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기능상태에 따른 간호서비스 필요도 예측
Predictors of Nursing Service Need for Nursing Homes Resi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1, 2009년, pp.95 - 106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조순영 (국군간호사관학교) ,  장윤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unc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and to analyze time use, and finally identify factors to predict nursing care needs in relation to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Methods: In this study a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기능 상태에 따른 간호 서비스의 필요도를 예측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기능 상태에 따른 간호 서비스의 필요도를 예측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06년 시설 노인 기능평가 및 서비스 실태조사 자료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과 시설에서 간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및 보조 인력 두 집단을 대상으로 시간-동작연구를 통해 진행되 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에 있어서 노인들의 기능 상태 및 간호서비스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간호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에서 제공되는 간호 서비스 파악을 통한 서비스 표준안 마련 및 노인의 기능 상태와 서비스 필요도를 예측함으로써 시설에서의 적정 간호 인력 산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기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기능상태를 포괄적으로 사정하고, 시간-동작 방법에 의한 간호 서비스 내용 및 시간을 파악하여, 장기요양시설에서의 간호 서비스 필요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 시설 입소노인이 24시간 동안 제공받은 기본간호서비스와 전문 간호 서비스의 하위 영역별 내용을 살펴보면 기본간호 서비스는 식사영양조력(18.
  • 또한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간호 서비스가 주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향후 요양 시설의 간호 서비스 질 관리 및 환자 안전에 있어서 중요한 측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 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기능 상태를 포괄적으로 사정하고, 시간-동작 방법에 의한 간호 서비스 제공 실태를 파악하여, 간호서 비스 필요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 간호 서비스 표준안 및 인력 기준, 질 평가 제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 대상 기관은 수원, 강릉 등 전국 6개 지역에서 장기요양시범사업에 참여한 무료 노인요양시설 중 노인요양시설평가에서 우수등급을 받은 14개 기관(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을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을 선정한 이유는 인력 기준이나 시설환경, 대상자 만족도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이 좀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naszak-Holl, J., Fendrick, A. M., Foster, N. L., Herzog, A. R., Kabeto, M. U., Kent, D. M., et al. (2004). Predicting nursing home admission: Estimates from a 7-year follow-up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older American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8, 83-89 

  2. Bjorkgren, M. A., Fries, B. E., Hakkinen, U., & Brommels, M. (2004). Case-mix adjustment and efficiency measurement.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2, 464-471 

  3. Capenter, G. I., Ikegami, N., Ljunggren, G., Carrillo, E., & Fries, B. E. (1997). RUG-III and resource allocation: Comparing the relationship of direct care time with patient characteristics in five countries. Age and Aging, 26, 61-65 

  4. Carpenter, I., Perry, M., Challis, D., & Hope, K. (2003). Identification of registered nursing care of residents in English nursing homes using the Minimum Data Set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MDS/RAI) and Resource Utilisation Groups version III (RUG-III). Age and Ageing, 32, 686 

  5. Chang, H. S. (2000). Analysis of hospital services for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7, 18-31 

  6. Gibson, M. J., & Verma, S. (2006). Just Getting By: Unmet Need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mong Persons 50 or Older with Disabilities. Washington, DC: AARP Public Policy Institute 

  7. Harrington, C. (2005). Nurse staffing in nursing homes in the United States: Part II.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3), 9-15 

  8. Harrington, C., Zimmerman, D., Karon, S. L., Robinson, J., & Beutel, P. (2000). Nursing home staffing and its relationship to deficiencies. Journal of Gerontology, 55, 278-287 

  9. Jung, K. H., Suk, J. E., Sunwoo, D., Kim, C. W., Lee, T. W., Lee, T. J., et al. (2005). Development of targeting and fee systems for longterm car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0. Kim, C. W., Lee, G. O., Lee, Y. W., Won, J. W., Yeon, B. K., Lee, T. W., et al. (2004).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long-term care system.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E. K. (2003). Care time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 353-364 

  12. Kim, E. Y. (2002). Economic evaluation of long term care serv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H. C. (2008). A study on possible variations of senior care facilities after the enforcement of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a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4. Korea Institute of Health & Welfare. (2005). National long-term care survey for elderly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Seoul Nationa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Census of population in Korea on 2007 year. Seoul: Author 

  16. Kovner, C. T., Mezey, M., & Harrington, C. (2002). Who cares for older adults? Workforce implications of an aging society. Health Affairs, 21, 78-89 

  17. Lee, J. (2005).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status and resource utilization among elderly patients-Focused on care times among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J. J. (1999). Application of RUG-III for long-term care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 Lee, S. H. (2006). The determinants of nursing home quality indicators: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473-481 

  20. Lee, S. H., Kim, S. R., Kim, S. M., Kim, E. K., Park, S. K., & Oh, J. H. (2001). A study on supply strategy of long-term care facility and special bed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1. Long-Term Care System Information. (2008). National Long-Term Care Agency. Retrieved October 23, 2008, from http://www. 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Evalu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nuscript 

  23. National Long-Term Care Planning Committee. (2005). Development of targeting and cost systems for long-term care.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Nordberg, G., Wimo, A., Jonsson, L., Kareholt, I., Sjolund, B.M., Lagergren, M., et al. (2007). Time use and costs of institutionalised elderly persons with or without dementia: Results from the Nordanstig cohort in the Kungsholmen Project -A population based study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 639-648 

  25. Phillips, C. D., & Hawes, C. (2005). Care provision in housing with supportive services: The importance of care typ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are sit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4, 55-67 

  26. Sung, K. W., Shin, I. H., Lee, K. H., & Kwan, K. H. (2005). Content analysis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free elderly home and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 7-19 

  27. Sunwoo, D., Jung, K. H., Oh, Y. H., Cho, A. J., & Suk, J. E. (2001). Survey need of long-term care and politic strateg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 Sunwoo, D., Suk, J. E., Kim, C. W., Lee, T. W., Jung, H. S., Lee, M. J., et al. (2006). Korea long-term care demonstration project evaluation.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89).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NY: Harper Collins Publishers, Inc 

  30. US Congressional Budget Office. (1997).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Budget issue paper.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1. Wolinsky, F. D., & Johnson, R. J. (1991). The use of health services by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6, 345-357 

  32. Woo, J., Ho, C., Yu, M., & Lau, I. (2000). An estimate of long-term care needs and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institutionalization among Hong Kong Chinese aged 70 years and over. Journal of Gerontoloy, 55, 6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