인 특성은 박막 내에서의 전자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으로써 화학적인 특성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유량변화에 따른 SiOC 박막의 전기적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SiOC 박막은 열처리 후 대체로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탄소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샘플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탄소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누설전류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화학적인 관점에서 탄소의 증가는 박막의 구조변화에 따른 효과로 직접 전류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SiOC film was studied for inter-layer insulator. SiOC film was formed with non polarity due to the appropriate union by the alkyl and hydroxyl group. An amorphous structure of non polarity can induce the low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in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유전상수이외에 실제 디바이스제작에 사용되기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전기적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화학적인 변화에 따른 결합구조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열처리 후 박막의 전기적인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 Navamathavan and C. K. Cho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 48, 1675 (2006) 

  2. A. Grill and D. A. Neumayer, J. Appl. Phys. 94, 6697 (2003) 

  3. T. Oh, Jpn. J. Appl. Phys. 44, 1409-1413 (2005) 

  4. K. Lee and J. Yu, Surface Science 589, 8 (2005) 

  5. T. C. Chang, P. T. Liu, Y. S. Mor, S. M. Sze, Y. L. Yang, M. S. Feng, F. M. Pan, B. T. Dai, C., and Y. Chang, J. Electrochem. Soc., 146, 802(1999) 

  6. J. C. Lee and Y. J. Kim,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17, 189 (2008) 

  7. T. Oh, IEEE transactions on Nanotechnology, 5, 23 (2006) 

  8. J. Widodo, W. Lu, S. G. Mhaisalkar, L. C. Hsia, P. Y. Tan, L. Shen, and K. Y. Zeng, Thin Solid Films, 462-463, 213 (2004) 

  9. T. Oh,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51, 528 (2006) 

  10. Li Ding Yu, Sun Lei, Zhang Sheng Dong, Wang Yi, Liu Xiao Yan, and Han Ru Qi, Chin. Phys. Soc. 16, 240 (2007) 

  11. J. Frenkel, Phys. Rev. 54, 647 (1938) 

  12. M. J. Kellicutt, I. S. Suzuki, C. R. Burr, M. Suzuki, M. Ohashi, and M. S. Whittingham, Physical Review B. 47(20), 13664 (1993) 

  13. P. W. May, S.Hohn, and W.N, Wang, N. A. Fox, Appl. Phys. Lett. 27, 2182 (1998) 

  14. Soo In Kim and Chang Woo Lee,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16(5), 348 (2007) 

  15. T. Oh,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 51, 52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