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병한 신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Nephrotic Syndrome Manifest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3 no.2, 2009년, pp.161 - 169  

조성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학교실) ,  이주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학교실) ,  조영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병리학교실) ,  박영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학교실) ,  정해일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자들은 1세 이하에 발병한 신증후군 환아 7명의 진단 및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본원에서 1세 이전에 신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아 7명을 대상으로 병록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선천성 신증후군은 3명, 영아형 신증후군은 4명 이었고, 남아가 1명, 여아가 6명으로 여아가 많았다. 6명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였고, 2명에서 미만성 메산지움 경화증, 2명에서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 1명에서 Finnish형 신증후군 그리고 나머지 1명에서는 미세 변화형으로 확인되었다. 4명의 환아에서 NPHS2, PLCE1, 그리고 WT1의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WT1 변이가 확인되었다. 선천성 신증후군으로 진단받은 3명 중 1명은 Finnish형 신증후군, 2명은 DDS로 진단받았고, 3명 모두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영아형 신증후군으로 진단받은 4명 중 2명은 사망하였고, 다른 1명은 관해가 되어 치료되었고, 나머지 1명은 치료 4개월 경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복막투석을 하고 있다. 1세 이전에 발병하는 선천성 신증후군은 소아 신증후군에 비하여 예후가 나쁘지만, 병력의 세밀한 검토, 임상소견 및 조직검사, 유전자 분석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빠르게 이루어져 조기 투석 및 신이식 등 적극적인 치료를 한다면 생존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1세 이전 진단받는 신증후군은 유전적 신질환으로 추후 이들 환아들에 대한 유전형-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por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phrotic syndrome manifest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data with chart review in 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nephrotic syndrome manifest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1세 이내에 발병할 경우에는 면역학적 원인보다는 유전적인 원인이 많기 때문에 면역억제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1세 이내에 발병하는신증후군을 다시 구분하면, 태아기부터 3개월 이내에 나타나는 신증후군을 선천성 신증후군이라고 하며, 생후 4개월에서 1세 이내에 발병하는 경우 영아형 신증후군이라고 한다[31

    1세 이하의 신증후군 환아에 대한 보고를 보면 적극적 치료 및 치료법의 발달로 생존률이 향상되고있음을 알 수 있으나 국내보고 및 외국보고의 수가드물다[4-161 이에 저자들은 1세 이하에 신증후군으로 진단받은 7명의 환아에서 임상소견, 유전자 검사, 신조직 검사, 치료 반응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저자들은 1세 이하에 발병한 신증후군 환아 7명의 진단 및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본원에서 1세 이전에 신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아 7명을 대상으로 병록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Vogt BA, Avner ED. Nephrotic syndrome.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phia: W.B. Saunders Co. 2007:2190-5. 

  2. Papez KE, Smoyer WE. Recent advances in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Curr Opin Pediatr 2004;16:165-70. 

  3. Habib R. Nephrotic syndrome in the first year of life. Pediatr Nephrol 1993;7:347-53. 

  4. Lee YK, Cha ES, Kwon MJ, Lee JS, Kim PK, Jeong HJ.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Korean J Nephrol 1997;16:136-41. 

  5. Motoyama O, Arai K, Kawamura T, Aikawa A, Ohara T, Iitaka K, et al. Clinical course of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and Denys-Drash syndrome in Japan. Pediatr Int 2005;47:607-11. 

  6. Choi HJ, Lee BH, Kang JH, Jeong HJ, Moon KC, Ha IS, et al. Variable phenotype of Pierson syndrome. Pediatr Nephrol 2008;23:995-1000. 

  7. Ismaili K, Pawtowski A, Boyer O, Wissing KM, Janssen F, Hall M. Genetic forms of nephrotic syndrome: a single-center experience in Brussels. Pediatr Nephrol 2009;24:287-94. 

  8. Vachvanichsanong P, Mitarnun W, Tungsinmunkong K, Dissaneewate P. Congenital and infantile nephrotic syndrome in Thai infants. Clin Pediatr (Phila) 2005;44:169-74. 

  9. Hahn H, Cho YM, Park YS, You HW, Cheong HI. Two cases of isolated diffuse mesangial sclerosis with WT1 mutations. J Korean Med Sci 2006;21:160-4. 

  10. Lee BH, Ahn YH, Choi HJ, Kang HK, Kim SD, Cho BS, et al. Two korean infants with genetically confirmed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of finnish type. J Korean Med Sci 2009;24:210-4. 

  11. Yu JJ, Cheong HI, Lee HS, Choi Y, Jin DK. A case of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due to diffuse mesangial sclerosis. J Korean Pediatr Soc 1998;41:415-9. 

  12. Hinkes BG, Mucha B, Vlangos CN, Gbadegesin R, Liu J, Hasselbacher K, et al. Nephrotic syndrome in the first year of life: two thirds of cases are caused by mutations in 4 genes (NPHS1, NPHS2, WT1, and LAMB2). Pediatrics 2007;119:907-19. 

