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젼센서와 DRPG알고리즘을 이용한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ane Keeping Assist System using Vision Sensor and DRPG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17 no.1, 2009년, pp.50 - 57  

황준연 (한양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허건수 (한양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나혁민 ((주)만도 중앙연구소 전자선행팀) ,  정호기 ((주)만도 중앙연구소 전자선행팀) ,  강형진 ((주)만도 중앙연구소 전자선행팀) ,  윤팔주 ((주)만도 중앙연구소 전자선행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e Keeping Assistant Systems (LKAS) require the cooperative operation between drivers and active steering angle/torque controllers. An LKAS is proposed in this study such that the desired reference path generation (DRPG) system generates the desired path to minimize the trajectory overshoot. B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차량 상태overshoot은 운전자에게 오히려 불편한 감을 줄 수 있으며 차량의 횡방향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RPG를 이용한 기준경로 생성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Fig.
  • 본 논문에서 제안된 DRPG를 이용한 LKAS 시스템은 차선유지, 운전자 부하 감소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특히 제안된 DRPG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점진적으로도로중앙으로유도하는시스템으로차량 lateral offset의overshoot을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Desired Reference Path Generation 시스템(DRPG)과 최적제어기법을 이용하여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DRPG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경로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도로 중앙을 기준 경로하는 기존 LKA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되었다.
  • 본 논문에서 제안된 DRPG를 이용한 LKAS 시스템은 차선유지, 운전자 부하 감소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특히 제안된 DRPG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점진적으로도로중앙으로유도하는시스템으로차량 lateral offset의overshoot을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가설 설정

  • 식 (13)에서 final value theorem을 이용하면 정상상태 응답은 다음은 식 (14)와 같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와 도로 반경은 상수라 가정하여 사용되었다.
  • 위의 같은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우선 각각의 카메라 이미지마다 기준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 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이미지에서 생성된 기준 경로는 각각 l개의 기준점을 갖게 되는데, n 번째 이미지의 기준경로, #와 l개의 기준점, #는 전방주시 거리에서 수렴하는 tangential curve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능형 차량이란 무엇인가? 지능형 차량은 기존 기계공학 중심의 자동차 기술에전자ㆍ통신ㆍ제어 등의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능동 안전도 차량기술로서 운전자의 주행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 시킨 첨단 안전차량을 일컫는다. 이러한 지능형 차량의 기능 중 LKAS(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은 차량이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시스템으로서 차선 이탈 경보나 능동 조향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거나 조향휠에 보조 토크를 제공해주어 보다 쾌적한 운전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LKAS의 조향휠 각도 제어 시 장단점은 무엇인가? LKAS는 일반적으로 차량 조향휠의 각도를 제어1,2)하거나 조향휠에 토크를 생성3-5)하여 차선 유지를 한다. 조향휠 각도 제어의 경우 차선 유지 능력은 조향휠 토크 제어에 비하여 더 나은 성능을 보이지만 오히려 운전자가 불편을 느껴 운전자 수용성이 떨어지는 단점6)이 있다. 그러나 위 논문들의 경우 차량의 주행경로는 도로 중앙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선을 얻는 경우 이미지 처리 시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에 취약하다.
지능형 차량의 기능 중 LKAS은 무엇인가? 지능형 차량은 기존 기계공학 중심의 자동차 기술에전자ㆍ통신ㆍ제어 등의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능동 안전도 차량기술로서 운전자의 주행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 시킨 첨단 안전차량을 일컫는다. 이러한 지능형 차량의 기능 중 LKAS(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은 차량이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시스템으로서 차선 이탈 경보나 능동 조향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거나 조향휠에 보조 토크를 제공해주어 보다 쾌적한 운전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 Horiuchi and K. Sunada, "Synthesis of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Lane-Following Using Generalized Predictive Control," pp.467-472, Proc. of AVEC'98, 1998 

  2. J. KoSeck, R. Blasi, C. J. Taylor and J. Malik, "A Comparative Study of Vision-Based Lateral Control Strategies for Autonomous Highway Driving," Proceedings of the 1998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 Automation, pp.1903-1908, 1998 

  3. P. Leelavansuk, K. Shitamitsu, H. Mouri, M. Nagai, "Study on Cooperative Control of Driver and Lane-Keeping Assistance System,"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Vehicle Control (AVEC), pp.219-224, 2002 

  4. E. J. Rossetter, J. P. Switkes, J. C. Gerdes,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Potential Field Lane keeping System," Int. J. Automotive Technology, Vol.5, No.2, pp.95-108, 2004 

  5. M. Shimakage, S. Satoh, K. Uenuma, H. Mouri, "Design of Lane-keeping Control with Steering Torque Input," JSAE Review, Vol.23, pp.317-323, 2002 

  6. M. Omae and H. Shimizu, "Comparison of Lane-keep Assists by using Steering Torque," Steering Angular Velocity and Steering Angle, Proceedings of AVEC '06, AVEC060024, 2006 

  7. R. Rajamani, Vehicle Dynamics and Control, Springer, 2006 

  8. K. Huh, J. Park, D. Hong, D. D. Cho and J. Park, "Development of a Vision-based Lane Detection System Considering Configuration Aspects," 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Vol.41, No.11, pp.193-213, 2005 

  9. M. Bertozzi and A. Broggi, "GOLD: A Parallel Real-Time Stereo Vision System for Generic Obstacle and Lane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Vol.7, pp.62-81,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