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1, 2009년, pp.102 - 110  

이점숙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임병선 (목포대학교 생물학과) ,  명현호 (목포대학교 생물학과) ,  박정원 (목포대학교 생물학과) ,  김하송 (나주대학 한약자원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18개 해안 염습지에서 생육지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서남해안 염습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염습지의 생육지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와 하구성 염습지로 구분하고, 2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는 점토성 염습지, 사질성 염습지, 사구성 염습지, 하구성 염습지는 염소택지와 기수성 염습지로 구분하였다. 생육지 유형별 주요 식물군락은 점토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칠면초군락, 사질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퉁퉁마디군락, 큰비쑥군락, 해홍나물군락, 사구성 염습지에서는 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염소택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하구 염습지에서는 칠면초군락,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나문재군락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 군락분포지역의 토양 환경은 염생식물의 생육지 특성에 따른 염생식물군락과 토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해안 염습지를 복원할 경우, 염습지를 대상으로 생육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 이화학적특성을 파악하여 생육지 조건에 맞는 염생식물을 선정하고, 이식한 후 자연식생이 형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시킴으로써 염생식물이 안정적으로 정착, 발아, 생장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alophyte community and soil analysis according to habitat in representative 18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from July 2006 to April 2008 and suggested basic materials for vegetational restoration of these aras. First, the survey area was classifi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18개 해안 염습지에서 생육지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서남해안 염습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염습지의 생육지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와 하구성 염습지로 구분하고, 2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는 점토성 염습지, 사질성 염습지, 사구성 염습지, 하구성 염습지는 염소택지와 기수성 염습지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염생식물 보존 군락지 발굴을 위하여 서・남해안 18개 지역을 염습지 유형별로 구분하여, 이들의 생육지 특성과 토양환경요인을 분석하여 습지보전과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염습지에 미치는 물리적 요인은 염생식물 분포와 생태적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염습지의 염생식물 분포는 생물적 요인보다 물리적 요인이 더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요인으로서 지형의 고도, 침수횟수, 수위의 변동(Cooper, 1982; Armstrong et al., 1985)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들 요인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종자의 발아, 생산성, 생장, 영양염류 동태 및 분해와 같은 생태적 기능에 크게 영양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염습지에서 먹이연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염생식물의 생육지가 각종 개발사업과 그에 따른 시설물 유치 등으로 인하여 점차 위축,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Kim et al.
염습지 식생에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한반도 서・남해안에는 넓은 면적의 해안 염습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염습지는 해안성염습지와 하구성염습지로 구분되는데 특히 해안성 염습지는 비경작지 중 생산력이 가장 높은 생태계로 알려져 있다(Poliakff-Mayber and Gale, 1975). 이러한 염습지 식생에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홍, 1956; 민, 1985; 임과 이, 1986; 임, 1987; 임, 1989)으로는 조수에 의한 토양염분도(Adams, 1963)와 식물상호간의 작용 등이 있으며, 염습지 식생은 염류토양으로 소수 종으로 구성된 염생식물의 군락이 뚜렸한 대상구조(Zonation)을 형성하는데, 해안성 염습지에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조수(Purer 1942), 토양함수량, 염분농도(Penfound and Hathaway, 1938; Reed, 1947; Vogl, 1966; Del moral and Watson, 1978; Jonathan et al., 2000), 생물 상호작용 등이며 하구성염습지에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지형, 생물상호작용, 토양 함수량(민, 1985; 임과 이, 1985), 염분농도(박, 1970; 김, 1971a, 1971b, 1975; 임 등, 1995; 최, 1998)등이 있다.
염습지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한반도 서・남해안에는 넓은 면적의 해안 염습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염습지는 해안성염습지와 하구성염습지로 구분되는데 특히 해안성 염습지는 비경작지 중 생산력이 가장 높은 생태계로 알려져 있다(Poliakff-Mayber and Gale, 1975). 이러한 염습지 식생에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홍, 1956; 민, 1985; 임과 이, 1986; 임, 1987; 임, 1989)으로는 조수에 의한 토양염분도(Adams, 1963)와 식물상호간의 작용 등이 있으며, 염습지 식생은 염류토양으로 소수 종으로 구성된 염생식물의 군락이 뚜렸한 대상구조(Zonation)을 형성하는데, 해안성 염습지에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조수(Purer 1942), 토양함수량, 염분농도(Penfound and Hathaway, 1938; Reed, 1947; Vogl, 1966; Del moral and Watson, 1978; Jonat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ams, D.A. 1963. Factors affecting vascular plant zonation in north Carolina salt marshes. Ecology 44: 445-456 

