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지역 여성의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에 대한 연구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of Women in Rural A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4 no.1, 2009년, pp.67 - 75  

신형철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강지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박웅섭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상아 (동서울대학 실버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37,108명을 대상으로 농촌여성들의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의 만성질환의 유병률과 미치료율이 남성보다 높고, 농촌지역의 유병율과 미치료율이 대도시지역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만성질환 유병률과 미치료율의 지역별 차이는 남성에서보다 여성에서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이용에 대해서도 비슷한 경향을 관찰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농촌지역 여성의 건강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건강불평등 상태에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건강불평등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농촌지역에 대한 정책적 배려 이외에도 농촌여성에 대한 배려가 추가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성별, 지역별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연령이 외에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을 통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진료비용 자체가 의료서비스의 질을 대표한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변수들이 통제된 성별, 지역간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의 차이에 대한 분석과 농촌지역의 의료서비스의 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ealth inequality for gender and region in Korea. Especially it focused on health status such as disease prevalence and medical utilization of rural women.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1 were used. The final s...

Keyword

참고문헌 (21)

  1. James SH. Understanding social factors and inequalities in health: 20th century progress and 21st century prospec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2002;125-142 

  2. 김창엽 엮음. 빈곤과 건강. 한울아카데미, 서울, 2003, 쪽 146 

  3. 남정자, 박인화, 권순호, 문상식.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와 대책. 과천, 보건복지부, 2000, 쪽 6-21 

  4. 김남순. 한국 여성의 건강통계.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쪽 52-81 

  5. 김혜련, 강영호, 윤강재, 김창석.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방향.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쪽 257-279 

  6. Lee MS.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soci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sociology. 2005; 39(6);180-209(Korean) 

  7. Yu SH, Cho WH, Park CY, Lee MK. Health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among island inhabitants.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87;20(20);287-300 

  8. Lee JH. Ko KH. Kim YS, Rhee JA. Physician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in rural and urban slum areas. Korean J. of Preventice Medicine. 1988;21(2);404-418 (Korean) 

  9. Joo KS, Kim HJ, Lee SH, Min HY. A comparativ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Korea.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96;29(2);311-330(Korean) 

  10. Roh, JK, Han GH, Choi ES. Rural elderly women's health and health care practices. The Korean Journal of Rural health living 1994;5(2);171-184(Korean) 

  11. Cho YH, Lifestyle and health status of women in rural area. Women's study 2003; (65);245-265(Korean) 

  12. Jang IS. A study on self-r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3;17(1);35-46(Korean) 

  13.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14. OH JK. Health statu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s of rural aged.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91;24(3);328-338(Korean) 

  15. 박영란, 정진주, 황정임, 권문일, 김창엽, 석재은, 엄규숙, 유태균, 정인숙, 황수경. 여성빈곤 퇴치를 위한 정책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3, 쪽 207-243 

  16. Rubye W..B, Caroline R.J, Joeleen B.E.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perceived financial barriers to care and health status in a rural population The journal of rural health 1996;12(3);188-196 

  17. Pahl. J. Household spending, personal spending and the control of money in marriage. Sociology 1990;24(1);119-138 

  18. Lee WJ. Choice of health care and traditional medicine. Korean J.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998;8(1);183-202(Korean) 

  19. Park HA, Hwang JI.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in Korea.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07;1(1);59-60(Korean) 

  20. 보건복지부 통계팀. 보건복지백서 2006. 과천, 보건복지부, 2007, 쪽 450 

  21. Blazer, D. G, Landerman. L. R, Fillenbaum. G, Horner. R. Health services access and use among older adults in North Carolina: urban vs rural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5;85(10);1384-13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