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유생단계 참굴, Crassostrea gigas에 대한 Vibrio의 병원성
Virulence of Vibriosis in Larva Stag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v.22 no.1, 2009년, pp.35 - 44  

박경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이영은 (전남대학교 식품.수산생명의학부) ,  김은희 (전남대학교 식품.수산생명의학부) ,  손상규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splendidus biovar II와 V. anguillarum이 우리나라 굴 유생에 있어서 bacillary necrosis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위감염을 실시하였다. 부화 후 5일생 유생은 V. splendidus biovar II를 1$1.81{\times}10^{4}$ CFU/$m\ell$ 농도로 인위감염 시켰을 때 8시간 후부터 폐사가 시작되어 16시간에 100% 폐사를 보였다. V. anguillarum을 $1.13{\times}10^{4-5}$ CFU/$m\ell$의 농도로 인위감염 시킨 실험구에서는 20시간 후부터 폐사가 시작 되어 24시간 후 5.55-20%의 폐사율을 보였다. 부화 후 10일생 유생은 V. splendidus biovar II $5.0{\times}10^{5}$ CFU/$m\ell$ 실험구에서 공격 후 8시간째부터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 90.47% 폐사하였으나, V. anguillarum 실험구는 $5.08{\times}10^{3-6}$ CFU/$m\ell$의 농도범위에서 폐사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V. splendidus biovar II는 5일생 유생에 강한 병원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제 처리효과를 구명함으로써 조기 대처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Vibrio를 인위감염 시킨 굴 유생에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할 때 oxytetracycline과 streptomycin을 30 $\mu{g}/m\el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굴 유생의 유의적인 생존율 증가는 볼 수 없었으나 생존시간이 다소 길어졌으므로 항균제 처리 시점 및 사용농도에 대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인위감염 실험 시 수조내의 세균농도 분석 결과, V. anguillarum은 $1.13{\times}10^{5}$ CFU/$m\ell$에서 4시간 때 일시적인 증가를 보이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1.7{\times}10^{5}$ CFU/ 로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V. splendidus biovar II는 $1.81{\times}10^{4}$ CFU/$m\ell$에서 $1.7{\times}10^{7}$ CFU/로 증가하여 강한 생존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존력의 차이는 두 균주간의 병원성 차이를 보이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국내에서는 보고된바 없지만 세계적으로 패류인공종묘에 대량폐사의 원인이 되는 V. splendidus biovar II의 국내산 굴 유생에 대한 병원성이 확인되어 국내에서 도 bacillary necrosis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tential pathogenicity of Vibrio splendidus biovar II, which was isolated from triploid larvae of pacific oyster with bacillary necrosis and fish pathogenic V. anguillarum were investigated. The 5-day-old larvae infected with V. splendidus biovar II at the dose of $1.81{\times}10^{4}$

주제어

참고문헌 (24)

  1. Allam, B and Paillard, C.: Defense factors in clam extrapallial fluids. Dis. Aquat. Org., 33: 123-128, 1998 

  2. Brown, C. and Losee, E.: Observations on natural and induced epizootics of vibriosis in Crassostrea virginica larvae. J. Invertebr. Pathol., 31: 41-47, 1978 

  3. Brown, C. and Roland, G.: Characterization of exotoxin produced by a shellfish-pathogenic Vibrio sp. J. Fish Dis. 7: 117-126, 1984 

  4. Davis, J. P., Downing, S. L. and Chew, K. K.: Summer mortality of pacific oysters. Am. Fish. Soc. Spec. Publ. 18: 265-268, 1988 

  5. DiSalvo, L. H., Blecka, J. and Zebal, R.: Vibrio anguillarum and mortality in a California coastal shellfish hatchery. Am. Soc. Microbiol. 33: 219-221, 1978 

  6. Elston, R. A.: Infectious diseas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nual Rev. Fish Dis. 259-276, 1993 

  7. Elston, R. and Leibovitz, L.: Pathogenesis of experimental vibriosis in larval American oysters, Crassostrea virginica. Can. J. Fish Aquat. Sci. 37: 964-978, 1980 

