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래마을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 - 프랑스인 주민과 방문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 Identity in Seo-Rae Village - Focusing on Comparison of Sense of Place between Inhabitants and Visitor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4, 2009년, pp.32 - 41  

한성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시스템 공학부)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장소 만들기를 비롯한 경관계획의 증가와 함께, 도시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 특성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마을, 도심 속 명소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장소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마케팅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장소의 창조와 장소마케팅으로 인해 획일화, 상업화된 장소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프랑스인의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서울시의 명소로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는 서래마을을 대상으로 주민과 방문자의 장소성 지각의 차이와 장소적 현상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래마을은 프랑스인 주민의 주거 및 교육환경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 장소로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과 의미의 범위에 한정되는 내부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이 결여된 형태로써, 이는 주민의 소극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째, 방문자의 경우에는 프랑스 마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른 활동 및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의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 여부는 이러한 외부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방문자의 활동 및 장소에 대한 의미부여는 한국인으로 형성된 상권의 활성화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장소의 상업화 및 활동의 확대는 서래마을의 내부성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내부성과 외부성의 역전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서래마을은 내부의 경험이 아닌, 방문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로써, 프랑스적 상징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대중적 정체성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프랑스인의 거주목적으로 이루어진 내부성은 진정성이 결여된 프랑스적 기호를 매개로 한 가공된 장소성으로 재생산 되었으며, 이는 장소의 본질적 측면 보다는 과장되고 상업화된 장소로서 피상적인 가면성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ces such as famous urban sights and foreign settlements have recently been created in Korea, which reflects the increase i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and the number of place-making and landscape-planning projects. Understanding place identity is required in environmental design and plan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장소성 관련 연구는 주로 개념 중심 혹은 사례를 통한 이론의 확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핵심적인 장소성 이론을 실제 장소에서의 인간의 장소감 비교를 통해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놓칠 수 있는 장소와 인간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장소의 진정성과 내부성이 발현되는 장소의 창조 및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Relph(1976)가 지적하였듯이 환경 설계가들이 계획하는 장소를 입지라는 단일한 차원, 또는 그곳에 입지한 사물과 활동이 점유하는 공간 범위로 의미를 축소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장소의 본질에 대한 파악과 이해가 선행되어야함을 제시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핵심적인 장소성 이론을 실제 장소에서의 인간의 장소감 비교를 통해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놓칠 수 있는 장소와 인간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장소의 진정성과 내부성이 발현되는 장소의 창조 및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Relph(1976)가 지적하였듯이 환경 설계가들이 계획하는 장소를 입지라는 단일한 차원, 또는 그곳에 입지한 사물과 활동이 점유하는 공간 범위로 의미를 축소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장소의 본질에 대한 파악과 이해가 선행되어야함을 제시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개인, 집단, 사회와 문화의 특성이 하나의 개별적 혹은 얼개로서 상호 작용을 통해 발현되는 장소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시 서초구 서래마을의 장소성 형성 요인과 장소 정체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서래마을은 국내 프랑스인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어 프랑스 마을이라고도 불리며, 서울시의 방문 명소 중의 하나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래마을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서래마을을 방문하거나 방문한 적이 있는 한국인 및 외국인을 방문자로 정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조사와 개방형 설문조사의 질문 내용은 같았으며, 총 응답자 41명 중 35명은 한국인이었고, 외국인 6명은 프랑스인 2명, 호주인 2명, 이탈리아인 1명, 미국인 1명이었다.
  • 서래마을은 국내 프랑스인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어 프랑스 마을이라고도 불리며, 서울시의 방문 명소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서래마을을 대상으로 실제 거주자인 프랑스인과 방문자의 위치에서 서로 다르게 느껴지는 장소감과 이에 따른 장소의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장소성 형성요인과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지리학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문화지리학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장소성에 대한 연구는 조경ㆍ건축ㆍ도시설계 등 환경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분야에서 기초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핵심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의 저자 Relph(1976)가 환경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행태나 특정 문제에 대한 분석이 매우 기계적이고 추상적이며 세계를 쉽게 재현된 구조나 모델로 단순화해서, 일상적인 경험의 미묘함이나 의미를 소홀히 다루고 있으며, 이 단순화된 구조가 환경 설계의 토대가 되거나, 사람들과 장소를 더욱 효율적인 패턴으로 조작하는데 이용되고 있다1)고 우려한 것과 같이 장소성은 환경계획ㆍ설계에 있어서 깊이 있게 다루어지기 힘든 주제이기도 하다.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어떤 것이 결여된 형태인가? 첫째, 서래마을은 프랑스인 주민의 주거 및 교육환경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 장소로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과 의미의 범위에 한정되는 내부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이 결여된 형태로써, 이는 주민의 소극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째, 방문자의 경우에는 프랑스 마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른 활동 및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의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 여부는 이러한 외부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 장소성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장소 만들기를 비롯한 경관계획의 증가와 함께, 도시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 특성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마을, 도심 속 명소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장소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마케팅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장소의 창조와 장소마케팅으로 인해 획일화, 상업화된 장소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Relph, E. C., Place and Placelessness, 서울: 논형 

  2. 이석환, 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토지계획 32(5): 169-184 

  3.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4. 최막중, 김미옥(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2): 153-162 

  5. 홍경구(2009) 주제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구시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눈문집 계획계 25(1): 255-262 

  6. Bachelard, G.(1969) The Poetics of Space(Boston: Beacon Press) p. 211, pp. 217-218 

  7. Lukermann, F.(1964)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er 8(4): 169 

  8. Norberg-Schulz, C.(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London: Studio Vista 

  9.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10. Tuan, Y. F.(1977) Space and Pla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