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 조사를 통한 산불 방향 및 확산 특성
Forest Fire Direction and Spread Characteristics by Field Investiga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3 no.5, 2009년, pp.96 - 102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산불 발생 및 확산특성은 산불 관리에 있어서 기초로 요구되는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 봄철까지 발생한 101개의 산불을 대상으로 발화지의 사면향, 확산방향, 바람방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화 후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확산면적, 화선길이, 화두속도, 측면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57%의 산불이 남향계열의 방위에서 발생하여, 서풍계열(66%)의 영향을 받아, 68%의 산불이 동향으로 확산되었다. 산불 발생 후 시간당 약 11.8ha의 산림이 연소되면서 화선의 길이는 0.5km가 증가하였다. 화두 방향에서는 시간당 약 0.13km 속도로, 산불의 측면에서는 시간당 약 0.05km 속도로 확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 ignition and spread characteristics are needed as basic data in fire management. Slope aspect of ignition point, spread direction, and wind direction at that time were analyzed and regression equations were proposed for predicting burned area, fire perimeter, head spread rate, and flan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 봄철 산불기간에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발화지를 추적하여 발화지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고, 산불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지형과 기상인자의 방향성과 산불 자체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이 산불 진화 현장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해면적, 화선길이를 추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산불을 진화할 때 개략적인 산불 연소면적과 이에 따른 화선길이 도출은 진화자원 투입량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이 발생한 시간부터 진화시간까지 소요된 시간과 연소면적, 화선길이와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 봄철 산불기간에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발화지를 추적하여 발화지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고, 산불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지형과 기상인자의 방향성과 산불 자체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이 산불 진화 현장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해면적, 화선길이를 추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의 산불 방향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본 연구에서 산불 방향이라 함은 산불이 발생한 지점의 방향, 산불의 확산방향, 이 때의 바람 방향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발화지점의 방향은 산지 사면이 향한 방향, 즉 사면향(Slope aspect)으로 정의하였으며, 해당 사면의 길이(Slope distance)는 수직방향으로 그은 선이 계곡과 능선을 만났을 때의 길이로 정의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 봄철까지 발생한 산불중 총 101개를 대상으로 발화지의 좌표와 피해지 경계를 현장 조사한 다음, 발생지점의 방향, 즉 사면향, 확산방향, 바람방향 등 세 가지 방향특성을 분석하고 시간대별 연소면적, 화선길이, 산불 타원 모델을 활용하여 화두와 측면의 확산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아울러 시간대별 연소면적, 화선길이, 산불 타원 모델을 활용하여 화두와 측면의 확산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57%의 산불이 남향계열의 방위에서 발생하여, 주풍인 서풍계열(66%)의 바람의 영향을 받아, 68%의 산불이 동향으로 확산되었다. 산불 발생 후 시간당 약 11.8ha의 산림이 연소되면서 화선의 길이는 0.5km가 증가하였다. 화두 방향에서는 시간당 약 0.13km 속도로, 산불의 측면에서는 시간당 약 0.05km 속도로 확산되었다. 향후 정확한 확산 특성을 구명하고, 모델화하기 위해서는 지형과 임상, 기상인자에 대한 세부적인 추가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관점에서 산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관점에서 산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이 중요하고, 이미 발생한 산불에 대해서는 빠른 시기에 진화하여 대형화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불 발생 및 확산에 대한 특성을 구명하는 것은 예방 및 진화 정책 수립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Podur, D.L. Martell and F. Csillag, 'Spatial Patterns of Lightning-caused Forest Fires in Ontario, 1976-1998', Ecological Modelling, Vol.164, pp.1-20(2003) 

  2. B.M. Wotton and D.L. Martell, 'A Lightning Fire Occurrence Model for Ontario',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Vol.35, pp.1389-1401(2005) 

  3. H.K. Preisler, D.R. Brillinger, R.E. Burgan and J.W. Benoit, 'Probability Based Models for Estimation of Wildfire Risk',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3, pp.133-142(2004) 

  4. A.A. Cunningham and D.L. Martell, 'A Stochastic Model for the Occurrence of Man-caused Forest Fir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Vol.3, pp.282-287(1973) 

  5. Chen, J. McAneney, 'Quantifying Bushfire Penetration in Urban Areas in Austral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31, p.4(2004) 

  6. E.S. Kasischke, D. Williams and D. Barry,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arge Fires in the Boreal Forest Region of Alask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1, No.2, pp.131-144(2002) 

  7. 이병두, 이명보,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3권, 제1호, pp.15-20(2009) 

  8.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 7권, 제4호, pp.57-64(2009) 

  9. 이시영, 안상현, 원명수, 이명보, 임태규, 신영철,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권, 제2호, pp.37-46(2004) 

  10. 산림청, '산불관리통합규정(산림청 훈령 제864호, 2006.08.04. 개정)'(2006) 

  11. D.H. Anderson, E.A. Catchpole, N.J. de Mestre and T. Parks, 'Modelling the Spread of Grass Fires', Journal Australian Mathematical Society, Vol.23, pp.451-466(1982) 

  12. M.A. Finney, 'FARSITE: Fire Area Simulator -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1998) 

  13. G.D. Richards, 'The Mathematical Modelling and Computer Simulation of Wildland Fire Perimeter Growth over a 3-Dimensional Surfac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9, No.3, pp.213-221 (1999) 

  14. ESRI, 'ArcView GIS Version 3.1.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Inc. Redlands, California, USA(1998) 

  15. Quantitative Decisions, 'Diameter extension (http://www.quantdec.com).2009.08.06'(2000) 

  16. Andrews, L. Patricia and Lloyd P. Queen, 'Fire Modeling and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0, pp.343-352(2001) 

  17. 산림청, '산불통계정보 관리시스템 (http://116.67.44.120/sanfire/main/index.asp). 2009.08.06.' (2009) 

  18. M.M. Kimothi and R.N. Jadhav, 'Forest Fire in the Central Himalaya: An Extent, Direction and Spread using IRS LISS-I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19, No.12, pp.2261-2274 (1998) 

  19. 이시영, '산불발생 위험도 및 연소확대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94) 

  20. S.J. Pyne, P.L. Andrews and R.D. Laven, 'Introduction to Wildland Fire', John Wiley & Sons, INC(1996) 

  21. 기상청, '기상연보', 기상청(2008) 

  22. R.C. Rothermel, 'A Mathematical Model for Prediction Fire Spread in Wildland Fuels', Res Paper INT 115, USDA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Ogden(1972) 

  23. G.D. Richards, 'A General Mathematical Framework for Modelling Tow-dimensional Wildland Fire Spread',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5, No.2, pp.63-72(1995) 

  24. 이병두, 'GIS와 RS를 이용한 2000년 삼척산불 행동특성 분석 및 산불확산예측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