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완전 방실 차단으로 우측 쇄골하 정맥을 통해 영구심박동기를 삽입한 52세 여자환자가 영구심박동기 발생장치(generator) 삽입 부위의 반복적인 감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4년 전 유방암으로 좌측 변형근치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 MRM)과 방사선 치료로 주변 조직의 심한 변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정중 흉골 절개는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우측 개흉 술을 계획하였고, 개흉 후 체외순환 없이 우심방을 절개한 후 심박동기 와이어를 제거하고 새로운 심외막 와이어로 영구심박동기를 삽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52-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pain and swelling owing to recurrent inflammation on a generator pocket. She had undergone a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DDD type) 7 years previously. We planned to insert a new pacemaker after removal of the previous generator and wires through a surgic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내원 1달 전부터 다시 발생 장치 십입 부위의 부종 및 통증과 분비물이 있어 내원하였고 기존의 심박동기 제거 및 심외막 유도(epicardial pac- ing)를 이용한 영구심박동기 삽입을 위해 수술적 접근을 계획하였다.
  • 본 환자의 경우 혈관 내 리드의 경피적 제거가 어려운 상태였다. 또한 심박동기 삽입 후 7년이 지났으며, 좌측 변형근치유방 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에 의해 좌측 흉벽의 변형이 심하여 좌측 쇄골하 정맥을 통한 심박동기의 삽입이 어려우며, 심외막 유도(epicardial pac- ing)를 삽입하기 위해 수술적 제거를 계획하였다. 좌측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상태로 정중 흉골절개 후 수술 부위 창상 치유 문제 등을 고려하여 우측 개흉 술을 시행하였다.
  • 절단된 와(1)어 를 제거 한 후 우심방 및 우심실의 심장 외막으로 출혈이 없음을 여러 번 시간 간격을 두고 확인하였다. 심외막 유도(epicardial pacing)를 위한 리드(lead)를 각각 우심방 및 우심실 심외막에 고정 시킨 후, 배곧은근집 (rectus sheath) 앞쪽으로 심박동기 발생기를 삽입하였다. 염증의 직접 감염의 예방을 위해 개흉 부위를 봉합 및 소독 후 이전의 심박동기 발생기 삽입 부위를 절개하여 발생기 제거 후 남아있는 와이어를 견인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
  • 이전의 좌측 변형근치 유방절제술 및 반복적인 방사선 치료에 의해 좌측 흉벽의 흉터 조직과 흉벽의 변형이 심하여 정중 흉골 절개를 했을 경우 수술 부위의 창상 치유에 문제가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정중 흉골 절개 대신 우측 개흉술을 계획하였다(Fig. 2), 전신 마취 하에 이 중 기관삽관 후 좌측 측와위를 하고 전방 외측 흉부 절개술을 통해 심장으로 접근 하였으며, 우심방 및 상대정맥에서 이전의 심박동기 와이어가 만져졌다. 체외순환은 우심방 혹은 우심실 파열시 즉각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만 시킨 상태에서 체외순환없이 우심방 절개술을 통해 심박동기 와이어 제거술을 먼저 시도하기로 계획하였다.
  • 체외순환은 우심방 혹은 우심실 파열시 즉각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만 시킨 상태에서 체외순환없이 우심방 절개술을 통해 심박동기 와이어 제거술을 먼저 시도하기로 계획하였다. 임시형 심외막 심박동기 와이어를 거치 시키고 우심방에 쌈지봉합 (Purse-string suture)을 실시한 후 쌈지봉합 사이로 약 1.5 cm 우심방 절개를 시행하여 손가락으로 와이어를 견인하고, 우심방 밖으로 우심방 및 우심실의 와이어의 일부를 노출 시킨 후 우심방 및 우심실의 와이어를 차례로 수 차례 반복하여 조심스럽게 견인하여 발생 장치와 연결된 와이어는 최대한 적게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였다(Fig. 3). 절단된 와(1)어 를 제거 한 후 우심방 및 우심실의 심장 외막으로 출혈이 없음을 여러 번 시간 간격을 두고 확인하였다.
  • 3). 절단된 와(1)어 를 제거 한 후 우심방 및 우심실의 심장 외막으로 출혈이 없음을 여러 번 시간 간격을 두고 확인하였다. 심외막 유도(epicardial pacing)를 위한 리드(lead)를 각각 우심방 및 우심실 심외막에 고정 시킨 후, 배곧은근집 (rectus sheath) 앞쪽으로 심박동기 발생기를 삽입하였다.
  • 또한 심박동기 삽입 후 7년이 지났으며, 좌측 변형근치유방 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에 의해 좌측 흉벽의 변형이 심하여 좌측 쇄골하 정맥을 통한 심박동기의 삽입이 어려우며, 심외막 유도(epicardial pac- ing)를 삽입하기 위해 수술적 제거를 계획하였다. 좌측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상태로 정중 흉골절개 후 수술 부위 창상 치유 문제 등을 고려하여 우측 개흉 술을 시행하였다. 와이어 제거 후 발생할 수 있는 판막 손상에 대해서 관상동맥 우회술(CABG)을 시행 받았던 환자의 영구심박동기의 감염된 와이어 제거시 인공 심폐 순환을 시행하여 제거한 보고가 있었으나[5], 본 증례는 체외 순환 없이 우측 개흉술 및 우심방 절개를 통해 심박똥기를 제거하였기에 보-고한다.
  • 2), 전신 마취 하에 이 중 기관삽관 후 좌측 측와위를 하고 전방 외측 흉부 절개술을 통해 심장으로 접근 하였으며, 우심방 및 상대정맥에서 이전의 심박동기 와이어가 만져졌다. 체외순환은 우심방 혹은 우심실 파열시 즉각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만 시킨 상태에서 체외순환없이 우심방 절개술을 통해 심박동기 와이어 제거술을 먼저 시도하기로 계획하였다. 임시형 심외막 심박동기 와이어를 거치 시키고 우심방에 쌈지봉합 (Purse-string suture)을 실시한 후 쌈지봉합 사이로 약 1.

대상 데이터

  • 환자는 과거력상 1985년 12월 유방암으로 좌측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MRM)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상태였으며, 6년 전부터 갑상선 기능 저하 증으로 약물 복용 중이었다. 2002년 1월 완전 방실 차단으로 DDD type의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을 시행 받았으며, 2007년 11월 전신 열감 및 발열과 영구 심박동기 발생장치 삽입 부위의 통증과 부종 및 분비물*- 교정술(revisit)을 시행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Sohail MR, Uslan DZ, Khan AH, et al. Management and outcome of permanent pacemaker and implantable cardiover- terdefibrillator infections. J Am Coll Cardiol 2007;49:1851-9. 

  2. Bracke F, Meijer A, van Gelder LM. Lead extraction for device related infections: a single-centre experience. Europace 2004;6:243-7. 

  3. Del Rio A, Anguera I, Miro JM, et al. Surgical treatment of pacemaker and defibrillator lead endocarditis. Chest 2003; 124:1451-9. 

  4. Chang JP, Chen MC, Guo G, Kao CL. Less-invasive surgical extraction of problematic or infected permanent transvenous pacemaker system. Ann Thorac Surg 2005;79:1250-4. 

  5. Kim YS, Song H, Ryu YG, Jung SH. Pacing wire removal via a right atrlotomy: a patient with infected permanent pacemaker and who previously underwent CABG.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9;42:25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