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의 특성 및 용출률 개선

Characterization and Improved Dissolution Rate of Aceclofenac Solid Dispersion

폴리머 = Polymer (Korea), v.33 no.6, 2009년, pp.596 - 601  

김윤태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박현진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영현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홍희경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엄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김용기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은용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최명규 ((주)환인제약 중앙연구소) ,  이재준 ((주)환인제약 중앙연구소) ,  조용백 ((주)환인제약 중앙연구소) ,  강길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세클로페낙은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PVP-K30을 수용성 담체로 사용하였고 폴록사머는 계면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의 특성을 SEM, DSC, XRD 그리고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EM, DSC, XRD을 통하여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가 무정형임을 알 수 있었고 FT-IR을 통하여 아세클로페낙과 PVP-K30간에 수소결합을 통해 염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미립구는 pH 6.8에서 방출을 실시하였으며 시판제인 $Airtal^{(R)}$과 용출률을 비교하였으며 분무건조를 통해 제조한 미립구가 시판제인 $Airtal^{(R)}$ 보다 용출률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pared nanoparticles containing insoluble aceclofenac by the method of solid dispersions using spray dryer to improve solubility of aceclofenac. We used PVP-K30 as a water soluble carrier for the solid dispersion and poloxamer as a surfactant. Characterization of aceclofenac solid dispersion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용되고 있다.12 그중 pvp-30은 분자량이 50000 g/mole로서 여타 다른 X 값을 갖는 PVP보다 증진된 용출률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 난용성 약물의 용출률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다.13 또한, 폴록사머 (poloxamer, 이하 Pol)는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상업적으로 유용한 계면활성화제이며 사용비율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 제제설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로부터의 약물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Alvarez-Laurena, J. F. Piniella, and E. Carrasco, J. Crystallogr. Spectrosc., 22, 323 (1992) 

  2. B. J. Lee and H. Hung, AAPS Annual Meeting, New Orleans, LA, USA, p14 (1999) 

  3. J. H. Lee, W. Kim, D. S. Kim, J. H. Park, S. I. Ahn, Y. T. Kim, T. W. Lee, H. M. Rhee, H. S. Shin, H. K.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404 (2008) 

  4. J. H. Lee, S. I. Ahn, J. H. Park, Y. T. Kim,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5, 215 (2008) 

  5. H. S. Kim, B. Kang, M. S. Lee, and T. W. Kim, Tissue Eng. Regen. Med., 5, 61 (2008) 

  6. J. K. Jeong, G. Khang, J. M. Rhee, H. C. Shin, and H. B. Lee, J. Korean Pharm. Sci., 30, 235 (2002) 

  7. Y. S. Ahn, H. Y. Lee, K. D. Hong, S. B. Jung, S. H. Cho,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4, 169 (2004) 

  8. Y. S. Ahn, H. Y. Lee, K. D. Hong, S. B. Jung, S. H. Cho,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4, 289 (2004) 

  9. Y. H. Kim, J. W. Lee, M. S. Kim, S. Y. Yang, G. Khang, J. S.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3, 96 (2006) 

  10. J. S. Park, J. H. Lee, H. S. Shin, T. W. Lee, M. S. Kim, H. Khang, J. M. Rhee, H. K.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4, 347 (2007) 

  11. J. H. Lee, J. Y. Lim, S. I. Ahn, J. H. Park, Y. T. Kim, J. M. H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451 (1999) 

  12. W. D. Waliking, 'Povidone', in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tients, A. Wade and P. J. Weller, Editors,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The Pharmaceutical Press, washington, DC/London, p 392-399 (1994) 

  13. G. Khang, J. K. Jeong, J. M. Rhee, J. S. Lee, and H. B Lee, Polym. Sci. Technol., 13, 342 (2002) 

  14. Poloxamers(2), BASF ExAct, p.7 (2000) 

  15. J. H. Lee, W. Kim, D. S. Kim, S. I. Ahn, J. H. Park, Y. T. Kim, T. W. Lee, J. M. Rhee, H. S. Shin, H. K.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404 (2008) 

  16. S. W. Park, J. H. Lee, D. S. Kim, W. Kim, J. H. Park, S. I. Ahn, Y. T. Kim, H. S. Shin,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600 (2008) 

  17. J. S. Park, J. S. Oh, J. M. Oh, Y. T. Kim, J. H. Lee, J. H. M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2, 193 (2008) 

  18. T. S. Chung, C. M. Tun, K. P. Pramoda, and R. Wang, J. Membr. Sci., 193, 123 (2001) 

  19. S. D. Lee, Korea Patent 10-2000-0027237 (2000) 

  20. H. Nishio, Y. Hayashi, and S. Terashima, Inflammopharmacology, 15, 26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