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광합성색소 분석을 통한 광양만 갯벌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in Sediments of the Estuarine Muddy Sandflat of Gwangyang Bay: HPLC Pigment Analysi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1, 2009년, pp.48 - 55  

이용우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은정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 ,  김영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강창근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양만 조간대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와 해수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의 계절변동 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2년 1월부터 11월까지 매월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photosynthetic pigments)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합성색소 분석결과 규조류(diatoms)의 주요 지표색소인 fucoxanthin, diadinoxanthin 그리고 diatoxanthin이 퇴적물과 상부 해수에서 연중 우점하여 나타났다. 이들을 제외한 다른 색소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깊이 0.5 cm까지의 표층퇴적물에서 측정한 chlorophyll ${\alpha}$ 농도는 3.44${\sim}$169 mg $m^{-2}$의 범위로 연평균 농도는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 갯벌 퇴적물에서 각각 $68.4{\pm}45.5,\;21.3{\pm}14.3,\;22.9{\pm}15.6mg\;m^{-2}$로 나타났다. 반면 퇴적물 상부 수주 전체 수심(2.6 m)에 대해 적산한 chlorophyll ${\alpha}$ 농도는 1.66(11월)${\sim}$11.7(7월) mg $m^{-2}$의 농도 범위로 평균 $6.96{\pm}3.04mg\;m^{-2}$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갯벌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저서미세조류의 농도는 해수 중 존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농도보다 3${\sim}$10배 정도 높은 것으로 추산되었다. 퇴적물과 상부 해수 중 미세조류의 농도에서 유사한 월별변화와 군집조성은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가 광양만 해수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상당부분을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이들 저서미세조류는 갯벌 생물뿐만 아니라 재부유에 의한 수송을 통하여 인근 연안 생태계의 생물군에 대한 중요한 영양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거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variations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both the sediment and the seawater were investigated by HPLC pigment analysis in an estuarine muddy sandflat of Gwangyang Bay from January to November 2002. Based on the photosynthetic pigments, fucoxanthin, diadinoxanthin, an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분석을 통하여 광양만 내 수주(water column)와 갯벌 퇴적물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구조의 계절변동을 비교하고, 갯벌의 조위대(tidal height)에 따른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구조 및 퇴적물 내에서의 수직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lorophyll 색소분석 시 spectrum band의 중복으로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되는 것을 보완하는데 사용되는 방법과 그 이점은? , 1985).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각각의 색소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HPLC를 이용한 분석 방법이 도입되었고, 이 방법은 조류의 생체량뿐만 아니라 강(class) 수준이지만 조류의 군집조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또한 chlorophyll 분해산물의 분석을 통하여 조류의 생리적 상태와 소비자에 의한 섭식강도(grazing intensity)를 파악할 수도 있다(Bidigare et al., 1986; Burkill et al.
갯벌 연안 생태계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역할은? 저서미세조류는 재부유를 통하여 수주(water column)로 공급되어 수주 내에 존재하는 chlorophyll a의 약 30~6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갯벌 내에 고밀도로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 Jonge and van Beusekom, 1992). 이들은 또한 영양염류의 재순환, 산소의 조절 그리고 퇴적물의 안정도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Paterson, 1989; Sundbäck et al., 1991).
저서미세조류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저서미세조류는 운동성을 가지는 epipelic algae(epipelic diatoms, cyanobacteria, euglenoids, flagellate 등)와 모래 입자 표면에 강하게 흡착하여 서식하는 epipsammic algae 등 크게 2가지 군으로 구분된다(Meadows and Anderson, 1968). 이들은 광합성을 하므로 퇴적물 내에서 빛 투과 한계점인 표층 약 2~4 mm 상층부에서 주로 서식하며(Colijn, 1982; MacIntyre and Cullen, 1995), 운동성을 가진 epipelic algae의 활발한 수직 회유(migration)와 hydrodynamic forces 그리고 생물교란(bioturbation) 등에 의해서 10 cm 이하의 깊이에서도 이들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Cadée and Hegeman, 1974; Montan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rranguet, C., J. Kromkamp and J. Peene, 1998. Factor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Mar. Ecol. Prog. Ser., 173: 117?126 

