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경강에서 하천정비에 의하여 격리된 구하도의 어류 군집 구조: 연결성 복원을 위한 제안
Fish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rmer Channel Isolated by Channelization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Implications for Connectivity Restoration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1, 2015년, pp.22 - 32  

김석현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전형태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천에서 격리된 구하도와 본류에서 어류 군집 구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만경강에서 2곳의 본류와 단절된 구하도를 선정하여 환경 요인과 어류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측정된 환경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하도는 하상이 주로 진흙과 모래로 이루어졌고 식생 피도가 높은 반면 본류는 수로 폭이 넓고 하상이 왕자갈, 잔돌, 호박돌 등 다양한 하상구조를 보였고 용존산소 및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어류 자료를 사용하여 군집분석 결과, 구하도 군집과 본류 군집으로 뚜렷이 구분되었다. 구하도는 호소 및 소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 구조가 나타났고, 본류는 강과 같은 대형하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 구조를 나타냈다. 비모수다차원척도법 결과에 의하면 구하도에 분포하는 어류는 식생 피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 반면 본류에 분포한 어류는 용존산소, 전기전도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구하도는 본류와의 연결성이 단절되면서 본류와 비교할 때 어류 서식 환경이 완전히 달라짐으로써 어류 군집 구조가 큰 차이를 보이고 어류의 산란처 및 은신처 기능도 상실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천의 어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하여 구하도의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fish community structures in a main channel and an isolated former channel,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ith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former channels were composed of a f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에서 직강화 및 제방에 의하여 본류 하도와 단절된 대표적인 두 개의 구하 도를 선정하여 1) 본류 하도와 구하도에서 어류 군집 구조의 특성을 비교하고, 2) 물리적 및 이화학적 환경 요인을 조사하여 본류 하도와 구하도에서 환경 차이를 분석하고, 구하도 서식 환경이 어류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3)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하도의 하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횡적 연결성이란? 하천 생태계에서 연속성이란 수문적 경관을 가로질러 물이 매개하는 에너지, 물질 및 생물의 이동을 의미한다 (Pringle 2003). 특히 하천의 횡적 연결성 (lateral connectivity)은 하천 하도와 이와 연결된 홍수터 (floodplain) 사이의 관계를 개념화한 것이다. 즉 하도-홍수터 공간은 역동적인 공간 모자이크로서 횡적 물 흐름이 다양한 경관 조각 (patch) 사이의 연결에 중요하다 (Thoms 2003).
하천 생태계에서 연속성이란 무엇을 뜻하나요? 하천 경관의 공간적 규모에서 3 차원을 따라서 종적, 횡적 및 수직적 연결성이 생성되고 변형된다 (Ward 1989). 하천 생태계에서 연속성이란 수문적 경관을 가로질러 물이 매개하는 에너지, 물질 및 생물의 이동을 의미한다 (Pringle 2003). 특히 하천의 횡적 연결성 (lateral connectivity)은 하천 하도와 이와 연결된 홍수터 (floodplain) 사이의 관계를 개념화한 것이다.
범람 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천 생물의 생활사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하도와 홍수터에서 범람 파동 개념 (flood pulse concept)은 횡적 연결성의 생태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Sparks 1995). 이 개념에 따르면 하천 생물의 생활사는 하도와 홍수터에서 주기적인 수위 변동과 연관되어 있으며 (Kwak 1988, Miranda 2005), 특히 특정한 어류의 생활사는 본류와 홍수터의 연결성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Kingsford 2000). 이들 어류는 하도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서 범람된 홍수터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산란, 치어 성장 및 피난 은신하고 다시 수위가 낮아지면 본류로 돌아가서 생활사를 잇는다 (Rose and Baker 1983, Turn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arts, B.G.W., Van Den Brink, F.W.B., and Nienhuis, P.H. 2004. Habitat loss as the main cause of the slow recovery of fish faunas of regulated large rivers in Europe: the transversal floodplain gradient.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 20: 3-23. 

  2. Andrews, C.S., Miranda, L.E., Goetz, D.B., and Kroger, R. 2014. Spatial patterns of lacustrine fish assemblages in a catchment of the Mississippi Alluvial Valley.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24: 634-644. 

  3. Barbour, M.T., Gerritsen, J., Snyder, B.D., and Stribling, J.B.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EPA 841-B-99-002, Washington, D.C., USA. 

  4.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5.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67: 477-504. 

  6. Dewey, M.R. and Jennings, C.A. 1992. Habitat use by larval fishes in a backwater lake of the Upper Mississippi River. Journal of Freshwater Ecology 7: 363-372. 

