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란만.사량도 패류생산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tyangdo Area,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2 no.5, 2009년, pp.442 - 448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이태식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a 12,700 ha area within Jaranman Saryangdo area, located in Jaran bay and Saryangdo island, was conducted with 35 fixed (designated areas and adjacent areas) seawater sampling stations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8. According to results, the geometric mean 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자란만 . 사량도해 역 에 대한 패류생산해역으로서 위생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에 걸쳐 해수에 대한 위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우리나라 수출용 패류생산 지정해 역 관리 기준과 미국의 패류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기준과 비교하였다.
  • 한편, 자란만 .사량도해역의 지정해역 외부에 위치한 6개 조사지점에 대해서도 총 36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조사지점별 기하평균 및 계산된 90th 값은 Fig. 3에 나타내었다.
  • 지난 3년간 7월부터 10월까지 해수의 월별 위생상태는 각지점에서 조사된 분변계대장균수를 Surfer 8.0 (Golden software Inc., USA)에 적용하여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시료 채취지점은 조사해역의 오염원, 지형적 여건, 해류유동상태, 조사 수행여건 등을 고려하여 35개소를 설정하였으며,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36회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였다. 해수는 표층용 채수기를 사용하여 수면에서 약 10 cm 깊이에서 멸균된 250 mL 유리병에 채수한 다음, 10℃ 이하로 유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즉시 실험에 사용하였다.
  • . 즉 시료를 단계 희석하여 5개 시험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추정시험 배지로는 Lauryl Tryptose Broth (Difco, US A) 를,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 확정시험 배지로는 Brilliant Green Lactose Bile Broth 2% (BGLB, Difco, US A) 와 EC 배지 (Difco, USA)를 각각 사용하였다.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은 100 mL 당 최확수 (Most Probable Number, MPN)로 표시하였다.
  • 시료를 채취하였다. 해수는 표층용 채수기를 사용하여 수면에서 약 10 cm 깊이에서 멸균된 250 mL 유리병에 채수한 다음, 10℃ 이하로 유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즉시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해수의 염분은 현장용 수질분석기 (YSI 556, YSI Life Scienc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은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Sea Water and Shellfish (APHA, 1970)에 따라 시험하였디..
  • 해수의 위생상태는 우리나라 수출용 패류생산해역의 위생관리 기준 (해양수산부 고시 제2002-74호)과 미국의 퍠류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기준 (U.S. FDA, 2007)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계산된 백분위의 90번째 값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이하 계산된 90th 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kerman D. and Weisberg SB. 2003.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beach bacterial concentrations on Santa Monica bay beaches. J Water and Health 1, 85-89 

  2. EC (European Commission). 1991. Council Directive 91/492/EEC of 15 July 1991. Official J European Communities L268, 1-14 

  3.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47 

  4. Burton GA Jr. and Pitt RE. 2002. Stormwater effects handbook: A toolbox for watershed managers scientists, and engineers. Lewis Publishers: CRe Press, New York, NY 

  5. Chen CY, Serrell N, Evers DC, Fleishman BJ, Lambert KF, Weiss J, Mason RP and Bank MS. 2008. Meeting report: Methylmercury in marine ecosystems. From sources to seafood consumer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6, 1706-1712 

  6. Choi JD, Jeong WG and Kim PH. 1998.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1, 429-436 

  7. Choi YK, Yang JY, Lee YS, Yu J, Kim OK, Han IS and Go WJ. 2007.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in the dry and wet seas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J the Environ Sci 16, 459-466 

  8. Cliver DO. 1988. Virus transmission via foods. Food Technol 42, 241-248 

  9. FAO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09.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08.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Rome. 1-81 

  10. Grimes DJ. 1991. Ecology of estuarine bacteria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 A review. Estuaries 14, 345-360 

  11. Haller D, Gill ON, Raynham E, Kirkland T, Zadick PM and Stanwell-Smith R. 1986. An outbreak of gastrointestinal illnes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raw depurated oysters. Br Med J 292, 1726-1727 

  12. Jensen ET. 1966. Shellfish and public health. J Milk and Food Tech 19, 281-283 

  13. Kim SJ. 1975. Sanitary studies of oyster and growing area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cy 14. 1-79 

  14. Legnani P, Leoni E, Lev D, Rossi R, Villa GC and Bisbini, P. 1998. Distribution of indicator bacteria and bacteriophages in shellfish and shellfish growing waters. J Appl Microbiol 85, 790-798 

  15. Lipp EK and Rose JB. 1997. The role of seafood in the foodbro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v. Sci. Technol. Off. lnt. Epizoot., 16, 620-640 

  16. MIFAFF (Ministry of Food, Aq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Annual report of KSSP (Korea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for 2007. MIFAFF, 3-5 

  17. MOMA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2. Sanitary criteria of producing . processing facilities and sea water area for fisheries products.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Article 2002-74 

  18. NIMPIS (National Introduced Marine Pest Information System). 2002. Crassostrea gigas species summary. National Introduced Marine Pest Information System. Hewitt CL, Martin RE, Sliwa C, McEnnulty FR, Murphy NE, Jones T and Cooper S, eds. from http://crimp.marine.csiro.au/nimpis on Sep. 15. 2007 

  19. Pitt R, Maestre A, Morquecho R, Brown T, Schueler T, Cappiella K, Sturm P and Swann C. 2004. Findings from the national stormwater quality database (NSQD).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20. Sherwood HP. 1952. Some observations of the viability of sewage bacteria in relation to shelf-purification of mussels. Proceeding of Soc for Appl Bact 15, 21-28 

  21.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J Kor Fish Soc 41, 155-162 

  22. U.S.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Seafoo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on June 1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