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Variation of the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between spring and fall season on the Jinu-do beach,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1 no.6, 2009년, pp.444 - 452  

김부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이상룡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우도 해빈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의 2회에 걸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의 조직변수를 분석하였다. 2005년 11월에 비하여 2006년 5월에는 진우도 서쪽 해빈의 최빈값은 $3.0\phi$(i.e., 0.125 mm)로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동쪽 해빈에서는 최빈값$3.0\phi$(i.e., 0.125 mm)의 함량이 대폭 감소하고 $2.5\phi$(i.e., 0.177 mm)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조립화 경향이 발생하였다. 마찬가지로 표층퇴적물 평균 입도는 서쪽 해빈에서는 두 조사의 차이가 거의 미약하지만, 동쪽 해빈의 평균입도는 증가되어 조립화된 특징을 반영한다. 이러한 조립화는 2006년 5월에 진우도의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서 상대적으로 양의 값으로 변화된 왜도 경향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2005년 겨울을 지나면서 진우도의 표층퇴적물은 서쪽 해빈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쪽 해빈은 $3.0\phi$(i.e., 0.125 mm)의 세립 사질퇴적물이 제거되는 현저한 조립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낙동강 하구역에 하계동안 증가된 강수량과 낙동강 방출량 그리고 동계동안 우세한 파랑 그리고 조석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우도 서쪽 해빈과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 영향을 주는 수리학적 조건과 퇴적물의 공급/제거가 다르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xtural parameters were calculated from the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Jinu-do beach in Nov. 2005 and May 2006. In Nov. 2005 and May, 2006,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shows that the mode of $3.0\phi$(i.e., 0.125 mm) dominated the west beach of Jinu-do, but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섬 또는 울타리섬들의 퇴적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김 등(2007)이 진우도-신자도-도요등 해빈의 표층퇴적물 분포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였지만 1회성의 자료로 계절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하구둑 건설이후 지형적인 변화가 가장 적은 진우도 해빈 표층퇴적물의 조직변수들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보고하였다. 진우도 해빈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채취된 표층퇴적물은 각각 하계의 주된 퇴적작용과 동계의 주된 퇴적작용의 영향을 받고 난 후의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하구둑 건설이후 지형적인 변화가 가장 적은 진우도 해빈 표층퇴적물의 조직변수들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보고하였다. 진우도 해빈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채취된 표층퇴적물은 각각 하계의 주된 퇴적작용과 동계의 주된 퇴적작용의 영향을 받고 난 후의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둑은 언제 완공 되었는가? 낙동강 하구둑은 해수의 역류로 발생하는 산업 용수공급 장애와 김해평야의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1983년 6월에 공사를 착수하여 1987년 11월에 완공되었으며, 하구둑의 준공으로 인해 식수와 공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Fig. 1;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둑은 어떤 목적으로 개발하였는가? 낙동강 하구둑은 해수의 역류로 발생하는 산업 용수공급 장애와 김해평야의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1983년 6월에 공사를 착수하여 1987년 11월에 완공되었으며, 하구둑의 준공으로 인해 식수와 공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Fig. 1; 부산지방환경청, 1992).
진우도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조직변수의 분석 결과가 서쪽 해빈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쪽 해빈은 서쪽 해빈에 비하여 현저한 조립화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의 진우도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조직변수를 분석한 결과, 2005년 겨울을 지나면서 진우도의 표층퇴적물은 서쪽 해빈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쪽 해빈은 서쪽 해빈에 비하여 현저한 조립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낙동강 하구역에 하계동안 증가된 강수량과 동계동안 우세한 파랑 그리고 조석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우도 서쪽 지역과 동쪽 지역의 해빈 퇴적물에 영향을 주는 수리학적 조건과 퇴적물의 공급/제거가 다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오섭 (1991).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환경요인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4, 231-238 

  2. 김기철, 양한섭, 김차겸, 문창호, 장성태 (1999).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2, 49-59 

  3.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 361-374 

  4.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 26-36 

  5.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 268-278 

  6.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 416-427 

  7. 김성환, 류호상, 신영호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 43-53 

  8.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지, 16, 180-188 

  9. 박종길 (1992) 낙동강 하구의 자연환경 및 생태변화. 인제대학교 환경연구소, 59-68 

  10. 반용부 (1986).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 부산여대논문집, 21, 463-518 

  11. 부산발전연구원 (2005). "낙동강 하구둑의 득과 실", 부산발전연구원, 226pp 

  12. 부산발전연구원 (2007). "낙동강 하구 생태계모니터링 보고서(2006-2007)", 부산발전연구원, 220pp 

  13.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언 축조 전후 주요환경 변화조사", 부산지방환경청, 308pp 

  14.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 변화. 한국제4기학회지, 13, 67-78 

  15.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 54-60 

  16. 윤은찬, 이종섭 (2008).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 372-389 

  17.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 22-34 

  18. 이상화, 김진후 (2002). 낙동강 하구 사주(모래톱)의 지형조사와 해저토 이동방향에 관한 연구(II). 대한토목학회지, 22, 365-370 

  19. 이유대 (1993). 부산만 해저지질의 특성연구: 낙동강 하구 수역의 퇴적 영력. 한국지구과학회지, 14, 67-74 

  20. 이유대, 박병남 (1985). 낙동강 하구 진우도 일원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40, 327-336 

  21.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 13-20 

  22. 이인철, 임성필, 윤한삼, 김헌태 (2008). 낙동강 하구역 사주지형 변동과 부유사(SS) 수송량 산정 - 진우도를 중심으로-.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 70-77 

  23. 이종섭, 윤은찬 (2003).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혼합거동 해석. 대한토목학회지, 23, 347-358 

  24.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바다, 11, 11-20 

  25. 전병일 (2005). 낙동강 하구언 건설 전후의 기상환경 변화 특성. 환경영향평가, 14, 135-145 

  26.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27.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28.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9-94 

  29. Ingram, R. (1971). Sieve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49-67 

  30. Pilkey, O.H., Rice, T.M., and Neal, W.J. (2004). How to Read a North Carolina Beach, Chapel Hill, 162pp 

  31. Stutz, M.L and Pilkey, O.H. (2001) A review of global barrier island distribution.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4, 15-22 

  32. Stutz, M.L. and Pilkey, O.H. (2002) Global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deltaic barrier island system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6, 694-7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