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ed Mash와 유산균 발효액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Flour Ferments by Seed Mash and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3, 2009년, pp.346 - 351  

이명구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  이정훈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ji를 배양한 seed mash, 유산균, 효모 등으로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액종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파리노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아밀로그래프, 대용량 배합기로 반죽의 물리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파리노그래프에서 발효액종의 종류에 관계없이 흡수율은 동일하였으나 발효액종 첨가로 반죽 발전시간이 길어졌고,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익스텐소그래프에서 반죽저항성은 발효액종 첨가로 증가하였고, R/E값도 증가하여 seed mash, S. cerervisiae, L. brevis로 발효시킨 발효액종을 첨가한 반죽에서 가장 높았다. 아밀로그래프에서 호화온도와 최고점도 온도는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발효액종 첨가 시 낮아졌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서 D.V.(development value)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낮아졌고, 반죽발전시간도 짧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s containing flour-ferments prepared with seed mash obtained by Koji incubation,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using farinograph, extensograph, amylograph, and large scale-dough mixer. According to farinograph,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awachii를 증자한 밀가루에 접종하여 만든 밀가루 koji에 물을 가하여 seed mash를 만들고(10), 밀가루에 이 seed mash와 sour dough 법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을 함께 첨가하여 혼합 배양한 발효액종을 제조하였다(11). 본 연구에서는 빵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이 발효액종을 밀가루 반죽에 첨가하여 파리노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아밀로그래프 등 반죽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은 어떤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는가? 곡류와 빵은 수세기 동안 개인과 민족 집단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빵으로부터 모든 영양소의 18~80%를 섭취하고 있다. 빵은 주 영양소로 단백질을 9%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밀가루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중에서 리신은 2.5%이지만 빵 발효 시 리신을 약 1.3% 함유하고 있는 효모를 3~5%정도 첨가하게 되면 전체적인 영양가가 증가되고, 많은 양의 비타민 특히 비타민 B 복합체와 비타민 E가 풍부한 식품이 된다(1). 빵은 필요한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만들어진 반죽을 효모로 발효시켜 굽기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Sour dough 빵을 밀가루 빵에 적용 시 빵의 저장 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Sour dough 빵은 유산균과 효모를 첨가하여 주로 호밀빵에 응용하였는데 최근에는 밀가루 빵에 적용하여 빵의 방향과 풍미를 증가 시키고 노화속도를 지연시켜 빵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어(5-7) 제빵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호밀이나 밀가루 반죽의 sour dough 발효에서 homo형 혹은 hetero형 젖산균이 만들어 내는 젖산에 의해 빵의 보존성과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에서는 청주 제조 시 사용하는 황국균인 A.
빵 제조 시 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oryzae로 주종 발효액을 만들어 빵의 제조에 첨가하여 빵의 표피가 얇고, 부드러우며 청주 풍미가 나는 특징적인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양질의 빵을 생산하는데 국의 역할은 액화효소와 당화효소의 작용으로 발효성 당을 생산하고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작용으로 아미노산을 생산하며, 또 국이 가지고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등을 효모에 공급하여 주종 특유의 풍미성분을 생성하게 된다(8). 한국은 오래전부터 전통주인 탁주를 첨가하여 증편을 만들어 왔는데 이것은 일본의 주종 빵과 유사한 방법의 하나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ottfried S. 1986. Baked Goods. Bundesforschungsanstalt fur Getreide-und kartoffelverarbeitung. Detmold, Federal Republic of Germany. p 3-8 

  2. Stuteville BJG, Ponte JG, Faubion JM, Kulp K. 1988. Comparison of white and whole wheat flour brews in the liquid ferment breadmaking process. Cereal Foods World 33: 434-438 

  3. Bastetti G. 2001. Breads produced in Italy. Part I: Sour preferments and starters.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Tech Bull 23: 1-8 

  4. Kulp K. 1986. Influence of liquid fermen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Tech Bull 8: 1-9 

  5. Rocken W, Voysey PA. 1995. The society for applied bacteriology: Sour-dough fermentation in bread-making. J Appl Bacteriol 79: 38-48 

  6. Vollmar A, Meuser F. 1992. Influence of starter cultures consisting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on the performance of a continuous sourdough fermenter. Cereal Chem 69: 20-27 

  7. Martinez-Anaya MA, Pitarch B, Bayarri P, De Barber B. 1990. Micro-flora of the sourdoughs of wheat flour bread. Cereal Chem 67: 85-91 

  8. Akinaga A, Bakery I. 1999. New Making Bread (Basic Technic). Fujimisha Co., Tokyo, p 42-45 

  9. Lee JM. 1990.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different methods. Report of Miw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Foods Dietary Culture 26: 209-247 

  10. Lee MK, Park JK, Lee SK. 2005.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ed mash prepared Koji. Kor J Food Sci Technol 37: 199-205 

  11. Lee MK, Kang SM, Lee SK. 2006. Characteristics of flour ferment with seed mash containing wheat flour, Koji and lactic acid bacteria. J Kor Soc Appl Biol Chem 49: 97-102 

  12. AACC. 1985. Approved methods of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Methods 54-21, 54-10, 22-10 

  13. SAS. 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USA 

  14. Tanaka K, Furukawa K, Matsumoto H. 1967. The effect of acid and salt on the farinogram and extensogram of dough. Cereal Chem 44: 678-683 

  15. Kim SY. 2004. Rhe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eat flour dough, frozen dough and bread prepared with amyalse.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16. Tsen CC. 1969. Effects of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on change of flour during mixing. Cereal Chem 46: 435-437 

  17. Elkassabany M, Hoseney RC. 1980. Ascorbic acid as an oxidant in wheat flour dough. II. rheological effects. Cereal Chem 57: 88-92 

  18.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Sosland Publishing Co., Merriam, KS. p 891-895 

  19. Cho NJ, Lee SK, Kim SK, Joo HK. 1998. Effect of wheat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32-841 

  20. Valjakka TT, Ponte JG, Kulp K. 1994. Studies on a raw starch digesting enzyme. I. Comparison to fungal and bacterial enzymes and emulsifier in white pan bread. Cereal Chem 71: 139-144 

  21. El Faki HA, Desikachar HSR, Paramahans SV, Tharanathan RN. 198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es from chick pea, cow pea and horse gram. Starke 35: 118-124 

  22. Allen JE, Hood LF, Chabot JF. 1977. Effect of heating on the freeze-etch ultrastructure of hydroxy propyl distarch phophate and unmodified tapioca starches. Cereal Chem 54: 783-787 

  23. Yun MS. 2003. Theory of baking and pastry. Jigumunhwasa Co., Seoul, Korea. p 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