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Petrologic and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in the Ijin-ri Area, Ulsa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no.3 = no.57, 2009년, pp.211 - 221  

김선웅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항묵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황병훈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양경희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진섭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시 이진리 지역에 분포하는 미문상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이 지형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은 대부분 담갈색 내지 회백색을 띠며, 1~2 mm 내외의 중립 내지 세립의 석영정장석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 석영과 정장석이 연정을 형성하여 미문상 조직을 보인다. 미문상화강암이 분포한 연구지역에는 인셀베르그, 토르, 타포니, 나마와 같은 미지형이 관찰된다. 연구지역의 북측에는 타포니가, 남측에는 나마가 주로 발달해 있으며,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플루팅 코어와 래이즈드 림이 나타난다. 미문상 화강암의 조직적 특징을 분류기준으로 하여 외대(A) 내대(B)로 구분하였으며, 미문상 조직이 내대에서 외대로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형학적 특징이 이에 부합하여 나타난다. 즉, 외대의 지형학적 특징은 범바위 같은 타포니로 이루어진 미지형이 주로 나타나며, 내대는 차일암과 같은 대(platform)로 대표되는데 이는 암석학적 특성이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플루팅 코어, 래이즈드 림 등의 특이지형은 미문상 화강암의 성인과 관련된 정동의 발달과 연관되어 있으며, 타포니, 나마 등의 미지형 형성에도 기원적인 요소로 작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암석의 입도와 정동의 분포 상태 등의 조직적 차이가 미지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and the topographic features around Ijin-ri. Light-brown to light- gray granite is composed of intergrown fine-grained quartz + orthoclase, displaying micrographic textures. Miarolitic cavi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울산 이진리 지역의 미문상 화강암을 대상으로 하여 암석기재적 특징과 미지형을 비교분석하여, 암석학적 특성이 미지형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것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마그마의 진화과정에 따른 암석의 조직적 차이가 지형경관의 형성에 주는 영향과 이에 따른 지형학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침식에 의해 드러나게 되면서 그 특징들은 각기 다른 지형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는 울산시 온산읍 이진리 해안지역에 분포하는 미문상 화강암에 대하여 암석학적 특성과 지형 형성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암석의 산출상태, 경하관찰, 지화학적 특성분석, 미지형관찰 및 특이지형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가설 설정

  • 첫째, 본 연구지역의 미지형 형성의 기원은 정동의 발달과 연관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권동희, 2007, 한국의 화강암 풍화지형 연구성과와 과제. 지형학회지 14, 21-31 

  2. 김규한, 이화정, 1996, 경상퇴적분지내에 분포하는 소위 마산암에 대한 암석성인연구. 자원환경지질, 29, 529-541 

  3. 김주환, 2002, 화엄사 부근의 지형과 지질. 지리학연구, 36, 71-87 

  4. 박경근, 2007, 화강암 풍화미지형의 연구동향과 과제. 지리학논총 26, 84-100 

  5. 박양대,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1:50,000) 방어진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4p 

  6. 반용부, 2005, 울산광역시 온산읍 이진리 범바위. 차일암 주변 해안일원 지형조사보고서, (사)자연사. 미래 환경학회. 6-75 

  7. 이상만, 1972, 경상분지내의 화강암류와 광화작용. 손치무교수 송수기념논문집, 195-219 

  8. 이수재 외, 2003,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 지질의 대상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27 

  9. 이종익, 1992, 경상분지 남부에 분포하는 천소 관입 화강암류에 대한 광물학적, 기재 암석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3, 176-199 

  10. 이종익, 1994, 경상분지 남부의 천소관입 화강암류에 대한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0, 482-496 

  11. 이준동, 1987, 경남 진동-마산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와 접촉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116p 

  12. 이준동, 1991, 경남 진동-마산 일대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2, 230-247 

  13. 이준동, 황병훈, 1999,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20, 80-95 

  14. 장 호, 1983, 지리산지 주능선동부의 주빙하지역. 지리학논총, 18, 31-50 

  15. 조기만, 2004, 화강암과 석조문화재에 관한 지형.지질학적 연구. 경상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40-80 

  16. 조기만, 좌용주, 2005,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암석학회지, 14, 24-37 

  17. 좌용주, 1997, 남해지역 금산 미문상화강암에 대한 암석기재. 지구과학회지, 18, 426-432 

  18. 진명식, 1981, 남한의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지화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144p 

  19. 황병훈, 1995,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질암체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70p 

  20.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309p 

  21. Lee, J.I., 1991, Petrology, mineralogy and isotopic study of the shallow-depth emplaced granitic rocks,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Origin of micrographic granite. Ph D. Thesis, University of Tokyo, 197p. 

  22. Fenn. M, 1979. On the origin of graphic intergroths. GSA Abs. with prog., v 11, 424 

  23. Hong, Y.K., 198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ambrian,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Korea. J Korean Inst, Mining Geol., 20, 35-60 

  24. Jin, M.S., 1980, Geological and isotopic contraints of the Jurassic and the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16, 205-215 

  25. Jin, M.S., 1985,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ic rocks in southern Korea-I Major elements geochemistry-. J. Geol. Soc. Korea, 21, 297-316 

  26. Jin, M.S., Kim, S.Y., and Lee, J.S., 1981, Granitic magmatism and associated mineralization in the Gyeongsang Basin. Mining Geol., 31, 245-259 

  27. Streckeisen, A., 1977, To each plutonic rock its proper name. Earth Science Review, 12, 1-33 

  28. Tuttle, O.F., and Bowen, N.L., 1958, Origin of granite in the light of experimental studies in the system of NaA1SiO $_{3}$ -KAISiO $_{3}$ -SiO $_{2}$ ,-H2 $_{2}$ . Mem. Geol. Soc. America, 74p 

  29. Twidale. C.R., 1982, Granite landforms. Elsevier, Amsterdam, 224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