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단기숙성 살라미의 냉장 및 실온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Vario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ort-ripened Salami During Storage at Chilled or Room Temperatur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9 no.1, 2009년, pp.24 - 33  

이근택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이연규 ((주)농심) ,  손세광 ((주)에쓰푸드) ,  최석호 (상지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승배 (상지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살라미의 냉장 및 실온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 양상과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국내 위생기준에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살라미의 개별 위생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살라미와 원료학적 미생물 오염 수준을 살펴보고 이 원료로 제조된 제품을 각각 10과 $25^{\circ}C$에 120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물리 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살라미 시료의 10과 $25^{\circ}C$ 저장 중 초발 총균수는 7.99 Log CFU/g이었으며 저장기간의 연장에 따라 변화하여 120일째에는 7.54 Log CFU/g으로 감소하였다. 유산균은 120일째 10과 $25^{\circ}C$에서 각각 7.57 Log CFU/g과 4.05 Log CFU/g으로 변화하여 Staphylococcus spp.와 함께 살라미의 주종균 임이 확인되었다. 기타 균종들은 두 온도에서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25^{\circ}C$ 저장 시료의 경우 유산균과 Staphylococcus spp.의 균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료육의 미생물은 2-4 Log 수준이였으며, 냉동/해동육, 특히 늙은 암퇘지 돈육의 경우 총균 및 대장균의 오염이 심하였다. 원료육에서는 S. aureus가, 저장 중 육제품에서는 Clostridium perfringens가 발견되었다. 살라미 제품의 식염, 수분, 조단백,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각각 약 3.4, 33.4, 30.8, 32.7 및 4.3% 수준이었으며 저장 기간과 온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살라미 시료의 pH는 4.79에서 5.02($10^{\circ}C$)와 5.26($25^{\circ}C$)로 저장 기간 중 각각 증가하는 대신 수분활성도는 0.91에서 0.90($10^{\circ}C$)와 0.88($25^{\circ}C$)로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BA값과 VBN값은 저장 기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0^{\circ}C$ 저장 살라미의 VBN값은 120일째 18.90 mg%로 부패 단계인 20 mg%까지 도달하지는 않았다. 육색 측정 결과 $25^{\circ}C$ 시료는 $10^{\circ}C$ 시료에서보다 'a'값(적색도)이 45일째부터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저장 기간이 연장될수록 경도, 부서짐성, 탄성, 응집성, 검성점착성 등이 저하되는 조직감을 보였으며 $10^{\circ}C$ 시료에서 보다 $25^{\circ}C$의 시료에서 더 빨리 연화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근거한 살라미제품의 저자 수명은 10과 $25^{\circ}C$에서 저장할 경우 각각 최장 90일과 30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raw meats used for short-ripened salami and changes in the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during storage at 10 and $25^{\circ}C$ for up to 120 days. The microbial counts of raw meats ranged between 2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건조발효소시지의 저장 특성에 대한 연구는 임과 이(2007)의 연구 이외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이들의 연구도 전자선조사한 살라미를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라미 원료육의 미생물 수준을 파악하고 단기간 숙성된 살라미 제품의 냉장 및 실온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여 국내 위생기준에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살라미의 개별 위생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같은 조건에서의 제반 물리화학적 품질 요소들과 관능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위생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라미 원료육의 미생물 수준을 파악하고 단기간 숙성된 살라미 제품의 냉장 및 실온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여 국내 위생기준에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살라미의 개별 위생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같은 조건에서의 제반 물리화학적 품질 요소들과 관능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위생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살라미의 냉장 및 실온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 양상과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국내 위생기준에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살라미의 개별 위생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살라미와 원료학적 미생물 오염 수준을 살펴보고 이 원료로 제조된 제품을 각각 10과 25℃에 120일 동안 저장하 면서 미생물,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in the same storage period underscored by a common line do not differ (p>0.05).
  • 3) Means in the same storage period underscored by a common line do not differ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조발효소시지는 장기숙성제품과 단기숙성제품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장기숙성제품의 특징은? 건조발효소시지는 제조방법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저장 수명도 차이가 나는데 3개월 이상 숙성시킨 장기숙성제품과 1-2주일 사이에 제조가능한 단기숙성제품으로 구분된다. 장기숙성제품은 최종 pH가 높은 편이나, 수분활성도가 0.86이하로 낮아 상온에서도 3개월 이상 저장이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단기숙성제품은 22-25℃에서 제조되며 pH는 4.
건조발효소시지는 무엇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지나? 건조발효소시지(dry-fermented sausage)는 냉동 또는 냉장육을 만육 후 식염, 설탕, 향신료, 스타터 미생물 등을 첨가하고 케이싱에 충전한 후(훈연), 발효 건조 및 숙성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건조발효소시지는 원료육의 구성, 육입자의 크기, 향신료의 배합비, 케이싱의 굵기, 훈연처리 실시 여부, 그리고 건조, 숙성 및 발효 조건과 방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건조발효소시지는 Italian salami, German salami, Hungarian salami, Pepperoni나 hard salami 등 전통적인 유럽제품들이 유명하며 현재 전세계 많은 나라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다.
건조발효소시지는 어떻게 제조되나? 건조발효소시지(dry-fermented sausage)는 냉동 또는 냉장육을 만육 후 식염, 설탕, 향신료, 스타터 미생물 등을 첨가하고 케이싱에 충전한 후(훈연), 발효 건조 및 숙성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건조발효소시지는 원료육의 구성, 육입자의 크기, 향신료의 배합비, 케이싱의 굵기, 훈연처리 실시 여부, 그리고 건조, 숙성 및 발효 조건과 방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guirrezabal, M. M., Mateo, J., Dominguez, M. C., and Zumalacarregui, J. M. (2000) The effect of paprika, garlic and salt on rancidity in dry sausages. Meat Sci. 54, 77-81 

