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장기입원 관련 요인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with Extended Hospitaliz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2 no.6, 2009년, pp.416 - 423  

서수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김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박종익 (강원대학교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명수 (서울시 정신보건센터) ,  장홍석 (인천광역시의료원 정신과) ,  이선영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  이진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and to explore patien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xtended hospitalization.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information of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ll data ass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초발 정신질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3년간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여 입원 규모와 재원기간, 장기입원 경험률을 파악하고 장기입원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초발 정신질환자의 장기입원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5년 상반기 동안 정신질환으로 첫 진단받은 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의료이용 현황과 장기입원 관련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 연구들은 진단 시기와 관계없이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질환자의시점 입원율을 제시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8,12].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으므로 초기 치료의 질적인 측면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입원 의료기관 유형이 초기 입원치료의 질적 차이를 대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첫 입원 의료기관을 청구자료로 구분 가능한 수준인 종합전문요양기관, 종합병원, 병원, 의원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병원급 보건의료원과 요양병원은 병원으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절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의료 서비스 제공은 무엇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인가? 적절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의료 서비스 제공은 한정된 의료 자원의 배분과 효과적이고 적절한 환자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정신질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도 근거중심의학을 바탕으로 치료 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5년 상반기 동안 정신질환으로 첫 진단받은 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의료이용 현황과 장기입원 관련 요인을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본 연구의 대상은 입원환자만으로 한정되어 있다. 즉, 입원하지 않은 경증 정신질환자들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입원이 필요한 수준의 중증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나타난다. 또한 분석시 첫 입원 시의 연령, 의료보장상태, 입원 병원을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 대해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일례로, 초발 입원 시기와 마지막 입원 시기의 의료보장 상태를 기준으로 초발 입원 이후의 의료보장 상태 변동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의 18.
정신질환자의 장기입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는? 정신질환자의 입원과 관련된 세부현황과 장기입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장기입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 정신질환자의 입원 현황 파악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attes JA, Rosen B, Klein DF.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short”versus "ong"stay psychiatric hospitalization: II. Results of a 3-year posthospital follow-up. J Nerv Ment Dis 1977; 165(6): 387-394 

  2. McGorry PD, Killackey E, Yung AR. Early intervention in psychotic disorders: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first episode and the critical early stages. Med J Aust 2007; 187(7 suppl): S8-S10 

  3. Thornicroft G, Bebbington P, Leff J. Outcomes for long-term patients one year after discharge from a psychiatric hospital. Psychiatr Serv 2005; 56(11): 1416-1422 

  4. Suh DW. Length of stay of psychiatric inpatients by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ype of faciliti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 41(6): 1174-1184. (Korean) 

  5. The Central Mental Health Supporting Committee. National Mental Health 10-year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Korean) 

  6. Lee YM, Kim JH, Lee HY, Jeong YK, Lim KY, Lee JH, et al. Length of stay in the mental health facilitie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 37(1): 83-94. (Korean) 

  7. Kim JO, Lee YS, Lee KH. A clinical study of "short” versus" long" psychiatric hospitalization in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4; 33(4): 718-728. (Korean) 

  8. Lee YM, Lee HY, Lim KY. Case mix of psychiatric inpatients in Korea. Ajou Med J 1996; 1(1): 193-199. (Korean) 

  9.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7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998. p. 428. (Korean) 

  10. Kim KK. A public health approach to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related problem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996; 22(1): 162- 192. (Korean) 

  11. Munich RL, Gabbard GO. Hospital psychiatry. In: Tasman A, Riba MB, editors. Review of Psychiatry. Vol. 1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2. p. 501-534 

  12. Lee JH, Ahn IN, Oh SW, Chung YC, Choi YM, Won JS, et al. A clinical study of the psychiatric in-patients during nine years. Inje Med J 1983; 4(2): 153-165. (Korean) 

  13. Waraich P, Goldner EM, Somers JM, Hsu L. Prevalence and incidence studies of moo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an J Psychiatry 2004; 49(2): 124-138 

  14. Somers JM, Goldner EM, Waraich P, Hsu L. Prevalence studies of substance-relate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an J Psychiatry 2004; 49(6): 373-384 

  15. Min SK. Modern Psychiatry. 5th ed. Seoul: Ilchokak; 2006. p. 243-245. (Korean) 

  16. Snowdon J. How many bed-days for an area’s psychogeriatric patients? Aust N Z J Psychiatry 1993; 27(1): 42-48 

  17. Kolbasovsky A, Reich L, Futterman R. Predicting future hospital utilization for mental health conditions. J Behav Health Serv Res 2007; 34(1): 34-42 

  18. Kastrup M. Prediction and profile of the longstay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of first time admitted patients. Acta Psychiatr Scand 1987; 76(1): 71-79 

  19. Thompson A, Shaw M, Harrison G, Ho D, Gunnell D, Verne J. Patterns of hospital admission for adult psychiatric illness in England: Analysis of hospital episode statistics data. Br J Psychiatry 2004; 185: 334-341 

  20. Mattes JA, Rosen B, Klein DF.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short" versus "long" stay psychiatric hospitalization: II. Results of a 3-year posthospital follow-up. J Nerv Ment Dis 1977; 165(6): 387-394 

  21. Aitchison KJ, Meehan K, Murray RM. First Episode Psychosis. London: Martin Dunitz; 1999. p. 1-8 

  22. Jakubaschk J, Waldvogel D, Wurmle O. Differences between long-stay and short-stay inpatients and estimation of length of stay: A prospective stud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93; 28(2): 84-90 

  23. Hendryx MS, DeRyan J. Psychiatric hospitalizati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nsurance type. Adm Policy Ment Health 1998; 25(4): 437-448 

  24. Chapireau F. Old and new long stay patients in French psychiatric institutions: results from a national random survey with two-year followup. Encephale 2005; 31(4 Pt 1): 466-476 

  25. Heiman EM, Shanfield SB. Length of stay for patients in one city's hospitals with psychiatric units. Hosp Community Psychiatry 1980; 31(9): 632-634 

  26. Lelliott P, Wing J, Clifford P. A national audit of new long-stay psychiatric patients: I: Method and description of the cohort. Br J Psychiatry 1994; 165(2): 160-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