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1, 2009년, pp.10 - 21  

류상옥 (목포대학교 갯벌연구소)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이희준 (한국해양연구원 지질연구단) ,  조영조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과) ,  최옥인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고극조위 상승과 같은 조석환경 변화가 심한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분포 변화와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고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1998년에 비해 역과 사의 조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실트의 함량이 감소하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6.2${\phi}$에서 5.8${\phi}$로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립질퇴적물의 함량 증가와 실트의 함량 감소는 만조선 주변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암리와 구로리, 압해도 조간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조선 주변의 조립화 현상은 일차적으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고극조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측 만입구 주변에서 세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인공구조물(교각) 건설에 따른 조류속의 감소와 위상차에 의한 조류의 방향 변화 등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an Bay has extensively undertaken artificial influences through a series of construction of dams and dykes nearby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highest high water level. To unravel sedimentary responses to the water level rise, we collected a number of surface sediment samples and hydro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먼저, 전처리 과정을 통해 염분과 유기물, 탄산염을 제거한 다음, 습식체질을 통해 4ø 이상의 조립질 시료와 세립질 시료를 분리하였다.
  • 무안만의 조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4월 대조기에서측 만입구(정점 W)와 남측 만입구 주변(정점 S)에서 각각 25시간 동안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조류관측에는 RCM-7(Aanderaa, Norway)이 사용되었으며, 관측한 깊이는 해수면 하 5m이다.
  • 먼저, 전처리 과정을 통해 염분과 유기물, 탄산염을 제거한 다음, 습식체질을 통해 4ø 이상의 조립질 시료와 세립질 시료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조립질 시료는 표준체를 이용한 체분석법에 의해서, 그리고 세립질 시료는 침전속도를 이용한 피펫 방법에 의해 무게를 구한 후, 조립질 시료와 세립질 시료의 무게를 합하여 각 구간에 대한 무게 백분율을 구하였다. 이때 입자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제로는 칼곤(sodium hexameta-phosphate)을 사용하였다.
  • 현장에서 채취된 주상시료는 양끝을 스치로폼으로 막은 후 방수테이프로 감아 공극수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개하였다. 절개한 주상시료는 10 cm 간격으로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입도분석 결과는 퇴적구조, 암색 등의 자료와 더불어 퇴적상 분석에 이용되었다.
  • 2A). 표층퇴적물은 선상에서 채니기(Labond-type grab sampler)를 사용하여 채취하였고, 이들의 위치는 GPS(Garmin 100 SRVY I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퇴적상: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역에서 점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입도의 퇴적물로 구성된다. 표층퇴적물을 Folk(1968)의 삼각 다이아그램에 도시한 결과 역(G, gravel), 니질역(mG, muddy gravel), 니사질역(msG, muddy sandy gravel), 사질역(sG, sandy gravel), 역질니(gM, gravelly mud), 역니질사(gmS, gravelly muddy sand), 약역질니((g)M, slightly gravelly mud), 약역니질사((g)mS, slightly gravelly muddy sand), 사질니(sM, sandy mud), 사질실트(sZ, sandy silt), 니(M, mud), 실트(Z, silt)의 12개 퇴적물 유형(sedimentary types)으로 구분되어 퇴적물의 조직 특성에 따라 니사질역(msG), 역니질사(gmS), 역사질니(gsM), 사질니(sM), 니(M)의 5개 퇴적상(facies)으로 조합하였다(Table 1).
  • 주상시료는 직경 60 mm, 길이 1 m의 PVC 파이프를 이용하여 획득되었다. 현장에서 채취된 주상시료는 양끝을 스치로폼으로 막은 후 방수테이프로 감아 공극수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개하였다. 절개한 주상시료는 10 cm 간격으로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입도분석 결과는 퇴적구조, 암색 등의 자료와 더불어 퇴적상 분석에 이용되었다.

