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형태에 따른 근로자의 만성질환 유병, 건강행태 및 의료이용 수준 - 여성육체근로자를 중심으로 -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tatus of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 Focused on Female Blue-Collar Workers -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5 no.3, 2010년, pp.239 - 248  

김상아 (동서울대학 실버복지과) ,  송인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왕정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김윤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박웅섭 (관동의대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37,108명을 대상으로 노동형태와 성별에 따른 이중적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여성육체근로자의 건강수준과 의료 이용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고, 특히 여성 육체근로자의 만성질환 유병률, 미치료율, 건강행태가 남성보다 좋지 않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만성질환 유병률과 미치료율, 건강행태의 육체근로 여부별 차이는 남성에서보다 여성에서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이용에 대해서도 외래방문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육체근로자의 외래진료비가 여성 중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여성 육체근로자의 건강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건강불평등상태에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건강불평등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육체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 이외에도 여성 육체근로자에 대한 배려가 추가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는 노동형태별, 성별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연령이외에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이 통제하지 못하였으며, 자료수의 한계로 만성질환의 의료이용과 일부 행태만을 분석하고 있고, 연구 자료의 수집연도가 오래되어, 연구 결과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female participation in employment, blue-collar women have been exposed to higher health risk.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of female blue-collar workers. Methods: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의 하나는 성별, 노동형태에 따른 복합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여성육체근로자의 유병률, 미치료율, 의료이용 수준, 건강행태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연령을 통제한 이후, 여성육체근로자의 만성질환 유병률, 건강행태가 남성육체근로자와 여성비육체근로자에 비해 차이가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
  • 이에 이 연구는 성별, 노동형태별로 만성질환의 유병률, 미치료율, 외래진료횟수 및 진료비, 주관적 건강수준, 비만율, 규칙적운동률, 스트레스 인지율의 차이를 기술하고, 노동형태별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의 차이들이 성별에 따라 변화되는지를 연령을 통제하여 분석함으로써 노동형태와 성별에 따른 이중적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여성 육체근로자의 건강불평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에 불과하였으나, 1999년에는 47.4%, 2007년에는 50.2%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늘어나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취약한 지위와 열악한 작업환경은 많은 근로 여성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2], 기혼의 근로여성들은 직장일 이외에도 가사노동과 자녀양육 등의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이들의 건강상태는 그 위험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3].
여성육체근로자의 유병률, 미치료율, 의료이용 수준, 건강행태를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그러나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첫째, 건강과 의료이용에는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 연구는 연령만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동형태별, 성별차이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자료의 수의 한계로 이 연구는 만성질환의 외래이용과 일부 건강행태만을 비교하고 있다. 셋째, 이 연구 자료의 수집연도가 2001년으로 최근의 건강 및 의료이용 경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연구결과의 해석에 이러한 한계점들을 고려한 주의가 요구된다. 넷째, 진료비용 자체가 의료서비스의 질을 대표한다고는 볼 수 없으므로 이의 해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최근의 자료를 이용한 다양한 변수들이 통제된 성별, 직업별 건강수준과 급성질환이 포함된 의료이용의 질적 차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 의한 한국표준직업분류상의 분류에 따른 육체근로자는? 특히 외환위기 이후 여성들이 비숙련, 저임금 노동시장에 대거 들어옴과 동시에 학력이 낮고 사회적 지위가 낮은 여성들이 대거 비정규직으로 편입돼 주로 육체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4],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육체근로자는 한국표준직업분류상의 분류에 따라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가 이에 해당하며,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사무종사자를 비육체근로자로 분류하고 있다[5,6]. 이 연구에서 논의되는 여성 육체근로자들은 주로 영세한 규모의 열악한 작업환경과 단순 반복적인 작업형태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안전 보건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4], 비정기적 고용계약으로 인해 소속사업장의 정기건강검진을 받을 기회가 보장되어 있지 않아, 건강권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SH, Kim JJ, Ahn J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Female Workers and It´s Determinants in the Small and Medium Scaled Industries. Epidemiology and Health 1995;28:235-248(Korean) 

  2. Song DY. Women, Health, and Wellbeing. Feminist Studies 2001;1(1):149-180 (Korean) 

  3. 박정은. 여성취업과 건강문제. 서울, 한국모자 보건학회 창립총회 및 기념학술대회 한국여성개발원, 1996, 쪽 89-112 

  4. Sohn SY.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Job Characteristics in Korean Adult Women.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1):33-43 (Korean) 

  5. Kim HR.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1998-2005.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7;27(2):25-43 (Korean) 

  6. Khang YH. Life course Approaches to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38(3):267-275 (Korean) 

  7. 이창곤. 추적, 한국건강불평등 사회의제화를 위한 국민보고서. 도서출판밈, 2007, 쪽80-102 

  8. Paek DM. Health policy on Part-time workers' industrial safety. Safety and Public Health 2003;15(2):13-22 (Korean)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10. Kim CY.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4;1(92):41-58 (Korean) 

  11. Kim HK, Shin HO. Status and problem of married wome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omen and Society 1990;1(1):282-318 (Korean) 

  1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 Survey on The Woman Farmer. Daejeon,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99, 쪽108-119 

  13. Jung HS, Lee KJ, Park KN. Health and maternity of female workers. Women and Society 1991;1(2):76-115 (Korean) 

  14.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5;25(2):3-35 (Korean) 

  15. Kaplan GA, Keil JE. Socioeconomic fact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of th literature.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1993;88:1973-1998 

  16. Sorlie PD, Backlund E, Keller JB. US mortality by economic,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National Longitudinal Mortality Study. Am J Public Health 2005;85:949-956 

  17. Jenkins CD. Low education: a risk factor for death. N EnglJ Med 1978;299(2):95-97 

  18. Shin SC, Kim MC. The Effect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upon Perceive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7;22:205-224 (Korean) 

  19. Shin HC, Kang JY, Park WS, Kim SA.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of Women in Rural Area.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09;34(1):67-75 (Korean) 

  20. Jung KH. Unstable Labor eats the Health: health status at-risk in the low income part-time workers. Labor and Society 2005;97:89-96 (Korean) 

  21. Jung KH.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South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149):5-14 (Korean) 

  22. Son MA. The Relationship of Social Class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2;35(1):350-357 (Korean) 

  23. Vagero D, Lundberg O. Health inequalities in Britain and Sweden. Lancet 1989;334 

  24. Cavelaars AE, Kunst AE, Geurts JJ, Helmert U, Lundberg O, Mielck A, Matheson J, Mizrahi A, Mizrahi A, Rasmussen N, Spuhler T, Mackenbach JP. Morbidity differences by occupational class among men in seven European countries: an application of the Erikson-Goldthope social class scheme.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1998;27:222-230 

  25. Chandola T. Social inequal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a comparison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Soc Sci Med 1998;47(4):525-533 

  26. Heo KH, Han YS, Jung HS, Koo JW.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of Golf Caddi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4;16(1):92-102 (Korean) 

  27. Ahn MS. Current status and protective plan for female part-time workers. Research on women 2003;14:161-185 (Korean) 

  28. 정진주.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건강장해의 문제점. 서울, 전국 민주노동조합총연맹 여성 위원회 세계 여성의 날 토론회, 2008, 쪽29-45 

  29. 이경용, 김숙영. 여성근로자 보건관리 지침개발 (3차년도). 과천, 노동부, 2004, 쪽15-155 

  30. 박웅섭, 김상아, 곽연희, 장덕진, 이진현. 여성의 의료이용 현황 및 개선방안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2005, 쪽8-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