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l-gel 법에 의해 $SnO_2$계 박막위에 코팅된 $TiO_2$ 박막의 특성
Properties of $TiO_2$ thin film coated on $SnO_2$ thin films by sol-gel method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19 no.5, 2009년, pp.256 - 261  

임태영 (한국세라믹기술원 유리디스플레이팀) ,  조혜미 (한국세라믹기술원 유리디스플레이팀) ,  김진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유리디스플레이팀) ,  황종희 (한국세라믹기술원 유리디스플레이팀) ,  황혜진 (인하대학교 세라믹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gel법에 의해 친수성 투명 $TiO_2$ 박막이 제조되었고, 박막접촉각, 표면구조, 투과율의 특성이 측정되었다. 더욱이 박막의 친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tween 80이 이용되었다. Tween 80의 첨가량이 0, 10, 30, 50wt%일 때, 제조된 박막의 접촉각은 각각 $41.4^{\circ}$, $18.2^{\circ}$, $16.0^{\circ}$, $13.2^{\circ}$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TiO_2$ 박막은 자외선 조사 후 Methylene blue용액을 분해시켜 흡광도를 감소시키는 광촉매 특성을 보여주었다. 일반유리(bare glass), Antimony Tin Oxide(ATO)코팅 유리, Fluorine Tin Oxide(FTO)코팅유리, Indium Tin Oxide(ITO)코팅유리 기판 위 에 Tween 80을 30 wt% 함유한 $TiO_2$ 용액을 적층하여 박막의 접촉각과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기판에 제조된 박막은 $16.2\sim27.1^{\circ}$의 표면 접촉각을 나타냈으며 자외선 조사 후에는 접촉각이 $13.2\sim17.6^{\circ}$로 낮아졌다. 특히 ATO코팅유리와 FTO 코팅유리 기판 위에 코팅된 필름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각각 74.6%, 76.8%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적외선 영역에서는 각각 54.2%, 40.4%의 낮은 투과율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philic and transparent $TiO_2$ thin film was fabricated by sol-gel method and the properties of contact angle, surface morphology, and transmittance were measured. In addition, surfactant Tween 80 was used for increasing the hydrophilic property of thin film. When the contents of T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제조된 TiO2 박막은 자외선 조사 후 더 낮은 접촉각을 갖는 친수 특성을 나타내었고, methylene blue를 분해하는 광촉매 특성을 보여주었다. Glass, ATO코팅유리, FTO코팅유리, ITO코팅유리 기판 위에 TiO2 박막을 코팅하여 표면의 거칠기 및 접촉각과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표면의 roughness는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ATO, FTO, ITO 기판 위에 코팅된 TiO, 박막의 RMS roughness는 점점 더 줄어들었다.
  •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램프 (300 W, ULTRA-VITALUX, OSRAM)를 사용하였다. TiO2 박막의 친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ntact Angle meter(Easy Drop, KRUSS)를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 및 표면미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SM 6700, JEOL)를 사용하였다.
  • TiO2-T30 코팅용액을 Glass, ATO코팅유리, FTO 코팅 유리, ITO 코팅유리 기판에 각각 코팅하여 기판에 따른 박막의 표면 구조와 광 투과율을 확인해 보았다. Fig.
  • 광촉매 특성과 친수 특성을 지닌 TiO2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Tween 80을 첨가하여 Sol-gel 법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 100mm/min의 인상속도로 dip coating하여 유리 기판 위에 박막을 제조하였다. Tween 80은 500℃ 이상에서 모두 분해된다는 것을 TG/DTA를 통해 확인하였고, Tween 80의 함량이 0, 10, 30, 50 wt%로 증가됨에 따라 제조된 박막 표면의 접촉각은 414'에서 14.
  •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반유리(bare 이ass, 이후, Glas矿로 표기), Antimony Tin Oxide(ATO) 코팅 유리, Fluorine Tin Oxide(FTO) 코팅유리, Indium Tin Oxide(ITO) 코팅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TiO2 박막을 코팅한 후 기판에 따른 박막의 표면특성과 광 투과율을 확인하여 적외선 차단 특성에 의한 에너지 절감기능 및친수 특성에 의한 자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성 코팅 유리를 제조하였다.
  • TiQ용액을 합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출발물질을 TTIP : isopropanol : acetic acid : ethanol = 1 : 45 : 5 : 1의 몰비로 합성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노란색의 투명한 TiO2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첨가제로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을 제조된 TiO2 용액에 첨가하여 그 함량이 각각 10, 30, 50wt%가 되도록 조절하였다[9]. 합성된 용액은 필터링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한 후 코팅용액으로 사용되었다.
  • 32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었다. 박막샘플들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로 측정하였으며, 10회 반복 측정한 측정값의 평균치를 데이터로 나타내었다. 첨가제를 넣지 않은 박막(TiC)2-T0) 은 41.
  • 본 연구에서는 TiO2 코팅막을 제조하기 위해 다른 제조 방법에 비하여 단순, 저가의 공정법이며 균일한 조성의 박막 제조가 가능한 솔-젤방법을 이용하였고, 첨가제 (Tween 80>의 함량에 따른 TiO, 박막의 표면특성 및 광촉매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반유리(bare 이ass, 이후, Glas矿로 표기), Antimony Tin Oxide(ATO) 코팅 유리, Fluorine Tin Oxide(FTO) 코팅유리, Indium Tin Oxide(ITO) 코팅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TiO2 박막을 코팅한 후 기판에 따른 박막의 표면특성과 광 투과율을 확인하여 적외선 차단 특성에 의한 에너지 절감기능 및친수 특성에 의한 자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성 코팅 유리를 제조하였다.
  •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TiO2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광도계 (UV/VIS/NIR Spectrophotometer, V-570, JASCO)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에 조사된 Tit>광촉매 박막에 의해 분해된 methylene blue 용액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램프 (300 W, ULTRA-VITALUX, OSRAM)를 사용하였다.
  • 제조된 TiO2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점도계 (Brookfield DV-Ⅲ ULTRA programmable rheometer) 를 사용하였고, 첨가제에 따른 코팅 용액의 화학적 변화를 TG/DTA(DTG-60H, SHIMADZtg용하여 측정하였다.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TiO2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광도계 (UV/VIS/NIR Spectrophotometer, V-570, JASCO)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에 조사된 Tit>광촉매 박막에 의해 분해된 methylene blue 용액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TiQ용액을 합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출발물질을 TTIP : isopropanol : acetic acid : ethanol = 1 : 45 : 5 : 1의 몰비로 합성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노란색의 투명한 TiO2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첨가제로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을 제조된 TiO2 용액에 첨가하여 그 함량이 각각 10, 30, 50wt%가 되도록 조절하였다[9].
  • 기판으로는 일반유리 (t = 3 mm), ATO코팅유리 , FTOS. 팅유리, ITO코팅유리 기판을 사용하였고 코팅 전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기판을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시켰다.
  • 솔젤 법을 이용하여 투명한 TiO2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로 Titanium tetraisoproxide(TTIP), isopropanol, acetic acid, ethanol을 이용하였다[8]. TiQ용액을 합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출발물질을 TTIP : isopropanol : acetic acid : ethanol = 1 : 45 : 5 : 1의 몰비로 합성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노란색의 투명한 TiO2 용액을 제조하였다.
  •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TiO2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광도계 (UV/VIS/NIR Spectrophotometer, V-570, JASCO)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에 조사된 Tit>광촉매 박막에 의해 분해된 methylene blue 용액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램프 (300 W, ULTRA-VITALUX, OSRAM)를 사용하였다. TiO2 박막의 친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ntact Angle meter(Easy Drop, KRUSS)를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 FTOS. 팅유리, ITO코팅유리 기판을 사용하였고 코팅 전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기판을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시켰다. TiO2 코팅막은 Dip coated 사용하여 100mm /min 의인상 속도로 각각의 기판 위에 코팅하였다.

