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Flour Partly Substituted by Lotus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1, 2009년, pp.47 - 52  

박상하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경희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변광인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강우원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빵용 시판 강력분에 연잎 분말을 첨가한 건강 기능성 식빵 제조를 위하여 연잎 분말의 첨가량을 2.5%-7.5%로 변화시키면서 반죽에 대한 물성, 식빵의 저장성, 제빵적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빵의 비용적은 연잎 분말 2.5% 첨가구에서 약 5%의 증가를 보였으나 연잎 분말 5%, 7.5% 첨가구의 경우는 각각 대조구의 87%, 80%에 상당하는 비용적을 나타내어 연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비용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성 실험에서 제빵 직후의 빵 crumb의 경도는 연잎 분말 2.5%첨가구에서 64.5으로 가장 부드러운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에 따른 노화의 속도도 가장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이상 첨가시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 crumb의 경도도 증가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경도값은 연잎 분말의 첨가와 비례하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값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의 첨가에 의해 변화하는 빵내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L값은 연잎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연잎 분말 2.5% 첨가구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맛에서 대조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에서 조직감,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2.5%정도의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제빵적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ead made after replacement of commercial hard wheat flour with lotus leaf flour (2.5 - 7.5%, w/w) was tested for dough and baking qualities, and by sensory evaluation. The loaf volumes of bread baked with 5% and 7.5% lotus leaf flour were 87% and 80%, respectively, of control (wheat flour only);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으로 우수한 연잎을 사용한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고자 최근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제빵 산업에 있어서 기능성 재료인 연잎을 첨가하여 제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이란? 연(Nelumbo nucifera)은 수련과의 다년생 수초로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로 한국에서는 곳곳의 연못에서 연을 볼 수 있으며 특히 불교에서는 예로부터 연을 신성시하여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였다. 국내에서 식용을 목적으로 연을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약 40년 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농가에서 수익성 작물로 연못이나 논에 연을 심어서 대량으로 재배하는 곳이 늘고 있다.
뮤신의 효능은 무엇인가? 연근은 수용성 섬유질이 많아 변비에 좋고 혈압강하에도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연근에는 당단백질인 뮤신이 함유되어 있고 이것은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연근에 함유된 탄닌은 강력한 수렴작용이 있어 지혈 효과가 탁월하고 항산화 작용도 크다고 알려져 있다(4).
연잎의 생리활성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연잎은 하엽(荷葉)이라 하며 roemerine, nornuciferine, nuciferine등과 같은 알카로이드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진정 작용과 해열작용이 있으며 당뇨 및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또한 주석산,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탄닌 등의 성분에 대한 연구도 보고된 바 있다(7-10). 이러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연잎에 대한 선행 연구로써 조릿대, 연근과 연잎이 인슐린 작용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11), 연잎 건분이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10,12),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9,13)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H, D., Kim, Y, S., Choi, I. W., Seog, H. M, and Park, Y, D. (2006) Anti-obesity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in rats fed with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74-678 

  2. Han, S. H. and Park, S. H. (2008) Effect of Lycii fructu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1% cholesterol fed rats. Korean J. Food Culture, 23. 521-528 

  3. Kim, T. S., Park, W. J., Ko, S. B. and Kang, M. H. (2008) Development of extracts of Lycii folium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18-1322 

  4. Ling, Z. Q., Xie, B. J. and Yang, E. L. (2005) l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oligomeric procyanidins from the seedpod of Nelumbo nucifera Gaertn. J. Agric. Food Chem., 53, 2441-2445 

  5. Kim, D. C., Kim, D. W. and In, M. J. (2006) Preparation of lotu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63-164 

  6. Son, K. H. and Park, D. 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i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77-986 

  7. 변부형, 문갑순, 송영선, 방은주 (2005) 중국의 건강 기능성 식품.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p. 98-99 

  8. 육창수 (1989) 한국약용식물도감. 아키데미서적. 서울. p. 219-230 

  9. Lee, K. S. and Kim, M. G. and Lee, K. 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6 

  10. Shin, M. K., Han, S. H. (2006)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202-208 

  11. Go, B. S., Jun, D. W., Jang, J. S., Kim, J. H. and Park, S. 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14-120 

  12. Kim, S. B., Rho, S. B., Rhyu, D. Y. and Kim, D. 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IB hamster. Kor. J. Pharmacogn, 36, 229-234 

  13. Lee, K. S., Oh, C. S. and Lee, K. Y.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19-223 

  14. Lee, H. K., Choi, Y. M., Noh, D. O. and Suh, H. J. (2005)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lotus liquor (Yunyupju). Int. J. Food Sci. Technol., 40, 709-715 

  15. Shin, Y. 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47-953 

  16. Yoon, S. 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33-442 

  17. Kang, W. W., Kim, G. Y., Kim, J. K. and Oh, S. L. (2000) Quality characteristice of the bread added persimmon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 336-341 

  18. Park, S. H., Maeda, T. and Morita, N. (2005) Effect of whole quinoa flours and lipase on the chemical, rheological and breadmaking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J. Appl. Glycosci., 52, 337-343 

  19. Morita, N., Hirata, C. Park, S. H. and Mitunaga, T. (2001) Quinoa flour as a new foodstuff for improving dough and bread. J. Appl. Glycosci., 48, 263-270 

  20. Park, S. H. and Morita, N. (2004) Effect of enzymes on the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of wheat flour partly substituted for amaranth flour. Food Sci. Technol. Res., 10, 127-131 

  21. Choi, D. J., Shin, J. H., Lee, S. J., Lee, H. J. and Kwon, O.C.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form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Nutr., 20, 282-288 

  22. Ryu, C. H. (1999)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of waxy barley-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34-1043 

  23. Kim, S. J., Kim, H. J., Ma, S. J. and Kim, S. J. (2005)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s. Korean J. Food Culture, 20, 433-4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