  2. Bianchi, T.S., S. Findlay and R. Dawson, 1993. Organic matter sources in the water column and sediments of the Hudson River estuary: the use of plant pigments as tracers. Estuar. Coast. Shelf Sci., 36: 359?376 

  3. Bidigare, R.P., T.J. Frank, C. Zastrow and J.M. Brooks, 1986. The distribution of algal chlorophyll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the Southern Ocean. Deep-Sea Res., 33: 923?937 

  4. Brunet, C., J.M. Brylinski and Y. Lemoine, 1993. In situ variations of the xanthophylls diatoxanthin and diadinoxanthin: photoadaptation and relationships with a hydrodynamical system in the eastern English Channel. Mar. Ecol. Prog. Ser., 102: 69?77 

  5. Burkill, P.H., R.F.C. Mantoura, C.A. Llewellyn and N.J.P. Owens, 1987. Microzooplankton grazing and selectivity of phytoplankton in coastal waters. Mar. Biol., 93: 581?590 

  6. Cadee, G.C. and J. Hegeman, 1974. Primary production of the benthic microflora living on tidal flats in the Dutch Wadden Sea. Neth. J. Sea Res., 8: 260?291 

  7. Colijn, F., 1982. Light absorption in the waters of the Ems-Dollard Estuary and its consequences for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Neth. J. Sea Res., 15: 196?216 

  8. Colijn, F. and V.N. de Jonge, 1984. Primary produc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Ems-Dollard Estuary. Mar. Ecol. Prog. Ser., 14: 185?196 

  9. de Jong, D.J. and V.N. de Jonge, 1995.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a in the Western Scheldt estuary (SW Netherlands). Hydrobiol., 311: 21?30 

  10. de Jonge, V.N. and F. Colijn, 1994. Dynamics of microphytobenthos biomass in the Ems estuary. Mar. Ecol. Prog. Ser., 104: 185?196 

  11. de Jonge, V.N. and J.E.E. van Beusekom, 1992. Contribution of resuspended microphytobenthos to total phytoplankton in the Ems Estuary and its possible role for grazers. Neth. J. Sea Res., 30: 91?105 

  12. Delgado, M., V.N. de Jonge and H. Peletier, 1991. Experiments on resuspension of natural microphytobenthos populations. Mar. Biol., 108: 321?328 

  13. Demers, S., S. Roy, R. Gagnon and C. Vignault, 1991. Rapid lightinduced changes in cell fluorescence and in xanthophyll-cycle pigments of Alexandrium excavatum (Dinophyceae) and Thalassiosira pseudonana (Bacillariophyceae): a photo-protection mechanism. Mar. Ecol. Prog. Ser., 76: 185?193 

  14. Du, G. and I.K. Chung, 2007.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the Nakdong Estuary. J. Korean Soc. Oceanogr., 12: 186?190 

  15. Guarini, J.M., G.F. Blanchard, C. Bacher, P. Gros, P. Riera, P. Richard, D. Gouleau, R. Galois, J. Prou and P.G. Sauriau, 1998. Dynamics of spatial patterns of microphytobenthic biomass: inferences from a geostatistical analysis of two comprehensive surveys in Marennes-Ol $\'{e}$ ron Bay (France). Mar. Ecol. Prog. Ser., 166: 131?141 

  16. Holm-Hansen, O., C.J. Lorenzen, R.W. Holmes and J.D.H. Strickland, 1965. Fluori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J. Cons. perm. int. Explor. Mer., 30: 3?15 

  17. Hyun, S., W.H. Paeng and T. Lee, 2004. Characteristics of surficial sediment and benthic environments based on geochemical data in Gwangyang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2: 93?102 

  18. Kang, C.K., J.B. Kim, K.S. Lee, J.B. Kim, P.Y. Lee and J.S. Hong, 2003.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 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Mar. Ecol. Prog. Ser., 259: 79?92 

  19. Kang, C.K., Y.W. Lee, E.J. Choy, J.K. Shin, I.S. Seo and J.S. Hong, 2006. Microphytobenthos seasonality determines growth and reproduction in intertidal bivalves. Mar. Ecol. Prog. Ser., 315: 113?127 

