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DAR를 이용한 대규모 암반 절리면의 거칠기 측정
Measurement of Joint Roughness in Large-Scale Rock Fracture Using LIDAR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19 no.1 = no.78, 2009년, pp.52 - 63  

김치환 (우석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규모 암반 절리면의 거칠기를 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길이 10 cm의 절리를 Barton 등이 제안한 표준절리면곡선과 비교하여 절리면 거칠기계수 JRC (joint roughness coefficient)를 결정하고 대규모 절리의 길이에 따라 보정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데, 적합한 표준 절리면곡선을 선택할 때 측정자에 따라 달라자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규모 암반 절리면의 거칠기 JRC는 길이에 따른 보정 없이 직접 측정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나 측정방법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암반절리를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로 스캔하고 절리의 길이 L과 절리면 상의 돌출부(asperity) 높이의 진폭 a를 이용하여 대규모 암반 절리의 거칠기계수 JRC를 구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의 암반 절리면에서도 절리의 길이 증가에 따라 거칠기 계수 JRC가 감소하는 비 정상상태(non-stationary)의 치수효과와 거칠기 측정방향에 따라 절리면 거칠기계수 JRC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study on large-scale rock joint roughness measurements using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the Split-FX point cloud processing software. The large-scale rock Joint Roughness Coefficient (JRC) is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amplitude of joint asperities over the profile length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ure 는 스캔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절리면을 삼각면으로 분할한 것이며, Figure 1c는 절리면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대규모 절리면이 3 개 추출되었고 이 중 면적이 가장 큰 오른쪽의 절리 면에서 거칠기계수 JRC를 구하였다. 이 절리면에서 거칠 기계수 JRC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선택한 절리면의 형상은 Figure 2와 같고 길이가 경사 방향이고 최대 약 10 m, 폭이 주향방향이고 최대 약 7 m 이다
  • 이들 가운데 Tse and Cruden (1979)의 연구 결과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Tse and Cniden (4979)는 표준 절리면거칠기 곡선에서 수평방향의 길이증가량을 직계할 때 증감히는 절리면 돌출높이를 이용하여 여러 통계변수값을 검토하였다. 여러가지 통계 값중 절리면의 돌출면 기울기(asperity slope) Z2와 구조함수(structure function) SF가 JRC값과의 상관성이 좋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 이방성을 검토하였다. 그런데 절리의 길이에 따라 JRC가 다르므로 먼저 측정방향에 관계없이 측정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비교하고 다음 절리 면의 실제 형상을 감안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검토하였다. 측정선 A, B, C 의 공통 측정길이 중 최대길이는 B5의 5 m이므로 측정길이가 5 m일 때 A, B, C1, C2에서의 평균 JRC를 비교하였다.
  • 다음으로 절리면의 거칠기 JRC를 측정방향에 따라 검토하였다. 절리면 돌출부의 진폭 a 중 평균값과 평균 측정길이 L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 Figure la는 포인트 클라우드이다. 대규모 암반 절리면을 스캔한 결과로 얻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Split-FX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여 평면의 삼각형 요소망을 구성한다. 이때 삼각형 요소의 모서리 길이는 스캔 간격보다 크게 하였다.
  • 마찬가지로 절리면의 폭 방향측정 선은 2 m간격으로 5개 설정하였다. 또 절리면 거칠기의 이방성을 알기 위해서 절리면의 중심에서 절리 면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의 사이 방향 즉 2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C1 과 C2 측정선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 선의 배열은 Figure 2와 같다.
  • 라이다와 Split-FX 포인트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추출해낸, 길이와 폭이 각각 약 10 m, 약 7 m인 대규모 절리면에서 절리면의 경사방향인 길이 방향과 주향 방향인 폭 방향 외에 절리면의 대각선 방향의 거칠기 곡선을 적절한 간격의 좌표값으로 저장하였다. 저장한 절리면 거칠기곡선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절리면 거칠기 측정길이 L을 0.
  • 이와 같은 계산방법은 현장에서의 측정작업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마치 일정한 길이의 막대처럼 측정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단면도의 시점에서 종점방향으로 평행이동 해가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한 측정 길이 L로 여러 개의 JRC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 길이 L을 변경하여 동일한 측선에서 거칠기를 또 측정함으로써, 측정길이에 따라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JRC 가 변하는 현상, 즉 치수효과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즉정길이 L을 0.
  • 먼저 절리면에 설정한 측정선에 따라 측정된 절리면 돌출높이의 진폭 a의 변화를 검토한다. 절리면 돌출높이의 진폭 a는 절리면의 돌출부 중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
