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 개발에 의한 동해 해빈 퇴적물의 입자 조직 특성의 변화
Variations of Grain Textural Parameters of Beaches by Coast Development at East Coast Korea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7, 2007년, pp.914 - 924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정선미 (극지연구소) ,  조용구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동해에서 자연 상태의 해빈(낙산-오산 해빈)과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해빈(안목-염전 해빈)의 퇴적물을 조사하고 두 해빈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4년 홍수기와과 2005년 갈수기에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 대해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낙산-오산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서는 해빈 남측으로 가면서 평균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는 등 퇴적상과 조직변수가 일정하게 변화하였으며 계절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안목-염전 해빈은 낙산-오산 해빈에 비해 후안 및 전안의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양의 왜도 값이 많았고 연근해를 포함하여 조직변수의 전체적인 변화 경향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두 해빈의 특징은 해안을 따라 흐르는 연안류가 해안선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고 이로 인해 퇴적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안목-염전 해빈은 인공구조물(안목항)이 연안류의 흐름을 막아 자연 상태와는 다른 퇴적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목-염전지역은 항만의 공사가 추가로 계획되어 있어 향후 지속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tural beaches with those of beaches developed with artificial structur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Naksan-Osan beaches were selected for the examination of natural beaches and Anmok-Yumjun beaches for that of developed b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안에서 두 곳의 해빈을 선정하여 표층 퇴적물과 해빈의 변화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해양 구조물의 유무에 따른 퇴적물의 특성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해안 구조물 건설 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안목-염전 해빈)과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은 자연 상태의 지역(낙산-오산 해빈)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규한, 백종대, 2002, 동해안 중소어항 인근 해안침식 방지대책.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4), 247-256 

  2. 김인호, 이정렬, 2004,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2), 108-119 

  3.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조영길, 신상은, 은고요나, 2006,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에 관한 연구. I. 한국 남해안의 득량만. 지구과학회지, 27(2), 221-235 

  4. 류상옥, 신용식, 2006,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지구과학회지, 27(6), 659-669 

  5. 신승호, 이중우, 2000, 외해구조물 건설에 따른 해빈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2), 96-107 

  6. 오재경, 유규철, 1997. 한반도 동남부 해빈 퇴적물의 조직 변수의 특징. 인하대학교 기초 과학연구소 18, 87-94 

  7. 오재경, 금병철, 2002,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지구과학회지, 23(7), 565-574 

  8. 유규철, 오재경, 1998. 동해 연안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1), 50-55 

  9.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2), 117-126 

  10.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2003, 남항진 해안의 장기 해안선 변화조사 및 정확도 평가. 2003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 4976-4981 

  11. 최병호, 강경구, 이석우, 1989, 사강하구의 조석 및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 31-43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강릉도폭(1:25,000) 

  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속초도폭(1:25,000) 

  14. 함계윤, 김진홍, 장대정, 2002,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1), 65-75 

  15. Davis, R.A.,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ger: New York Berlin Heidelberg Tokyo, 380-444 p 

  1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159 p 

  17.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1), 3-26 

  18. Heward, A. P., 1981. A review of wave-dominate clastic shoreline deposits. Earth Sci. Rev., 17, 223-276 

  19. Komar, P.D., 1976. Beach Processes and sedimentation. Prentice Hall, 168-202 p 

  20. Shepard, F.P., 1963. Submarine Geology, 2nd ed. Harper and Row, New York:, 557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