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소아, 성조숙증 및 체질성 성장지연 소아에서 Bayley-Pinneau방법과 Tanner-Whitehouse 3방법에 의한 예측성인신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dult heights measured by Bayley-Pinneau and Tanner-Whitehouse 3 methods in normal children, those with precocious puberty and with constitutional growth dela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2 no.3, 2009년, pp.351 - 355  

오연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유병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신정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기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광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손창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정상 소아,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GP방법과 TW3방법에 의한 골연령을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방법과 RUS 점수를 이용한 TW3방법의 예측 성인키를 구하여 상황에 따라 두 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질환이나 약 복용력이 없고 병적인 저신장을 제외한 정상소아와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 그리고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정상 소아는 85명,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 30명,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 30명이었으며 왼쪽 손과 손목 사진을 찍어 GP와 TW3방법으로 골연령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법과 TW3 (RUS score)법을 이용하여 예측 성인키를 구하고 두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GP방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골연령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녀 모두 두 값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 조숙증 여아의 경우 두 값의 차이는 없었으나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는 두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P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GP방법에 의한 예측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156.4{\pm}4.7$ cm vs $158.9{\pm}3.8$ cm, P<0.01). 성조숙증 여아의 경우 BP법과 TW3법을 이용한 예측 성인키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BP법을 이용한 예측키보다 크게 나타났다($156.3{\pm}4.0$ cm vs $159.3{\pm}4.2$ cm, P<0.01).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를 이용한 예측키는 BP법에 의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났다($173.3{\pm}4.4$ cm vs $169.7{\pm}3.2$ cm, P<0.01). 결 론 : 정상 여아, 성조숙증 여아,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같은 특수 상황의 경우 BP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예후 판정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 성인키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compared bone ages measured by the Greulich-Pyle (GP) and Tanner-Whitehouse 3 (TW3)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redicted adult heights measured by Bayley-Pinneau (BP) and TW3 methods. Methods : Bone ages were assessed from left-wrist radiographs by two investiga...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rch Dis Child Buckler 58 761 1983 10.1136/adc.58.10.761 

  2. Hum Biol Acheson 38 204 1966 

  3.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and wrist Greulich 1971 2 

  4. Assessment of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on of adult height (TW2 method) Tanner 1975 2 

  5. Assessment of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on of adult height (TW3 method) Tanner 2001 3 

  6. Br J Radiol Cole 61 683 1988 10.1259/0007-1285-61-728-683 

  7. J Pediatr Bayley 40 423 1952 10.1016/S0022-3476(52)80205-7 

  8. Arch Dis Child Joss 67 1357 1992 10.1136/adc.67.11.1357 

  9. J Pediatr Zachmann 93 749 1978 10.1016/S0022-3476(78)81071-3 

  10. Eur J Pediatr Sperlich 154 627 1995 10.1007/BF02079065 

  11. J Pediatr Brämswig 117 886 1990 10.1016/S0022-3476(05)80127-1 

  12. Radiology Roche 98 273 1971 10.1148/98.2.273 

  13. Arch Dis Child Buckler 52 667 1997 10.1136/adc.52.8.667-b 

  14. J Kor Endocr Soc Kim 13 198 1998 

  15. J Kor Endocr Soc Kim 13 50 2008 10.3938/jkps.52.50 

  16. An Esp Pediatr Bueno Lozano 49 27 1998 

  17. Horm Res Maes 48 184 1997 10.1159/000185511 

  18. Hum Reprod Update Carel 10 135 2004 10.1093/humupd/dmh012 

  19. Baillieres Clin Endocrinol Metab Bierich 6 573 1992 10.1016/S0950-351X(05)801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