  8. Elston, R, Leibovitz, L., Relyea, D. and Zatila, J.: Diagnosis of vibriosis in a commercial oyster hatchery epizootic: Diagnostic tools and managemeny features. Aquaculture 24: 53-62, 1981 

  9. Hudson, E. B. and Hill, B. J.: Impact and spread of bonamiasis in the UK. Aquaculture 93: 279-285, 1991 

  10. Inamura, H., Muroga, K. and Nakai, T.: Toxicity of extracellular products of Vibrio anguillarum. Fish Pathol. 19: 89-96, 1984 

  11. Jeffries, V. E.: Three Vibrio strains pathogenic to larvae of Crassostrea gigas and Ostrea edulis. Aquaculture 29: 201-226, 1982 

  12. Kleeman, S. N. and Adlard, R. D.: Molecular detection of Marteilia sydneyi, pathogen of sydney rock oysters. Dis. Aquat. Org. 40: 137-146, 2000 

  13. Lacoste, A., Jalabert, F., Malham, S. K., Cueff, A. and Poulet, S. A.: Stress and stress-induced neruoendicrine changes increase the susceptibility of juvenile oysters(Crassostrea gigas) to Vibrio splendidus. Appl. Environ. Microbiol. 67: 2304-2309, 2001 

  14. Lacoste, A., Jalabert, F., Malham, S. K., Cueff, S. K., Gelebart, F., Cordevant, C., Lange, M. and Ppulet. S. A.: A Vibrio splendidus strain is associated with summer mortality of juvenile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he bay of Morlaix(North Brittany, France). Dis. Aquat. Org. 46: 139-145, 2001 

  15. Loneiros, C., Bolinches, J., Dopazo, C. and Toranzo, A. E.: Bacillary necrosis in hatcheries of Ostrea edulis in Spain. Aquaculture 65: 15-29, 1987 

  16. Nakamura, A., Takahashi, K. G. and Mori, K.: Vibriostatic bacteria isolated from rearing seawater of oyster brood stock: potentiality as biocontrol agents for vibriosis in oyster larvae. Fish Pathol. 34: 139-144, 1999 

  17. Nicolas, J. L., Corre, S., Gauthier, G., Robert, R. and Ansquer. D.: Bacterial problems associated with scallop Pecten maximus larval culture. Dis. Aquat. Org. 27: 67-76, 1996 

  18. Nottage, A. S. and Birkbeck, T. H.: Toxicity to marine bivalves of culture supernatant fluids of the bivalve-pathogenic Vibrio strain NCMB 1338 and other marine vibrios. J. Fish Dis. 9: 249-256, 1986 

  19. Riquelme, C., Hayashida, G., Toranzo, A. E., Viches, J., Chavez, P.: Pathogenicity studies on a Vibrio anguillarum-related(VAR) strain causing an epizootic in Argopecten purpuratus larvae cultured in Chile. Dis. Aquat. Org. 22: 135-141, 1995 

  20. Sugumar, G., Nakai, T., Hirata, Y., Matsubara, T. and Muroga, K.: Pathogenicity of Vibrio splendidus II the causative bacterium of bacillary necrosis of Japanese oyster larvae. Fish Pathol. 33: 79-85, 1998a 

  21. Sugumar, G., Nakai, T., Hirata, Y., Matsubara, D. and Muroga, K.: Vibrio splendidus II as the causative agent of bacillary necrosis of Japanese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Dis. Aquat. Org. 33: 111-118, 1998b 

  22. Takahashi, K. G., Nakamura, A. and Mori, K. K.: Inhibitory effects of ovoglobulins on bacillary necrosis in larva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J. Invertebr. Pathol. 75: 212-217, 2000 

  23. Tubiash, H. S., Colwell, R. R. and Sakazaki, R.: Marine vibrios associated with bacillary necrosis a disease of larval and juvenile bivalve mollusks. Am. Soc. Microbiol. 103: 272-273, 1970 

  24. Tubiash, H. S., Chanley, P. E. and Leifson, E.: Bacillary necrosis, a disease of larval and juvenile bivalve mollusks. J. Bacteriol. 10: 1036-1044, 19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