  7. Erskine, W.D., Saynor, M.J., Erskine, L., Evans, K.G., and Moliere, D.R. 2005. Preliminary typology of Australian tropical rivers and implications for fish community ecology.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56: 253-267. 

  8. Hong, I., Kang, J.G., Kang, S.J., and Yeo H.K. 2012.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32: 213-220. (in Korean) 

  9. Junk, W.J., Bayley, P.B., and Sparks, R.E. 1989. The flood pulse concept in river-floodplain systems. Canadian Special Publication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106: 110-127. 

  10. Kim, B.M. and Lee, C.L. 1998.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from the Mangyong River syste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 191-203. (in Korean) 

  11. Kim, I.S. and Kim, B.J. 1997. Population ecology of the Gody, Micropercops swinhonis in the Puan-gun, Chollabuk-do,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 47-54. (in Korean) 

  12. Kim, I.S. and Park, J.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13.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14. Kingsford, R.T. 2000. Ecological impacts of dams, water diversions and river management on floodplain wetlands in Australia. Austral Ecology 25: 109-127. 

  15. Kruskal, J.B. 1964.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 numerical method. Psychometria 29: 115-129. 

  16. Kwak, T.J. 1988. Lateral movement and use of floodplain habitat by fishes of the Kankakee River, Illinoi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20: 241-249. 

  17. K-water. 2007. A Guide Book of Rivers in South Korea. K-water, Daejeon, Korea. (in Korean) 

  18. Lazorchak, J.M., Klemm, D.J., and Peck, D.V. 1998.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 - Surface Waters: Field Operations and Methods for Measuring the Ecological Condition of Wadeable Streams. EPA 620-R-94-004, Washington, D.C., USA. 

  19. Lee, W.O., Kim, K.H., Kim, J.H., and Hong, K.E. 2008. Study of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f introduced species of Mankyeong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 198-209. (in Korean) 

  20. Miranda, L.E. 2005. Fish assemblages in oxbow lakes relative to connectivity with the Mississippi Rive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4: 1480-1489. 

  21. Miranda, L.E., Hargreaves, J.A., and Raborn, S.W. 2001. Predicting and management risk of unsuitable dissolved oxygen in a eutrophic lake. Hydrobiologia 457: 177-185. 

  22. Miyazono, S., Aycock, J.N., Miranda, L.E., and Tietjen, T.E. 2010. Assemblage patterns of fish functional groups relative to habitat connectivity and conditions in floodplain lakes. Ecology of Freshwater Fish 19: 578-585. 

  23.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24. Oksanen, J. 2013.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in R: Vegan Tutorial. http://cc.oulu.fi/-jarioksa/opetus/metodi/vegantutor.pdf. Assessed 15 July 2014. 

  25. Pringle, C. 2003. The need for a more predictive understanding of hydrologic connectivity.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13: 467-471. 

  26. R Development Core Team. 2013.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7. Ross, S.T. and Baker J.A. 1983. The response of fishes to periodic spring floods in a Southeastern Stream.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09: 1-14. 

  28. Schiemer, F. 2000. Fish as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integrity of large rivers. Hydrobiologia 422/423: 271-278. 

  29. Schiemer, F. and Spindler, T. 1989. Endangered fish species of the Danube River in Austria.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4: 397-407. 

  30. Sneath, P.H.A. and Sokal, R.R. 1973. Numerical Taxonomy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W.H. Freeman and Co., San Francisco, USA. 

  31. Sparks, R.E. 1995. Need for ecosystem management of large rivers and their floodplains. BioScience 45: 168-182. 

  32. Thoms, M.C. 2003. Floodplain-river ecosystems: lateral connec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human interference. Geomorphology 56: 335-349. 

  33. Tockner, K., Schiemer, F., Baumgartner, C., Kum, G., Weigand, E., Zweimueller, I., and Ward, J.V. 1999. The Danube Restoration Project: species diversity patterns across connectivity gradients in the floodplain system.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15: 1-3. 

  34. Toth, L.A., Arrington, D.A., Brady, M.A., and Muszick, D.A. 1995. Conceptual evaluation of factors potentially affecting restoration of habitat structure within the channelized Kissimmee River ecosystem. Restoration Ecology 3: 160-180. 

  35. Turner, T.F., Trexler, J.C., Miller, G.L., and Toyer, K.E. 1994.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larval and juvenile fish abundance in a temperate floodplain river. Copeia 1: 174-183. 

  36. Ward, J.V. 1989. The four-dimensional nature of lotic ecosystem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8: 2-8. 

  37. Zeug, S.C., Winemiller, K.O., and Tarim, S. 2005. Response of Brazos river oxbow fish assemblages to patterns of hydrologic connectivity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4: 1389-13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