  2. APHA. 1980.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15th ed. Amer. puplic health Ass. washington D.C. pp. 370-373 

  3. Armstrong, W., Wright, E.J., Lythe, S., Gaynard, T.J., 1985. Plant zonation and the effects of the spring-neap tidal cycle on soil aeration in a humber salt marsh. J. Ecol. 73: 323-339 

  4. Black, C.A., D.D. Evans, L.E. Ensminger, J.L. White and F.E. Clark. 1965. Methods of soil analysis. American Society 

  5. Cooper, A.C. 1982. The effects of standing water and drainage potential on the Spartina alterniflora-substrate complex in a North Carolina marsh. Estua. Coast. Mar. Sci. 11: 41-52 

  6. Del Moral, R. and A.F. Watson. 1978. Vegetation on the Stikine analysis. Northwest Sci. 33: 43-64 

  7. Hackney, C.T. and A.A. De La Cruz. 1978. Changrs in interstitial water salinity of a Mississippitidal marsh. Estuarines. 1: 185-188 

  8. Jonathan M.H., Jacqueline A.P. & Rob H.M, 2000.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and interactions between salt marsh plants: effects of salinity, sediment and waterlogging. Journal of Ecology 88: 492-505 

  9. Kim, HS., BS. Ihm and JS. Lee. 2003. Changes of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mbankment in Anmado. Korean J. Ecol., 26(3): 103-108 

  10. Lim, BS., JS. Lee and JW. Kim. 2001. Coastal vegetation on the western, southern, and eastern coasts of South Korea. J. of Plant Biology. 44(3): 163-167 

  11. Mendelssohn, I.A. and K.L. Marcellus, 1976. Angiosperm production of there Virginia marshes in various L. in salinity and nutrient regimes. Chesapeake Sci. 17: 15-23 

  12. Penfounf, W.T. and E.S. Hathaway. 1938. Plant communities in the marshlands of southeastern Louisiana. Ecol. Monogr. 8: 1-56 

  13. Poljakoff-Mayber, A. and J. Gale. 1975. Plants in saline environments. Springer-Verlag. New York, Heidelberg, Berlin, pp. 213 

  14. Purer, E.A. 1942. Plant ecology of the coastal salt marshlands of San Diego county, california. Ecol. Monogr. 12: 81-111 

  15. Reed, J.F. 1947. The relation of the Spartinetum glabrae near Beaufort, North Carolina, to certain edaphic factors. Amer. Mid. Nat. 38: 605-614 

  16. Vogl, R.J. 1966. Salt marsh vegetation of upper New port bay, California. Ecology. 47: 80-87 

  17. Zedler, J. B. 1977. Salt mar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Tijuana estuary, California. Estur Coast. Mar. Sci. 5: 39-53 

  18. 김준민, 장남기, 이성규, 우택균. 1975. 인천 남동 해안에 있어서 간사지 토양의 염도 구배와 식물구배와 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김준민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pp. 150-157 

  19. 김철수. 1971a. 간척지 식물군락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4: 27-33 

  20. 김철수. 1971b. 간척지 식물군락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4: 163-169 

  21. 김철수. 1975.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8: 129-134 

  22. 박인근. 1970. 주안 해변의 염생식물 군락의 연속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보 8: 188-204 

  23. 민병미. 1985. 한국 서해안 간척지의 토양과 식생 변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pp. 144 

  24. 이점숙. 1989.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규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pp.183 

  25. 임병선. 1987. 해안 간사지 토양 환경에 따른 식물의 분포와 생장. 연안생물연구 4: 71-79 

  26. 임병선. 1989. 토양의 수분포텐셜과 식물의 삼투 조절 능에 의한 해안 식물 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pp. 166 

  27. 임병선, 이점숙. 1985. 염분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안생물연구. 2: 33-40 

  28. 임병선, 이점숙. 1986. 염습지 환경변화에 대한 퉁퉁마디와 칠면초의 적응. 환경생물 4: 15-25 

  29. 임병선, 이점숙, 우제창, 곽애경, 임현빈. 1995. 염분농도에 변화에 따른 수 종 염생식물의 적응. Bull. Inst. Lite. Envi. 12: 1-10 

  30. 최병권. 1998. 간척지 염생식물의 조경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278-287 

  31. 홍원식. 1956. 한국 서해안 해변 식물 군락의 연구 I 생물학 회보 1: 17-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