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1, 2019년, pp.139 - 159  

이민수 (그린에코연구소) ,  김성환 (그린에코연구소) ,  정회인 (해양환경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17 to August 2018 as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s sponsored by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KOEM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t 157 stations including intertidal zones, coastal sand du...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 전체에 걸친 염생식물의 분포현황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갯벌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생식물이란 무엇인가? 염생식물(halophytes)은 중성식물의 상대적인 개념으로써 생육지의 토양염분농도, 염의 흡수여부, 흡수된 염의 처리방법 및 염에 대한 적응성의 유무 혹은 정도 등 구분하는 개념이나 경계가 학자들 간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중성식물에게는 해로운 정도의 염 환경에서 생육한다는 공통점이 있다(Min, 1990). 또한 자연 상태에서의 생육은 장기적인 계절적 염분 변동 뿐만 아니라 강수량, 증발량, 해수의 침수 등 단기적 염분 변동에 대한 적응 능력이 중요하며, 생육지의 환경에 따라 형태적 변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m et al.
염생식물이 남해안 인공 제방에 생육하기에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남해안 대부분 조사지역에는 인공 제방이 축조되어 있었으며, 조사결과 해안식생이 사라졌거나 식생이 없는 지역이 다수 확인되었다. 고도가 낮은 조간대 지역에 설치된 제방은 염생식물의 침수 시간을 늘리고, 직접적인 파랑에 노출되어 활착이 어려워지는 등 기본적으로 염생식물이 생육하기에 부적합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제방으로 인해 육지에서 유입되는 담수 영향지역이 협소해져 제방 근처에만 갈대, 천일사초, 갯잔디, 지채 등 다년생 식물만 관찰되거나 담수 유입 지점을 중심으로 소 군집 형태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다.
염생식물의 생리적 특성과 생태적 특성에 따른 정의가 어떻게 다른가? 염생식물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큰 틀에서 보면 생리적인 특성과 생태적 특성에 따라 정의할 수 있다. 생리학적 특성에 따른 정의는 염저항성과 염요구도를 기준으로 생활환(life cycle)을 끝마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관건이고, 생태적 특성에 따른 정의는 분포지의 환경, 특히 토양수분과 토양염농도에 따른 생태적분포도와 관련된다(Kim, 2013). 우리나라 해안에서 생태적 분포지는 주로 갯벌, 해안사구, 기수지역 및 간척지이며, 이러한 분포지 환경을 선호하는 식물이 염생식물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pman, V.J., 1964. Coastal vegetation. McMillan Co., New York, 245 pp. 

  2. Cheong, J.H., J.H. Chae, S.H. Lee and B.H. Kim, 2013. Halophyte Flora and Vegetation of Four Seashore Sites in Jejudo.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5(3): 91-106. 

  3. Cho, W., H.S. Song, S.C. Hong and D.C. Choi, 2009.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the Coastal Dunes near the Swimming Beaches on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Kor. J. Env. Eco., 23(6): 499-505. 

  4.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527 pp. 

  5. Hong, W.S., 1958. Investigation Report on Plant Communities on Yongzong Island. The Korean Journal Botany, 1: 7-15. 

  6. Ji, S.J., S.H. Park and J.C. Yang, 2015. A new record of Eleocharis parvula (Roem. & Schults.) Bluff, Ness & Schauer (Cyper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5(2): 169-172. 

  7. Kil, J.H. and K.S. Lee, 2008. An Unrecorded Naturalized Plant in Korea: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Korean J. Pl. Taxon.. 38(2): 179-185. 

  8. Kim, C.H., J.H. Lee, K.B. Kim, H.K. Lee and N.S. Lee, 2013. A Study on the Flora and Life form of the Western coast Recliaimed Land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5(4): 213-226. 

  9. Kim, C.H., J.H. Choi and N.S. Lee, 2015. A Study on the Flora and Life form of the South Coast Main Recliaimed Land,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7(2): 175-190. 

  10. Kim, E.K., 2013.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Seoul, 368 pp. 

  11. Kim, E.K., J.H. Kil, Y.K. Joo and Y.S. Jung, 2015.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Weed Turf. Sci.. 4(1): 65-70. 

  12. Kim, H.S. and H.H. Myeong, 2014.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Halophyte Habitat in Suncheon Bay.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6(4): 195-210. 

  13. Kim, J.S., 2016. A Research Review for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s of the Highly Invasive Cordgrass (Spartina spp.). Weed Turf. Sci.. 5(3): 111-125. 

  14.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240 pp. 

  15. KOEM, 2015. 2015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pp 363. 

  16. KOEM, 2016. 2016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pp 312. 

  17. KOEM, 2016. Protocol of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2nd Edition). KOEM, pp 148. 

  18. KOEM, 2017. 2017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pp 587. 

  19. Kong, B.W., D.G. Ra and C.J. Cheong, 2014. Distribution of Halophytes at Coastal Wetland in Suncheon Bay. J.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5(2): 130-139.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Korean Plant Names Index.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1,2. Hyangmunsa. 914 pp, 910 pp. 

  22. Lee, W.T. and S.K. Chon,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ean J. Ecology, 6(3): 177-186. 

  23. Lee, W.T. and S.K. Chon, 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 Korean J. Ecology, 7(2): 74-84. 

  24. Lee, Y.G., S. Kim, H.W. Lee and M.B. Min, 2008.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and Increase of Reed (Phragmites australis) Stands at Suncheon Ba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0(3): 9-26. 

  25. Lee, Y.N., 1996. Flora of Korea. Koy-Hak Publishing Co., Ltd., 1237 pp. 

  26. MABIK, 2017. National List of Marine Species. MABIK, 606-615 pp. 

  27. Min, B.M. and J.H. Kim, 1983. Distribution and Cyclings of Nutrients in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of a Coastal Salt Marsh. Korean Journal of Botany, 26(1)17-32. 

  28. Min, B.M. and J.H. Kim, 1999. Plnat community structure in reclaimed land on the West Coast of Korea. J. Plant Biology, 42: 287-293. 

  29. Min, B.M., 1990. On the Accumulation of Minerals with the Plant Species in a Reclaimed Land. Korean J. Ecol., 13(1): 9-18. 

  30. Min, B.M., 1998.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Research, 20 Special: 167-178. 

  31. Oh, Y.C., 1983, Korean Cyperaceae(Vol. 1).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134 pp. 

  32. Oh, Y.C., 1984, Korean Cyperaceae(Vol. 2).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160 pp. 

  33. Oh, Y.C., 1986, Korean Cyperaceae(Vol. 3).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166 pp. 

  34. Park, K.H., J.H. You and B.G. Song, 2010.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4(4): 395-405. 

  35.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36. Park, S.J., S.J. Park and S.W. Son, 2009. The Flora of Costal Sand Dune area in Gyeongsangbuk-do. Kor. J. Env. Eco., 23(5): 392-410. 

  37. Shim, H.B., S.M. Seo and B.H. Choi, 2002.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i Bay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 25-34. 

  38. Shim, H.B., W.B. Cho and B.H. Choi, 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ean J. Pl. Taxon, 39(4): 264-276. 

  39. You, J.H., K.H. Park, Y.C. Yoon and B.G. Song, 2009, Vass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 29-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