  13. Jung HS, Cho EY, Lim JY, Seo JH, Choi MB, Park CH, et al. Galloway-Mowat syndrome in two siblings. J Korean Pediatr Soc 2001;44:1081-4. 

  14. Choi HJ, Lee BH, Kang JH, Jeong HJ, Moon KC, Ha IS, et al. Variable phenotype of Pierson syndrome. Pediatr Nephrol 2008;23:995-1000. 

  15. Yoo BW, Cho SM, Kie JH, Jung HJ, Kim KH. A Case of microcephaly and early-onset nephrotic syndrome: Galloway-Mowat syndrom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3;7:197-203. 

  16. Lee YK, Cha ES, Kwon MJ, Lee JS, Kim PK, Jeong HJ.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Korean J Nephrol 1997;16:136-41. 

  17. Ira DD, Ellis DA. Introduction to glomerular disease.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phia: W.B. Saunders Co. 2007:2163-6. 

  18. Liu G, Kaw B, Kurfis J, Rahmanuddin S, Kanwar YS, Chugh SS. Neph1 and nephrin interaction in the slit diaphragm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glomerular permeability. J Clin Invest 2003;112:209-21. 

  19. Lee YK, Kwon TG, Kim DJ, Kim MK, Yoon SJ, Lee HR, et al. Expression of nephrin in puromycin arninonucleoside nephrosis in rat. Korean J Nephrol 2002;21:382-90. 

  20. Koziell A, Grech V, Hussain S, Lee G, Lenkkeri U, Trryggvson K, et al.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of NPHS1 and NPHS2 mutations in nephritic syndrome advocate a functional inter-relationship in glomerular filtration. Hum Mol Genet 2002;11:379-88. 

  21. Heeringa SF, Vlangos CN, Chernin G, Hinkes B, Gbadegesin R, Liu J, et al. Thirteen novel NPHS1 mutations in a large cohort of children with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Nephrol Dial Transplant 2008;23:3527-33. 

  22. Dietrich A, Matejas V, Bitzan M, Hashmi S, Kiraly-Borri C, Lin SP, et al. Analysis of genes encoding laminin beta2 and related proteins in patients with Galloway-Mowat syndrome. Pediatr Nephrol 2008 ;23: 1779-86. 

  23. Schumacher V, Scharer K, Wuhl E, Altrogge H, Bonzel K, Guschmann M, et al. Spectrum of early onset nephrotic syndrome associated with WT1 missense mutations. Kidney Int 1998;53:1594-600. 

  24. Kestila M, Lenkkeri U, Mannikko M, Lamrdin J, McCready P, Putaala H, et al. Positionally cloned gene for a novel glomerular proteinnephrin-is mutated in congenital nephritic syndrome. Mol Cell 1998;1:575-82. 

  25. Beltcheva OJ, Martin P, Lenkkeri U, Tryggvason K. Mutation spectrum in the nephrin gene (NPHS1) in congenital nephritic syndrome. Hum Mutat 2001;17:368-73. 

  26. Hasselbacher K, Wiggins RC, Matejas V, Hinkes BG, Mucha B, Hoskins BE, et al. Recessive missense mutations in LAMB2 expand the clinical spectrum of LAMB2-associated disorders. Kidney Int 2006;70:1008-12. 

  27. Winn MP, Daskalakis N, Spurney RF, Middleton JP. Unexpected role of TRPC6 channel in familial nephritic syndrome: Dose in have clinical implications? J Am Soc Nephrol 2006;17:378-87. 

  28. Hinkes B, Wiggins RC, Gbadegesin R, Vlangos CN, Seelow D, Nurnberg G, et al. Positional cloning uncovers mutations in PLCE1 responsible for a nephritic syndrome variant that maybe reversible. Nat Genet 2006;38:1397-405. 

  29. Choi HJ, Lee BH, Cho HY, Moon KC, Ha S, Nagata M, et al. Familial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associated with an ACTN4 mutation and paternal germline mosacism. Am J Kidney Dis 2008;51:834-8. 

  30. Patrakka J, Kestila M, Wartiovaara J, Ruotsalainen V, Tissari P, Lenkkeri U, et al.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NPHS1): Features resulting from different mutations in Finnish patients. Kidney Int 2000;58:972-80. 

  31. Su W, Chen J, Yang H, You L, Xu L, Wang X, et al. Expression of nestin in the podocytes of normal and diseased human kidney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7;292:1761-7. 

  32. Kohsaka T, Tagawa M, Yamada M. Denys-Drash syndrome. Nippon Rinsho 2006;3:457-64. 

  33. Hurber TB, Benzing T. The slit diaphragm: a signaling platform to regulate podocyte function.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005;14:211-6. 

  34. Habio R, Loirat C, Gubler MC, Niaudet P, Bensman A, Levy M, et al. The nephropathy associated with male pseudohermaphrodism and Wilms' tumor (Drash syndrome): a distinctive glomerular lesion, report of 10 cases. Clin Nephrol 1985;24:269-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