  • 패치를 구할 때 비교하는 수직 벡터 차이의 허용범위는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삼각면 요소가 최소 5개 서로 인접되어 있고 각 삼각형 요소에 대한 수직벡터들의 방향차이가 10 도 이내인 경우를 하나의 패치로 정하였다. 일단 패치를 추출하면 패치의 방향을 스테레오네트 상에 표시할 수 있고 각 패치군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 암반 절리면의 거칠기JRC를 일기 위해서는 먼저 절리 면을 찾아야 하는데, 그 중 규모가 큰 절리로 조사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렵고 10 cm 길이의 표준 절리면 거칠기 곡선을 이용해서 암반의 거칠기계수 JRC를 구하는 것이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선택하였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 중 첫 번째 순서는 대상이 되는 암반사면을 라이다로 스캔하여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 그러므로 절리 거칠기 측정길이 L이 10 cm이면 거칠기를 표시하는 측점은 평균 5개 정도이므로 JRC 를 구할 때 신뢰할 수 없는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대규모 절리면의 거칠기계수 JRC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측정길이가 2 m이상인 경우를 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해상도가 더 높은 라이다로 절리 면을 스캔한다면 0.
  • 이번 연구에서도 라이다와 Split-FX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대규모 절리면의 거칠기계수 JRC를 구하였다. 대규모 암반 절리를 스캔한 곳은 콜로라도 유레이 고속도로에 있는 암반사면이다.
  • 6 mm이다. 일정 측정길이 L로 측정선을 따라 평행이동하면서 거칠기를 측정하는데 평행이동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정한 것이 아니라 내려 받은 파일에서 첫 번째 좌표에서 측정을 시작하여 거칠기를 구하고 바로 인접한 다음 좌표에서 측정을 재 시작하였다. 이 경우 동일한 구간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측정하므로 측정선 상에서 측정이 안된 부분이 없게 되고 측정 횟수가 늘어나게 된다.
  • 임-반 사면을 라이다로 스캔하여 얻는 포인트 클리우드를 Split-FX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여 절리의 방향, 길이, 간격 및 거칠기를 분석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암반의 대규모 절리면 거칠기를 분석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 저장한 절리면 거칠기곡선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절리면 거칠기 측정길이 L을 0.1 이에서 10 이까지 변화시키면서 절리면 돌출높이의 진폭 a를 구하여 절리면 거칠기계수 JRC를 계신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절리면 돌출부의 진폭 a 중 평균값과 평균 측정길이 L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절리면 중 경사 방향의 측정선 A에서의 J* RC Figure 7과 같다.
  • 마치 일정한 길이의 막대처럼 측정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단면도의 시점에서 종점방향으로 평행이동 해가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한 측정 길이 L로 여러 개의 JRC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 길이 L을 변경하여 동일한 측선에서 거칠기를 또 측정함으로써, 측정길이에 따라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JRC 가 변하는 현상, 즉 치수효과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즉정길이 L을 0.1 m, 0.5 m, 0.8 m 또 1 이에서 최대 10 m 까지 1 m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JRC를 측정하였다. 측정 대상 절리면의 폭이 넓으므로 길이방향 측정선의 간격은 약 1 m가 되도록 하여 5 개 측선을 설정하였다.
  • 8 m 또 1 이에서 최대 10 m 까지 1 m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JRC를 측정하였다. 측정 대상 절리면의 폭이 넓으므로 길이방향 측정선의 간격은 약 1 m가 되도록 하여 5 개 측선을 설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절리면의 폭 방향측정 선은 2 m간격으로 5개 설정하였다.
  • 그런데 절리의 길이에 따라 JRC가 다르므로 먼저 측정방향에 관계없이 측정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비교하고 다음 절리 면의 실제 형상을 감안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검토하였다. 측정선 A, B, C 의 공통 측정길이 중 최대길이는 B5의 5 m이므로 측정길이가 5 m일 때 A, B, C1, C2에서의 평균 JRC를 비교하였다. 이때 절리면의 경사 방향인 A 측정선에서의 평균 JRC는 약 8.
  • 저장한다. 측정하고자 히는 길이 L를 정하고 측정 길이 내에 있는 돌출부들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일차함수를 구한다. 이 함수로부터 수.
  • 하나의 대규모 절리면에서 절리면의 경사방향 A, 주향 방향 B, 또 이 두 방향의 사잇방향 C 에서 JRC를 구하였으므로 서로 다른 측정방향에 따라 나타나는 JRC 의 이방성을 검토하였다. 그런데 절리의 길이에 따라 JRC가 다르므로 먼저 측정방향에 관계없이 측정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비교하고 다음 절리 면의 실제 형상을 감안한 상태에서 JRC의 이방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ure 1은 이번 연구의 대상인 암반사면으로 미국 콜로라도 주 유레이 도로의 사면 중 일부분이다. 대상이 되는 사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 30 m 떨어져 라이다로 스캔하였고 Split-FX 소프트웨어을 사용하여 절리면을 자동 추출한 결과이다.
  • time-of-flight 장비는 phase-shift 장비에 비하여 먼 거리의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기 때문에 원거리 대규모 암반사면이나 노두의 스캔에 더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 거리 암반이나 노두를 대상으로 절리면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time- of-flight 종류의 라이다 장비를 고려하였다 time-of-flight 라이다 징비도 여러 종류의 제품이 있으나, 그 중 Optech ILRIS-3D 장비를 사용하였다 Optech ILRIS- 3D의 사양을 보며 투사되는 레이져 빛의 파장은 1550 nm, 최소측정 거리는 3 m, 최대측정거리 1500 m (80% reflectivity), 1초당 측정회수 2500 측점, 100 m 거리에서 레이저 빛의 직경 29 mm, 100 m 거리에서 거리의 정밀도 8 mm, 각의 정밀도 0.00115 degree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Goodman, R.E., 1989. Deformability of Rocks, Intraduction to Rock Mechanics. 2nd Edition. Wiley, New York, p.562 