  20. Levinton, J.S. and M. McCartney, 1991. Use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diments as a tracer for sources and fates of macrophyte organic matter. Mar. Ecol. Prog. Ser., 78: 87?96 

  21. Lorenzen, C.L.,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 Oceanogr., 12: 343?346 

  22. Lucas, C.H., J. Widdows, M.D. Brinsley, P.N. Salkeld and P.M.J. Herman, 2000. Benthic-pelagic exchange of microalgae at a tidal flat. 1. Pigment analysis. Mar. Ecol. Prog. Ser., 196: 59?73 

  23. MacIntyre, H.L. and J.J. Cullen, 1995. Fine-scale vertical resolution of chlorophyll and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shallow-water benthos. Mar. Ecol. Prog. Ser., 122: 227?237 

  24. MacIntyre, H.L., R.J. Geider and D.G. Miller, 1996. Microphytobenthos: the ecological role of the “Secret Garden” of unvegetated, shallow-water marine habitats. I. Distribution, abundance and primary production. Estuaries and Coasts, 19: 186?201 

  25. Meadows, P.S. and J.G. Anderson, 1968. Micro-organisms attached to marine sand grains. J. mar. biol. Ass. U.K., 48: 161?175 

  26. Meleder V., L. Barille, Y. Rince, M. Morancais, P. Rosa and P. Gaudin, 2005. Spatio-temporal changes in microphytobenthos structure analysed by pigment composition in a macrotidal flat (Bourgneuf Bay, France). Mar. Ecol. Prog. Ser., 297: 83?99 

  27. Moline, M.A., 1998. Photoadaptive respon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coastal Antarctic diatom bloom and relationship to water column stability. Limnol. Oceanogr., 43: 146?153 

  28. Montagna, P.A., G.F. Blanchard and A. Dinet, 1995. Effect of produc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on meiofaunal grazing rates. J. Exp. Mar. Biol. Ecol., 185: 149?165 

  29. Montani, S., P. Magni and N. Abe, 2003.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combination with laboratory and areal production estimates. Mar. Ecol. Prog. Ser., 249: 79?91 

  30. Oh, S.J., C.H. Moon and M.O. Park, 2004. HPLC analysis of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aemank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7: 215?225 

  31. Park, M.O., C.H. Moon, H.S. Yang and J.S. Park, 1999.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s in the Korea Strait. J. Oceanol. Soc. Korea, 34: 95?112 

  32. Park, M.O. and J.S. Park, 1997. H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J. Oceanol. Soc. Korea, 32: 46?55 

  33. Paterson, D.M., 1989. Short-term changes in the erodibility of intertidal cohesive sediments related to the migratory behavior of epipelic diatoms. Limnol. Oceanogr., 34: 223?234 

  34. Sundback, K., V. Enoksson, W. Graneli and K. Pettersson, 1991. Influence of sublittoral microphytobenthos on the oxygen and nutrient flux between sediment and water: a laboratory continuous- flow study. Mar. Ecol. Prog. Ser., 74: 263?279 

  35. Therriault, J.C., D. Booth, L. Legendre and S. Demers, 1990. Phytoplankton photoadaptation to vertical excursion as estimated by an in vivo fluorescence ratio. Mar. Ecol. Prog. Ser., 60: 97?111 

  36. Trees, C.C., M.C. Kennicutt II and J.M. Brooks, 1985. Errors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fluori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and phaeopigments. Mar. Chem., 17: 1?12 

  37. Welschmeyer, N.A. and N. Hoepffner, 1986. Rapid xanthophyll cycling: an in situ tracer for mixing in the upper ocean. EOS (Trans. Am. Geophys. Un.), 67: 969 

  38. Yoo, M.H. and J.K. Choi, 2005. Seasonal distribu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microphytobenthos on an intertidal mud flat of the Janghwa in Ganghwa Island, Korea. J. Korean Soc. Oceanogr., 10: 8?18 

  39. Young, A.J. and H.A. Frank, 1996. Energy transfer reactions involving carotenoids: quenching of chlorophyll fluorescence.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36: 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