  2. Ansorena, D. and Astiasaran, I. (2004) Effect of storage and packaging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in dry fermented sausages made with added olive oil and antioxidants. Meat Sci. 67, 237-244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25-36 

  4. Aurand, L. W., Woods, A. E., and Wells, M. R. (1987)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An AVI Book Publ., Van Nostrand Co., NY, pp. 608 

  5. Barbuti, S. (1998) Utilizzo del Microbial challage testing per la validazione dei processi di trasfromazione degli insaccati stagionati. Proceed. of La sicurezzamicrobiologica degli alimenti conservati, 12 November 1998, Parma, Italy, pp. 61-65 

  6. Barbuti, S. and Parolari, G. (2002) Valid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to control pathogenic bacteria in typical dry fermented products. Meat Sci. 62, 323-329 

  7. Berdague, J. L., Monteil, P., Montel, M. C., and Talon, R. (1993) Effects of starter cultures on the formation of flavour compounds in dry sausage. Meat Sci. 35, 275-287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1995) Escerichia coli O157:H7 outbreak linked to commercially distributed dry-cured salami Washington and California. Morb. Mortal Wkly. Rep. 44, 157-160 

  9. Dominguez, M. C. and Zumalacarregui, M. C. (1991) Lipolytic and oxidative changes in "chorizo" during ripening. Meat Sci. 29, 99-207 

  10. Goepfer, J. M. and Chung, K. C. (1970) Behavior of Salmonella during the manufacturing and storage of a fermented sausage product. J. Milk Food Microbiol. 33, 185-191 

  11. Gossling, U., Hopke, H. U., and Gerigk, K. (1982) Einflu ${\ss}$ der Vakuumverpackung auf Qualit $\"{a}$ t und Haltbarkeit von Rohw $\"{u}$ rsten. Fleischwirtschaft 62, 1090-1096 

  12. Gokalp, H. Y. (1986) Residual $NO_{3^-} $ , $NO_{2^-} $ , and TBA values of Turkish soudjouk manufactured by adding different starter cultures and using different ripening temperatures. J. Food Technol. 21, 615-625 

  13. Hammes, W. P., Bantleon, A., and Min, S. (1990) Lactic acid bacteria in meat fermentaion. FEMS Microbiol. Rev. 87, 165-174 

  14. Han, K. H., Park, J. K., and Lee, C. H. (2006) Manufacture and product evaluation of fermented sausages innoculated with freeze-dried Kimchi powder and starter culture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486-490 

  15. Harmsa, C., Fuhrmannb, H., Nowakc, B., Wenzelc, S., and Sallmann, H. P. (2003) Effect of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of the shelf life of cured pork sausage. Meat Sci. 63, 101-105 

