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산어류에서 분리된 Vibrio harveyi의 혈청학적 특성과 항원성
Se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genicities of Vibrio harveyi isolated from marine cultured fish 원문보기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v.22 no.1, 2009년, pp.23 - 33  

오윤경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명석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박명애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진우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조지영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정현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 harveyi는 양식산업에서 중요한 해산 양식 어류와 새우류에 많은 폐사를 일으키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 양식어류에서 분리된 11개 strain의 Vibrio harveyi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혈청학적, 면역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생화학적 특성과 TCBS agar에서 집락의 색깔이 달라 표현형의 차이가 있었고 V. harveyi 분리균주들은 편모항원에 의해 4개 이상의 혈청형으로 구분되었다. 어류에서 분리된 V. harveyi는 western blotting으로 26-34 kDa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major protein을 갖는 group A로 구분 되었고 넙치에 대하여 표준균주인 V. harveyi KCCM40866 보다 강한 병원성을 갖고 있었다. V. harveyi C05011로 면역 유도된 넙치는 다른 group A 균주를 인위감염 시켰을 때 높은 항병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harveyi was a significant pathogenic agent and cause a high mortality of cultured fish and shrimp in the aquaculture industry.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biochemical, physiological, ser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harveyi isolated from marine cultured fish. The ph...

주제어

참고문헌 (23)

  1. Abbott, J.D., Dale, B., Eldrige, J., Jones, D.M. and Sutcliffe, E.M.: Serotyping of Campylobacter jejuni/coli. J. Clin. Pathol., 33, 762-766, 1980 

  2. Bachrach, G., Zlotkin, A.,Hurvitz, A., Evans, D. and Eldar, A.: Recovery of Streptococcus iniae from diseased fish Previously vaccinated with a Streptococcus vaccin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7, 3756-3758, 2001 

  3. Balebone, M.C., Magarinos, B., Toranzo, A.E. and Morinigo, M.A.: Effectiveness of a divalent vaccine for sole, Solea senegalensis (Kaup), against Vibrio harveyi and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 J. Fish Dis., 28, 33-38, 2005 

  4. Chiou, C.S., Hsu, S.Y., Chiu, S.I. and Wang, T.K. and Chao, C.S.: Vibrio parahaemolyticus serovar O3:K6 as cause of unusually high incidence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Taiwan from 1996 to 1999. J. Clinical Microbiology, 38, 4621-4625. 2000 

  5. Fouz, B. and Amaro, C.: Isolation of a new serovar of Vibrio vulnificus pathogenic for eels cultured in freshwater farms. Aquaculture, 217. 677-682, 2003 

  6. Gil, A., Miranda, H., Lanata, C., Prada. A., Hall, E., Barreno, C., Nusrin, S., Bhuiyan, N., Sack, D. and Nair, G.: O3:K3 Serotyp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dentical to the global panademic clone associated with diarrha in Peru. Int. J. Infect. Dis. 11, 324-328, 2007 

  7. Karunasagar, I., Pai, R., Malathi, G.R. and Karunasagar, I.: Mass mortality of Penaeus monodon larvae due to antibiotic resistant Vibrio harveyi infection. Aquaculture, 128, 203-209, 1994 

  8. Kerry, J., Hiney, M., Coyne, R., NicGabhaim, S., Gilroy, D., Cazabon, D. and Smith, P.: Fish feed as a source of oxytetracycline resistant bacteria in the sediments under fish farm. Aquaculture, 131, 101-113, 1995 

  9. Kirov, S.M., Castrisios, M. and Shaw, J.G.: Aeromonas flagella (polar and lateral) are enterocyte adhesins that contribute to biofilm formation on surfaces. Infect. Immun., 72, 1939-1945, 2004 

  10. Lavilla-Pitogo, C. R., Baticados, M. C. L., Cruz-Lacierda, E. R. and Pena, L. D.: Occurrence of luminous bacterial disease of Penaeus monodon larvae in the Philippines. Aquaculture, 91, 1-13. 1990 

  11. Obata-Yasuoka, M., Ba-Thein, W. and Tsukamoto, T.: Vaginal Escherichia coli share common virulence factor profiles, serotypes and phylogeny with other extrain testinal E. coli. Microbiol., 148, 2745-2752, 2002 

  12. Ortigosa, M., Garay, E. and Pujalte, M.J..: Numerical taxonomy of Vibrionaceae isolated from oysters and seawater along an annual cycle. System. Appl. Microbiol., 17, 216-225, 1994 

  13. Park, S.I., Wakabayashi, H. and Watanabe, Y.: Serotype and virulence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eel and their environment. Fish Pathol., 18, 85-89, 1983 

  14. Pizzutto, M and Hirst, R.G.: Classification of isolates of Vibrio harveyi virulent to Penaeus monodon larvae by protein profile analysis and M13 DNA fingerprinting. Dis. Aquat. Org., 21, 61-68, 1995 

  15. Santos, Y., Pazos, F., Band $i^\prime$ n, I. and Toranzo, A.: Analysis of antigens present in the extracellular products and cell surface of Vibrio anguillarum serotypes O1, O2, and O3. Appl. Environ. Microbiol., 61, 2493-2498, 1995 

  16. Shinoda, S., Nakahara, N., Uchida, E. and Hiraga, M.: Lateral flagellar antigen of Vibrio algionlyticus and Vibrio harveyi: Existence of serovars common to the two species. Microbiol. Immunol., 29, 173-182, 1985 

  17. Shinoda, S., Yakiyama, I., Yasui, S., Kim, Y.M., Ono, B.I. and Nakagami, S.: Lateral flagella of vibrios: serological classification and genetical similarity. Microbiol. Immunol., 36, 303-309, 1992 

  18. Soffientino, B., Gwaltney, T., Nelson, D.R., Speck, J.L., Mauel, M. and G $\acute{o}$ mez-Chiarri, M.: Infectious necrotizing enteritis and mortality caused by Vibrio carchariae in summer flounder Paralichthys dentatus during intensive culture. Dis. Aquat. Org. 38, 201-210, 1999 

  19. Sunaryanto, A. and Mariam, A.: Occurrence of pathogenic bacteria causing luminosense in penaeid larvae in Indonesian hatcheries. Bull. Brackishwater Aquaculture, 8, 105-112, 1986 

  20. Wimpee, C.F., Nadeau, T.L. and Nealson, K.H.: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for Marine Luminous Bacteria by Using In Vitro DNA Amplification. Appl. Environ. Microbiol., 57, 1319-1324, 1991 

  21. 김진우, 정승희, 박명애, 도정완, 최동림, 지보영, 조미영, 김명석, 최혜승, 김이청, 이주석, 이창훈, 방종득, 박미선, 서정수.: 2000년-2006하절기 양식 어류의 병원체 감염현황. 한국어병학회지, 19, 207-214, 2006 

  22. 원경미, 최정현, 박수일.: 배양 조건에 따른 Vibrio harveyi extracellular products (ECP)의 특성. 한국어병학회지, 19, 119-126, 2006 

  23. 최정현, 원경미, 손새봄, 박효진, 변순규, 이배익, 이종하, 김이청, 박수일.: 조피볼락에 대한 Vibrio harveyi의 병원성. 한국어병학회지, 20, 99-10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