  2. Brady, B.H.C., Brown, E.T., 1994. Rock Mechanics for Underground Mining. Chapman & Hall, London, UK, p.571 

  3. Nelson, R.A., 1985. Geological Analysis of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s. Buttenworth-Heinemann Publishers, Woburn, MA, p.336 

  4. Bieniawski, Z.T., 1989.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 Wiley, New York, USA, p.251 

  5. Priest, S.D., 1993. Discontinuity Analysis for Rock Engineering. Chapman & Hall, London, p.473 

  6. N. Barton, 1973, Review of a new shear strength criterion for rock joints. Eng Geol 7, pp.287-332 

  7. ISRM, 1978, Suggested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description of discontinuities in rock masse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15 319-368 

  8. N.H. Maerz, J.A. Franklin and C.P. Bennett, 1990, Joint roughness measurement using shadow profilometry. Int J Roek Mech Min Sci Geomech Abstr 27, pp.329-343 

  9. Hsiung, S. M., Ghosh, A., Ahola, H. P., Chowdbury, A. H., 1993, Assessment of conventional methodologies for joint roughness coefficient determination.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30(7), 825-829 

  10. P.H.S.W. Kulatilake, G. Shou, T.H. Huang and R.M. Morgan, 1995, New peak shear strength criteria for anisotropic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32, pp.673-697 

  11. A. J. Beer, D. Stead, J S. Coggan, 2002, Estimation of the joint roughness coefficient (JRC) by visual comparison. Mech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35(1), pp.5-74 

  12. T.H. Wu and E.M. Ali, 1978, Statistical representation of joint roughnes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15, pp. 259-262 

  13. R. Tse and D.M. Cruden, 1979, Estimating joint roughness coefficients. lnt J Rock Mech Min Sci Geornech Abstr 16, pp. 303-307 

  14. J. Krahn and N.R. Morgenstern, 1979, The ultimate frictional resistance of rock discontinuitie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16, pp.127-133 

  15. P.M. Dight and H.K. Chiu, 1981, Prediction of shear behavior of joints using profile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18, pp.369-386 

  16. M.J. Reeves, 1990, Rock surface roughness and frictional strength.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27, pp.429-442 

  17. J.R. Carr and J.B. Warriner, 1989,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al dimension and joint roughness coefficient, Bul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ists XXVI (2), pp.253-263 

  18. Y. H. Lee, J.R. Carr, D.J. Barr and C.J. Hass, 1990, The fractal dimension as a measure of the roughness of rock discontinuity profil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27, pp. 453-464 

  19. N. Wakabayashi and I. Fukushige, 1992,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fractal dimension and shear strength. Lake Tahoe, CA, Conf. Fractured and Jointed Rock Masses (June 3-5,) pp.119-124 

  20. Mandelbrot BB, 1983, The fractal of nature. New York: W.H. Freeman 

  21. N.E. Odling, 1994, Natural fracture profiles, fractal dimension and joint roughness coefficient. Rock Mech Rock Eng 27, pp. 135-153 

