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청소년의 건강행태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in Ko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4 no.2, 2009년, pp.202 - 213  

박순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건강행태를 도시지역 청소년들과 비교하기 위해 2005년에 실시한 전국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흡연경험률, 중학교 입학전 흡연경험률, 음주빈도, 음주후 위험행동 경험률, 점심 및 저녁 결식, 과일 및 우유 섭취, 칫솔질 횟수, 구강질환 증상 경험, 구강 진료 경험, 구강 에방진료. 안전 및 위생의식 등의 행태에서 도시지역 청소년에 비해 바람직하지 못 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지역규모에 따른 차이인지 혹은 도농간의 사회경제적 수준의 격차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조사 결과를 통해 청소년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사업은 농촌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당위성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relate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with those in the urban area in Korea. Methods: The data source was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05. With two stage cluster sampling, a total of 58,224 sample was sele...

주제어

참고문헌 (22)

  1. 이동필, 박시현, 김태연, 성주인, 신은정, 김창현, 김정홍. 도농간 소득 및 발전 격차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2. 김혜련, 강영호, 윤강재, 김창석.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03, 2004 

  3. 윤병준. 건강수명 개념에 의거한 한국인의 건강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1995. (재인용: 강은정, 조영태, 신호성, 김나연.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과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01, 2008) 

  4. Kim MK, Ki MR, Bang KN, Kim KR, Choi BY, Kwon YJ, Lee SS, Kim C, Kang YJ.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the nutrient intake of urban and rural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8;3(4):542-555(Korean) 

  5. Kwon WJ, Chang KJ, Kim SK. Nutrition survey of female middle school d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of Inch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6(3S):495-506(Korean) 

  6. Kim MJ, Sohn HS, Cha YS, Kim SB. Nutrient intake from school lunch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iding in urban and rural areas of Jeonbuk Province.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4;10(4)417-427(Korean) 

  7. Hong SM, Seo YE, Hwang HJ.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 eating habit, iron of urban and rural middle school girls. J Korean Sco Food Sci Nutr 2004;33(10):1634-1640(Korean) 

  8. Lee BS, Cho KR.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associated factors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Food Nutr 2006;19(4):502-514(Korean) 

  9. Kim SH. Dietary copper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copper in serum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comparison between remote rural and urban areas. Korean J Nutrition 2006;39(4):381-391 (Korean) 

  10. Kim YK, Shin WS.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8;13(2):153-163(Korean) 

  11. Kim UC. Park YS, Kwak KJ.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life-satisfaction level of Korean adolescents: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 1998;3(1):79-101(Korean) 

  12. Cho S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lf esteem and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s and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in urban and rural community.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 1997;15(3):45-58(Korean) 

  13. Choi HJ.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BMI, and health locus of control between urban and rural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8;22(2):224-236(Korean) 

  14. Yun MO, Eom JH, Mah KC. The survey of environmental factors by questionnaires with refractive stat of rural and urabn elementary schoolchildren. Korean J Vis Sci 2008;10(2):87-97(Korean) 

  15. Jaegal Y, Cho SY. Comparative research on the basic knowledge of oral health of parents of children living in rural and urban areas. J Korean Soc Hygienic Sciences 2001;7(2):109-117(Korean) 

  16. Jo HS, Lee SH.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behavior of rural adolescents. Korean J Rural Med 2000;25(2):315-326 

  17. 박순우, 김종연, 박정한, 안동현, 유선미, 이계오, 이상원, 이임순, 정세환, 정효지. 2005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심층 분석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7 

  18. Lee SW, Park SW. Smoking behavior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5;8(1):73-84(Korean) 

  19. Sastry N. What explains rural-urban differentials in child mortality in Brazil? Soc Sci Med 1997;44(7):989-1002 

  20. Kennedy G, Nantel G, Brouwer ID, Kok FJ. Does living in an urban environment confer advantages for childhood nutritional status? Analysis of disparities in nutritional status by wealth and residence in Angola, Central African Republic and Senegal. Public Health Nutr 2006;9(2):187-93 

  21. Van de Poel E, O'Donnell O, Van Doorslaer E. Are urban children really healthier? Evidence from 47 developing countries. Soc Sci Med 2007;65(10):1986-2003 

  22. DeVoe JE, Krois L, Stenger R. Do children in rural areas still have different access to health care? Results from a statewide survey of Oregon's food stamp population. J Rural Health 2009;25(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