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부추과 ($Iso{\ddot{e}}taceae$)의 물부추속 ($Iso{\ddot{e}}tes$ L.)은 외부형태의 단순함으로 인해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왔다. 국내에는 I. japonica (물부추)와 I. coreana (참물부추)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I. jejuensis (제주물부추)와 I. hallasanensis (한라물부추)가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I. japonica의 생육지는 재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세 종의 생육지만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세 종과 대만 (I. taiwanensis), 일본 (I. japonica와 I. asiatica), 중국 (I. sinensis) 등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물부추속 식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종에 대한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 포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괴경 열편의 수, 포자엽의 습성과 기공의 유무, 포막의 발달 상태로 I. taiwanensis와 I. asiatica가 식별되며, 모든 종은 포자의 특성에 따라 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국내에 보고된 종은 대포자 표면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cristate형의 I. coreana, rugulate형의 I. jejuensis와 echinate형의 I. hallasanensis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I. japonica는 reticulate형을 가진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핵 유전자인 LEAFY $2^{nd}$ intron의 염기서열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계통을 논의하였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생육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함께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전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물부추과 ($Iso{\ddot{e}}taceae$)의 물부추속 ($Iso{\ddot{e}}tes$ L.)은 외부형태의 단순함으로 인해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왔다. 국내에는 I. japonica (물부추)와 I. coreana (참물부추)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I. jejuensis (제주물부추)와 I. hallasanensis (한라물부추)가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I. japonica의 생육지는 재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세 종의 생육지만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세 종과 대만 (I. taiwanensis), 일본 (I. japonica와 I. asiatica), 중국 (I. sinensis) 등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물부추속 식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종에 대한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 포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괴경 열편의 수, 포자엽의 습성과 기공의 유무, 포막의 발달 상태로 I. taiwanensis와 I. asiatica가 식별되며, 모든 종은 포자의 특성에 따라 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국내에 보고된 종은 대포자 표면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cristate형의 I. coreana, rugulate형의 I. jejuensis와 echinate형의 I. hallasanensis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I. japonica는 reticulate형을 가진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핵 유전자인 LEAFY $2^{nd}$ intron의 염기서열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계통을 논의하였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생육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함께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전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so{\ddot{e}}tes$ L. ($Iso{\ddot{e}}taceae$) is difficult to identify among the infrageneric taxa because of morphological simplicity. Since two species (I. japonica and I. coreana) had been reported, I. jejuensis and I. hallasanensis were described as two new species from Jej...
$Iso{\ddot{e}}tes$ L. ($Iso{\ddot{e}}taceae$) is difficult to identify among the infrageneric taxa because of morphological simplicity. Since two species (I. japonica and I. coreana) had been reported, I. jejuensis and I. hallasanensis were described as two new speci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The habitats of all species were confirmed by current studies except for I. japonica. We compared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of seven species, three domestic species and four species in adjacent regions (I. taiwanensis, I. sinensis, I. japonica, and I. asiatica). I. asiatica differs from other species in the lobe number of corm, spreading sporophylls, lack of stomata and degree of velum development. All of the seven species were ident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ga- and microspores. Especiall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in South Korea by the types of ornamentation on their megaspores. Each species has a specific type of megaspore ornamentation: I. coreana - cristate, I. jejuensis - rugulate, I. hallasanensis - echinate, and I. japonica - reticulate. We also discussed the phylogeny of the genus in East Asia in relation to recent studies based on the second intron of LEAFY sequence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nalysis. We suggest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Iso{\ddot{e}}tes$ species in South Korea.
$Iso{\ddot{e}}tes$ L. ($Iso{\ddot{e}}taceae$) is difficult to identify among the infrageneric taxa because of morphological simplicity. Since two species (I. japonica and I. coreana) had been reported, I. jejuensis and I. hallasanensis were described as two new speci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The habitats of all species were confirmed by current studies except for I. japonica. We compared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of seven species, three domestic species and four species in adjacent regions (I. taiwanensis, I. sinensis, I. japonica, and I. asiatica). I. asiatica differs from other species in the lobe number of corm, spreading sporophylls, lack of stomata and degree of velum development. All of the seven species were ident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ga- and microspores. Especiall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in South Korea by the types of ornamentation on their megaspores. Each species has a specific type of megaspore ornamentation: I. coreana - cristate, I. jejuensis - rugulate, I. hallasanensis - echinate, and I. japonica - reticulate. We also discussed the phylogeny of the genus in East Asia in relation to recent studies based on the second intron of LEAFY sequence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nalysis. We suggest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Iso{\ddot{e}}tes$ species in South Ko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