  22. P.H.S.W. Kulatilake, J. Um, G. Pan, 1998, Requirement for accurate quantification on self-affine roughness using the variogram method. Int. J. Solids Structures. Vol. 35, Nos 31-32, pp.4167-4189 

  23. T. Shirono, P.H. S.W. Kulatilake, 1997, Accuracy of the spectral method in estimating fractal/spectral parameters for self-affine roughness profiles. Int. J. Rock Mech. Sci. Vol. 34, No.5, pp.789-804 

  24. William L. Power, Terry E. Tullis, 1991, Euclidean and fractal models for the description of rock surface roughnes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6, No. B1. pp.415-424. Jan. 10 

  25. Stephen R. Brown, Christopher H. Scholz, 1985, Broad bandwidth study of the topography of natural rock surfa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0, No. B14.pp.12,575-12,582. Dec. 10 

  26. P.H. S.W. Kulatilake, J. Um., 1999, Requirements for accurate quantification of self-affine roughness using the roughness-length method. Int. J. Rock Mech. Min. Sci. 36, pp.5-18 

  27. P.H. S.W., J. Um., G. Pan., 1997, Requirements for accurate quantification of self-affine roughness using the line scaling method. Rock Mech. Rock Engng. 30(4), pp.181-206 

  28. S. Bandis, A.C. Lumsden and N.R. Barton, 1981, Experimental studies of scales effects on the shear behaviour of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18, pp.1-21 

  29. Nick Barton, 1981, Shear strength investigations for surface mining.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ability in Surface Mining., Vancouver, Chp. 7, AIME, pp.171-192 

  30. N. Barton, S. Bandis, 1990, Review of predictive capabilities of JRC-JCS model in engineering practice. Proc. Int. Conf. Rock joints. pp.603-610 

  31. Q. Feng, N. Fardin, L. Jing, and O. Stephansson, 2003, A new method for in-situ non-contact roughness measurement of large rock fracture surfaces. Rock Mech. Rock Engng. 36(1), pp.3-25 

  32. Park, E.S., Cheon, D. S., Synn, J. H., Jung, Y. B. and Choi, Y. K. , 2008, Characterization of discontinuities using 3-D laser scanner. ARMA 08-187 

  33. Mah, J., Samson, C., McKinnon, S., and Aikman, D., 2008, Triangulation-based 3D laser imaging for underground rock mass characterization: Impact of operational parameters. ARMA 08-249 

  34. Jamie Pringle, Andy Gardiner, Robin Westerman, 2004, Virtual geological outcrops-fieldwork and analysis made less exhaustive? Geology Today. Vol .20. No.2 March -April pp.67-72 

  35. John Kemeny, Randy Post, 2003, Estimating three-dimensional rock discontinuity orientation from digital images of fracture traces. Computers & Geoscience 29, pp.65-77 

  36. N.Fardin, Q. Feng, O. Stephansson, 2004, Application of a new in situ 3D laser scanner to study the scale effect on the rock joint surface roughness. Int. J. Rock Mech. Min Sci. 41, pp.329-335 

  37. Matt Lato, Mark S. Diederichs, D. Jean Hutchinson, Rob Harrp, 2008, Optimization of LiDar Scanning and processing for automated structural evaluation of discontinuities in rockmasses. Int. J. Rock Mech. Min. Sci. doi: 10.1016/j.ijrmms.2008.04.007 

  38. B $\"{a}$ cktr $\"{o}$ m, A., Feng Q. and Lanaro F., 2008, Improvement of fracture mapping efficiency by means of 3D-laser scanning. ARMA 08-106 

  39. Q.Feng, P.Sj $\"{o}$ gren, O.Stephansson, L.Jing, 2001, Measuring fracture orientation at exposed rock faces by using a non-reflector total station. Engineering geology 59, pp. 133-146 

  40. Virtual Geomatics. 2008. www.virtualgeomatics.com Pfeifer, N., Gorte, B., Oude Elberink, S., 2004, Influences of Vegetation on Laser Altimetry - Analysis and Correction Approache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I, Part 8/W2, pp.283 -287 

  41. Virtual Geomatics. 2008. www.virtualgeomatics.com Pfeifer, N., Gorte, B., Oude Elberink, S., 2004, Influences of Vegetation on Laser Altimetry - Analysis and Correction Approache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I, Part 8/W2, pp.283 -287 

  42. Vidar Kveldsvik, Bj $\"{o}$ rn Nilsen, Herbert H. Einstein, Farrokh Nadim, 2008, Alternative approacs for analysis of a 100,000 $m^3$ rock slide based on Barton-Bandis shear strength criterion. Landslides, 5:pp.161-1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