대상 데이터

  • 무안만의 표층퇴적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4월에 등간격으로 총 216개 정점을 설정한 후 표층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Fig. 2A). 표층퇴적물은 선상에서 채니기(Labond-type grab sampler)를 사용하여 채취하였고, 이들의 위치는 GPS(Garmin 100 SRVY I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분리된 조립질 시료는 표준체를 이용한 체분석법에 의해서, 그리고 세립질 시료는 침전속도를 이용한 피펫 방법에 의해 무게를 구한 후, 조립질 시료와 세립질 시료의 무게를 합하여 각 구간에 대한 무게 백분율을 구하였다. 이때 입자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제로는 칼곤(sodium hexameta-phosphate)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모든 자료는 그래픽 방법에 의해 처리되었고, 평균입도, 분급, 왜도, 첨도 등의 통계적 입도상수는 Folk and Ward(1957)의 계산식에 의해 구하였다.
  • 무안만의 조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4월 대조기에서측 만입구(정점 W)와 남측 만입구 주변(정점 S)에서 각각 25시간 동안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조류관측에는 RCM-7(Aanderaa, Norway)이 사용되었으며, 관측한 깊이는 해수면 하 5m이다.
  • 2B). 주상시료는 직경 60 mm, 길이 1 m의 PVC 파이프를 이용하여 획득되었다. 현장에서 채취된 주상시료는 양끝을 스치로폼으로 막은 후 방수테이프로 감아 공극수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개하였다.

이론/모형

  • 또한 10ø보다 세립한 입도의 질량은 외삽법에 의한 균등 분배 방식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 이때 입자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제로는 칼곤(sodium hexameta-phosphate)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모든 자료는 그래픽 방법에 의해 처리되었고, 평균입도, 분급, 왜도, 첨도 등의 통계적 입도상수는 Folk and Ward(1957)의 계산식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10ø보다 세립한 입도의 질량은 외삽법에 의한 균등 분배 방식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Ingram(1971)의 표준입도분석 방법에 의거하였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처리 과정을 통해 염분과 유기물, 탄산염을 제거한 다음, 습식체질을 통해 4ø 이상의 조립질 시료와 세립질 시료를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퇴적상: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역에서 점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입도의 퇴적물로 구성된다. 표층퇴적물을 Folk(1968)의 삼각 다이아그램에 도시한 결과 역(G, gravel), 니질역(mG, muddy gravel), 니사질역(msG, muddy sandy gravel), 사질역(sG, sandy
목포 주변 해역에 영산강하구언이 언제 건설되었는가? 목포 주변 해역에서는 1981년에 영산강하구언이 건설되었고, 1991년과 1994년에는 영암방조제와 금호방조제가 건설되어(Fig. 1) 각각 35 km2, 130 km2, 60 km2의 감조수역이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조위 및 조석의 비대칭성에 큰 변화가 초래되었다(강, 1996).
무안만 만입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1). 만입구는 만의 서측과 남측에 각각 폭 1 km 내외로 좁고 길게 발달되어 있고, 서측 만입구는 탄도만과 압해도-매 화도 수로를 따라, 그리고 남측 만입구는 외해와 연결되는 목포구와 연결된다. 수심은 서측 만입구에서 약 16 m, 남측 만입구에서 약 27 m로 깊고 동측과 북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얕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주환, 1996.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6(II-6): 611?619 

  2. 강주환, 문승록, 2000. 조석환경 변화를 고려한 목포항의 고극조위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4): 203?209 

  3.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6. 조석/해일 환경 변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2): 185?193 

  4.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2): 185?193 

  5.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확산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6): 613?622 

  6. 국립지리원, 1982. 연안해역 기본도(고이, 압해) 

  7. 국토해양부, 2008. 연안습지 생태계 조사. 383 pp 

  8. 류상옥, 김주용, 유환수, 2000.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28?136 

  9.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2001.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한국지구과학회지, 22(1): 30?39 

  10. 이석우, 1994. 한국항만수리지. 집문당, 서울. pp. 93-116 

  11. 임동일, 정회수, 추용식, 박광순, 강시환, S.Y. Yang, 2002. 한국서해 남부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연구 I. 해안절벽의 침식과 후퇴.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3): 148?156 

  12. 최병호, 1984. 영산강 하구의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위 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4(2): 113?124 

  13. 홍재상, 1998. 한국의 갯벌. 대원사, 서울. 143 pp 

  14. Byun, D.S., X.H. Wang and P.E. Holloway,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9(2): 185?196 

  15.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s, Austin, 170pp 

  16.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ournal of Sedimentology Petrology, 27(1): 3?26 

  17.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 by R.E. Carver, Wiley-Interscience, New York, pp. 49?67 

  18.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8(4): 429?438 

  19. Lee, H.J., Y.S. Chu and Y.A. Park,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3-4): 171?184 

  20.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closed bay: Hampyong Bay, South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3-4): 481?492 

  21. Ryu, S.O., H.J. Lee and J.H. Chang, 2004. Seasonal cycle of sedimentary process on mesotidal flat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southern west coast of Korea: culminating summertime erosion.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1): 137?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