  16. Incze, K. (1998) Dry fermented sausages. Meat Sci. 49, 169-177 

  17. Kim, Y. J., Lee, H. C., Park, S. Y., Oh, S. J., and Jin, K. B. (2008) Utilization of probiotic starter cultures for the manufacture of low-fat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51-58 

  18. Kim, C. H., Ko, M. S., Lee, K. H., Park, W. M., and Yoo, I. J. (1998a) Changes of palatability traits of mold fermented sausages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57-62 

  19. Kim, C. H., Ko, M. S., Lee, K. H., Park, S. J., Kim, J. H., Lim, D. S., Park, W. M., Yoo, I. J., and Lee, C. H. (1998b)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evaluation ofmold fermented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255-260 

  20. Kunz, B. and Lee, J. Y. (2003) Produc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361-375 

  21. Lahti, E., Johansson, T., Hill, P., and Nurmi, E. (2000) Survival an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the manufacture of dry sausage using two different starter cultures. Food Microbiol. 18, 75-85 

  22. Lee, K. T., Lee, Y. K., Lee, J. P., Lee, J. W., Son, S. K., Choi, S. H., and Lee, S. B. (2007) Determination of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and the changes in microbiological growth patter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27-131 

  23. Lee, S. H., Seong, S. K., Kim, S. M., and Choi, W. J. (2001)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to select starter of fermented sausage. J. Anim. Sci. Technol. 43, 393-400 

  24. Leistner, L. (1995) Stable and safe fermented sausages world-wide. In: Fermented Meats. Campbell-Platt, G. and Cook, P. E. (ed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Glasgow, pp. 160-175 

  25. Lim, D. G. and Lee, M. (2007) Combination effect of packaging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quality traits of fermented sausages during storage. J. Anim. Sci. Technol. 49, 539-548 

  26. Linke, H. (1985) Qualit $\"{a}$ tsnormen f $\"{u}$ r Rohschinken und Rohw $\"{u}$ rsten. In: Mikrobiologie und Qualit $\"{a}$ t von Rohwurst und Rohschinken. Kulmbacher Reihe Band 5, Bundesanstalt f $\"{u}$ r Fleischforschung, Kulmbach, pp. 30-59 

  27. Montel, M. C., Reitz, J., Talon, R., Berdague, J. L., and Rousset, A. S. (1996) Biochemical activities of Micrococcaceae and their effects on the aromatic profiles and odours of a dry sausage model. Food Microbiol. 13, 489-499 

  28. Park, W. M., Choi, W. H., Yoo, I. J., Ji, J. R., and Jeon, K. H. (1997) Effects of mixed starter cultur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7, 91-99 

  29. Pontello, M., Sodano, L. Nastasi, A., Mammina, C. Astuti, M., Domenichini, M., Gerosa, E., and Montagna, A. (1998) A community-based outbreak of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typhimurium associated with salami consumption in Northern Italy. Epidemiol. Infection 120, 209-214 

  30. Prandl, O., Fischer, A., Schmidhofer, T., and Sinell, H, J. (1988) Fleisch Technologie und Hygiene der Gewinnung und Verarbeitung. Verlag Eugen Ulmer, Stuttgart, pp. 518-549 

  31. Rubio, B., Martinez, B., M Dolores, G.C., Rovira, J., and Jaime, I. (2008) Effect of the packaging method and the storage time on lipid oxidation and colour stability on dry fermented sausage salchichon manufactured with raw material with a high level of mon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Meat Sci. 80, 1182-1187 

  32. SAS (2001)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Gary, NC, USA 

  33. Tilden, J. Jr., Young, W., McNamara, A., Custer, C., Bosesel, B., Lambert-Fair, M. A., Majkowski, J., Vugia, D., Werner, S. B., Hollingsworth, J., and Morris, J. G. (1996) A new route of transmission for E. coli: Infection from dry fermented salami. Am. J. Public Health 86, 1142-1145 

  34. Wirth, F., Leistner, L., and Rodel, W. (1975) Richtwerte der Fleischtechnologie, Verlagshaus Sponholz, Frankfurt am Main, pp. 78-91 

  35.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y,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582-585 

  36. 高坂和久 (1975) 畜産物の鮮度保持と測定. 食品工業 18, pp. 105 

  37.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7)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고시 제2007-20호(2007. 6. 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