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세 미만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Amplatzer 기구 폐쇄술의 안전성 및 효용성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with Amplatzer septal occluder in young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2 no.4, 2009년, pp.494 - 498  

이수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최덕영 (가천의과대학교병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남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최재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설준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심방중격결손의 기구 폐쇄술은 현재 소아 영역에서 수술을 대체할 치료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수술과 비교하였을 때 적절한 시행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세 미만의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기구 폐쇄술의 안전성, 효용성 및 임상 결과를 평가하여 시술을 시행하기에 적절한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에서 Amplatzer septal occluder(ASO)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기구 폐쇄술을 시행 받은 환자 295명 중 3세 미만 소아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소요 시간, 투시 검사 시간, 폐쇄 성공률, 잔류 단락율,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고, 기구 장착 전후의 체폐순환비, 폐동맥압, 우심실압을 측정하였으며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및 이후 1년 간격으로 경흉부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75% (38/51)가 여자였으며, 시술 당시 연령은 $2.0{\pm}0.6$세, 체중은 $11.8{\pm}1.7$ kg, 심방 중격 결손의 크기는 $16.6{\pm}3.6$ mm, 이들의 체폐순환비는 $2.4{\pm}0.9$이었고, 기구 폐쇄술 시행 후 추적 관찰 기간은 $19.8{\pm}6.4$개월이었다. 시술의 폐쇄성공률은 98% (50/51), 소요 시간은 $87.7{\pm}23.6$분, 방사선 투시 시간은 $31.8{\pm}14.7$분이었으며 잔류 단락은 시술 후 24시간 뒤 51명중 7명(15%)에서 관찰되었으나, 최종 추적 관찰 시에는 모두 폐쇄되었다. 폐쇄술 시행 전과 시행 직후의 체폐순환비는 $2.4{\pm}0.9$에서 $1.4{\pm}0.3$ (P<0.001)으로, 주폐동맥압은 $28.4{\pm}6.4$ mmHg에서 $25.5{\pm}5.6$ mmHg (P=0.04)로, 우심실압은 $41.3{\pm}11.8$ mmHg에서 $32.6{\pm}7.9$ mmHg (P<0.001)로 감소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시술과 관련한 합병증이 있었으며 기구 이탈과 관련한 우심방 색전증 1예, 서혜부에 발생한 혈종 1예가 관찰되었다. 결 론 :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ASO를 이용한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은 3세 미만의 작은 소아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더 성장하기까지 시술을 연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작은 영아에서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Applicability of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ASD) has been expanded by accumulation of clinical experiences and evolutions of the devi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ranscatheter closure of ASD with Amplatzer septal occluder (ASO) in ...

주제어

참고문헌 (37)

  1. Neonatal Heart Disease Benson 633 1992 10.1007/978-1-4471-1814-5_37 

  2. Am J Cardiol Hoffman 42 641 1978 10.1016/0002-9149(78)90635-5 

  3. JAMA King 235 2506 1974 10.1001/jama.1976.03260490024013 

  4. Heart Fischer 89 199 2003 10.1136/heart.89.2.199 

  5. Circulation Lock 79 1091 1989 10.1161/01.CIR.79.5.1091 

  6. Cathet Cardiovasc Diagn Masura 42 388 1997 10.1002/(SICI)1097-0304(199712)42:4<388::AID-CCD7>3.0.CO;2-7 

  7. Am J Cardiol Hijazi 85 1387 2000 10.1016/S0002-9149(00)00779-7 

  8. Eur Heart J Roos-Hesselink 24 190 2003 10.1016/S0195-668X(02)00383-4 

  9. J Am Coll Cardiol Veldtman 37 2108 2001 10.1016/S0735-1097(01)01305-5 

  10. J Am Coll Cardiol Kort 38 1528 2001 10.1016/S0735-1097(01)01547-9 

  11. Korean J Pediatr Choi 49 917 2006 10.3345/kjp.2006.49.9.917 

  12. N Engl J Med Murphy 323 1645 1990 10.1056/NEJM199012133232401 

  13. Cardiol Young Berger 9 468 1999 10.1017/S1047951100005369 

  14. Thorac Cardiovasc Surg Kalmar 39 167 1991 10.1055/s-2007-1013956 

  15. Eur Heart J Galal 15 1381 1994 10.1093/oxfordjournals.eurheartj.a060398 

  16. Am J Cardiol Prieto 78 1310 1996 10.1016/S0002-9149(96)00620-0 

  17. JAMA King 235 2506 1976 10.1001/jama.1976.03260490024013 

  18. J Am Coll Cardiol Butera 42 241 2003 10.1016/S0735-1097(03)00589-8 

  19. Heart Thomson 87 466 2002 10.1136/heart.87.5.466 

  20. J Thorac Cardiovasc Surg Berger 118 674 1999 10.1016/S0022-5223(99)70013-9 

  21. Heart McMahon 87 256 2002 10.1136/heart.87.3.256 

  22. Pediatrics Andreas 118 1560 2006 10.1542/peds.2005-3037 

  23. Cardiac Surgery of the Neonate and Infants Mayer 143 1994 

  24. Cathet Cardiovasc Intervent Cardenas 69 447 2007 10.1002/ccd.21030 

  25. Anadolu Kardiyol Derg Hijazi 5 331 2005 

  26. Curr Opin Cardiol Holzer 19 84 2004 10.1097/00001573-200403000-00003 

  27. Am Heart J Butera 151 228 2006 10.1016/j.ahj.2005.02.051 

  28. Am J Cardiol Bialkowski 92 356 2003 10.1016/S0002-9149(03)00648-9 

  29. Korean J Pediatr Kim 50 469 2007 10.3345/kjp.2007.50.5.469 

  30. Clin Res Cardiol Apitz 96 51 2007 10.1007/s00392-006-0456-x 

  31. J Am Coll Cardiol Krumsdorf 43 302 2004 10.1016/j.jacc.2003.10.030 

  32. Korean J Pediatr Jea 51 401 2008 10.3345/kjp.2008.51.4.401 

  33. Heart Chan 82 300 1999 10.1136/hrt.82.3.300 

  34. Pediatr Clin North Am Rome 51 1589 2004 10.1016/j.pcl.2004.08.007 

  35. J Am Coll Cardiol Divekar 45 1213 2005 10.1016/j.jacc.2004.12.072 

  36. Catheter Cardiovasc Interv Amin 63 496 2004 10.1002/ccd.20211 

  37. Am J Cardiol Meijboom 72 1431 1993 10.1016/0002-9149(93)90192-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