이론/모형

  • 제조된 박막의 두께 및 표면미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SM 6700, JEOL)를 사용하였다. 박막의 표면 평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tomic Force Microscope(AFM)을 사용하였다.
  • TiO2 박막의 친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ntact Angle meter(Easy Drop, KRUSS)를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 및 표면미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SM 6700, JEOL)를 사용하였다. 박막의 표면 평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tomic Force Microscope(AFM)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R. Wang, K. Hashimoto, A. Fujishima, M. Chikni, E. Kojima, A. Kitamura and M. Shimohigoshi, "Photogeneration of highly amphiphilic $TiO_{2}$ surfaces", Advanced Material 2 (1998) 135 

  2. O. Carp, C.L. Huisman and A. Reller, "Photoinduced reactivity of titanium dioxide", Solid State Chem. 32 (2004) 33 

  3. F. Saylkan, M. Asilturk, P. Tater, N. Kiraz, S. Sener, E. Arpac and H. Saykan,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Sn-doped TiO $_2$ ", Materials Research Bulletin 43 (2008) 127 

  4. P. Chrysicopoulou, D. Davazoglou, Chr. Trapalis and G. Kordas, "Optical properties of very thin ( $_2$ ", Thin Solid Films 323 (1998) 188 

  5. M. Takeuchi, T. Itoh and H. Nagasaka, "Dielectric properties of sputtered Ti0 $_2$ films", Thin Solids Films 51 (1978) 83 

  6. KK.S. Yeung and Y.w. Lam, "A simple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 for depositing thin Ti0 $_2$ films", Thin Solids Films 109 (1983) 169 

  7. J.H. Kim and S. Shiratori, "Characterization of TiO $_2$ / Polyelectrolyte thin film fabricated by a layer-by-layer self-assembly method", Jpn. J. Appl. Phys. 44 (2005) 7588 

  8. H. Yanagi, T. Hishiki, T. Tobitani, A. Otomo and S. Mashiko, "Thin film lasing from a dye-doped silica/titania composite", Chem. Phys. Lett. 292 (1998) 332 

  9. N.K. Adam,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John Wiley &Sons, New York 1978) p.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