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 따른 어류상 변화 및 군집분석
Change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on Natural Stream Restoration In Jeonju-chon stream, Jeollabuk-do,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5, 2009년, pp.381 - 391  

박종영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김수환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고명훈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오민기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신진철 (전주의제 21)

초록

전라북도 전주시의 전주천에서 2000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상류인 한벽교부터 삼천 합류지점까지 도심을 관통하는 7.2km의 구간에서 "자연형하천 조성사업"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 사업 전과 후의 어류상 및 군집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조성사업 이전인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전주천에서는 12종~8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인 2003년~2008년 사이에는 총 34종이 확인되어 어류의 다양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도심지인 중류지점 (다가교-서신교사이)에서는 공사이전에는 5종의 적은 종이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에는 22종으로 급증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어류상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 공사로 인해 생활하수의 유입 차단으로 인한 전주천의 수질개선 및 직강화 되고, 평탄화 되어 있던 하천에서 여울과 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하상구조도 돌과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다양화되어 어류의 서식공간이 다양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study of the effects and changes on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Jeonju-cheon stream (located in Jeonju Cit, Jeollabuk-do, South Korea)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was carried out between April 2000 and Dec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공사 이전과 이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변화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 또한 자연형하천복원사업에 대한 생태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on lotic waters.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67: 477-504 

  2. Ecological Organization for Streams of Jeonju (EOSJ) (1999)Ecological survey for Jeonju-stream. Mid-Report. Jeonju-si,53pp 

  3. Gangnam-gu office (2007) http://ypark.gangnam.go.kr 

  4. Jeonbuk Regional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Center (JENTEC) (2007) Regional analysis on effects andcharacters for restoration of natural streams, Jeonju-si,150pp 

  5. Jeonju City (1999) Master plan and execution drawing for naturalstream restoration in Jeonju-chon. Jeonju-si, 564pp 

  6. Jeonju City (2001) Execution drawing (Landscape) for naturalstream restoration in Jeonju-stream. Dohwa, 489pp 

  7. Kim, B.M. and c.L. Lee (1998)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from the Mangyong River System. Korean Journal ofLimnology, 31: 191-203 

  8. Kim, 1.S. (1976) Ecological studies of cobitid fish, Cabitis kareensisin Jeonju-cheon creek, Jeonrabug-do province, Korea.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 9-14 

  9.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629pp 

  10. Kim, 1.S. and H.G. Kim (1975)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and its influence on the fish community in Jeonju-cheoncreek, Jeonrabug-do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Limnology, 8: 7-14 

  11. Kim, l.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Kyohak publishing Co. Ltd. 465pp 

  12. Kim, I.S. and P.J. Jeong (1994) Water pollution and fish communityof Jeonju-cheon. Observation report. Jeonju-si, 47pp 

  13. Kim, l.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R. Kim(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Publishing Co. Ltd. 615pp 

  14.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5)http://cheonggyecheon.kict.re.kr/info/ greeting. asp 

  15. Lee, S.M. (2007) Reports on environmentally reconstructedstream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KRTHS), 16-25 

  1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3: 36-71 

  17.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18.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02). Stream restoration techniqueof Ministry of Environment G-7 for domestic condition2002. Guideline for stream restoration, 132pp 

  19.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th ed.). JohnWiley &Sons, New York, 600pp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Water Environmental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21. Odum, E.P. and G.W. Barrett (2005) Fundamentals of ecology(5th ed.). Thomson Brooks/Cole, 598pp 

  22. Pie 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type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Biology, 13: 131-144 

  23.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DI) (2006) Improving river corridorof Cheonggyecheon in Seoul. 2006-R-21. 118 pp 

  24.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117pp 

  25. Shin, J.C. (2002) Jeonju-stream to back to 1950. Korea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RTHS), 98-103 

  26. Shin lC. (2004) A Study of the methods for sustainable streamrestoration and management. Chonbuk National UniversityMaster of Science thesis, 52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