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 양식장 밀집해역인 거제한산만의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저서환경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Benthic Environment at an Intensive Oyster Culturing Ground in Geoje-Hansan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4, 2009년, pp.213 - 228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  김연정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  오현택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굴 양식지인 거제한산만에서 저서동물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 및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를 위해 굴 양식지와 비양식지를 포함하는 총 15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2008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표층퇴적물은 평균입도 $9.0\;{\Phi}$ 전후의 극세립실트로 구성되었으며 총유기탄소는 평균 1.9%이었다. 용존산소농도의 평균은 8.1 mg/L이었으며 사계절 중 가장 낮은 값은 보인 8월에는 해역 수질환경기준 II등급에 해당하는 농도가 관찰되었다. 저서동물군집의 총 종수는 351종, 평균 개체밀도는 3,675 개체/$m^2$ 이었으며 두 가지 변수에서 모두 다모류가 가장 우세한 동물군이었다.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시 공간적으로 크게 변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5월에 그리고 공간적으로 내만역 보다는 수로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Lumbrineris longifolia(21.3%), Aphelochaeta monilaris(17.8%) 그리고 Ericthonius pugnax(6.1%) 등으로 모두 유기물이 풍부한 해역을 대표하는 종들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군집은 내만역과 수로역으로 구분되었다. 전체군집의 시 공간적 변화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총유기탄소와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주요환경요인의 특성은 거제한산만에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가 있음을 의심하게 하였으며 그러한 현상은 특히 내만역의 굴 양식지에서 뚜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eoje-Hansa Bay, which is the greatest oyster producing site in Korea. Field survey for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

주제어

참고문헌 (69)

  1. 김종화, 장선덕, 1985. 거제만의 해수교환. 한국수산학회지, 18(2):101-108 

  2. 박종수, 김형철, 최우정, 이원찬, 박청길, 2002a.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1. 생태계 모텔을 이용한 거제·한산만의 굴 먹이 공급량 추정. 한국수산학회지, 35(4): 395-407 

  3. 박종수, 김형철, 최우정, 이원찬, 김동명, 구준호, 박청길, 2002b.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I. 거제.한산만의 환경용량. 한국수산학회지, 35(4): 408-416 

  4. 박흥식, 임현식, 홍재상, 2000a.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양상. 한국수산학회지, 33(3): 262-271 

  5. 박흥식, 최진우, 이형곤, 2000b.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1): 1-8 

  6. 백상규, 강래선, 전재옥, 이재학, 윤성규, 2007.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Ocean and Polar Res., 29(2): 123-134 

  7. 백상규, 윤성규, 2000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6): 572-580 

  8.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4): 287-304 

  9.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길, 최민규, 이원찬, 오현택, 홍석진, 2009.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4(2): 102-117 

  10. 윤성규, 백상규, 2001. 가덕도 주변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 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 493-501 

  11. 이형곤, 이재학, 유옥환, 김종관, 2005.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 저서 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 Ocean and Polar Res., 27(2): 135-148 

  12. 임경훈,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7.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1): 9-23 

  13. 임현식, 박경양, 1999.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 동물 군집 . 한국수산학회지, 32(3): 320-332 

  14. 임현식, 이재학, 최진우, 제종길, 1995.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통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28(5): 635-648 

  15. 임현식, 최진우, 2001.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 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4(3): 225-237 

  16. 임현식, 홍재상, 2002. 법성포 와탄천 하구역의 염분과 퇴적환경에 따른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 8-19 

  17. 정래홍, 윤상필, 권정노, 이재성, 이원찬, 구준호, 김연정, 오현택, 홍석진, 박성은, 2007.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3): 159-169 

  18. 정래홍, 임현식, 김성수, 박종수, 전경암, 이영식, 이영식, 이재성, 김귀영, 고우진, 2002. 남해안 기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4): 235-246 

  19.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 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5): 730-743 

  20. 조창환, 김용술, 1977. 굴 양식장의 미세환경에 관한 연구 1. 거제만의 양식장밀도 및 부영양화에 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10(4): 259-265 

  21. 조창환, 김용술, 1978. 굴 양식장의 환경에 관한 연구 - 충무부근 양식장의 저질에 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11(4): 243-247 

  22. 최우정, 전영열, 박정흠, 박영철, 1997. 한산·거제만의 환경특성이 양식 굴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0(5): 794-803 

  23. 최진우, 유옥환, 이우진, 2003.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 14-28 

  24.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89pp 

  25. 홍재상, 이재학, 1983. 마산만의 해양오염이 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18(2): 169-179 

  26. Bang, K.S., 1967. Studies on the quantity and composition of the microplankton in a Bay of Han San. Bull. Fish. Res. Dev. Agency, 1: 119-130 

  27. Bae, G.M. and P.A. Bae, 1972. Sudies on suspended cultur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the Korean coastal (1) on the growth rate of oyster in growing area. Bull. Fish. Res. Dev. Agency, 9: 71-84 

  28. Bae, P.A., J.R. Kim, P.A. Kang and Y. Kirn, 1976. Sudies on suspended cultur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the Korean coastal (III) on the growth rate of oyster depending on the environrnental factors in each growing area. Bull. Fish. Res. Dev. Agency, 15: 73-81 

  29. Bae, P.A., C.K. Pyen, C.S. Ko, Y. Kirn and P.A. Kang, 1978. Sudies on suspended cultur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the Korean coastal (IV) on the environrnental factors of oyster culturing farrns and the growth rate of oysters. Bull. Fish. Res. Dev. Agency, 20: 109-111 

  30.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ut. Bull., 18: 581-585 

  31. Cardoso, P.G., M. Bankovic, D. Raftaelli and M.A. Pardal, 2007. Polycheate assemblages as indicators of habitat recovεey in a ternperate estuary under eutrophication. Est. Coast. ShelfSci., 71: 301-308 

  32. Castel, J., J.P. Labourge, V. Escaravage, I. Auby and M.E. Garcia, 1989. Influence of seagrass and oyster parks on the abundance and biomass patterns of meio- and macrobenthos in tidal flats. Est. Coast. Shelf Sci., 28: 71-85 

  33. Chintiroglou, C.C., C. Antoniadou, A. Baxevanis, P. Damianidis, P. Karalis and D. Vafidis, 2004. Peracarida populations of hard substrate assemblages in ports of the NW Aegean Sea (eastem Mediteraean). Helgol. Mar. Res., 58: 54-61 

  34.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 117-143 

  35.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for linking multivariate comrn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 205-209 

  36.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rn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144 pp 

  37. Cloern, J.E., 2001. Our evolving conceptual model of the coastal eutrophication problem. Mar. Ecol. Prog. Ser., 210: 223-253 

  38. Conlan, K.E., S.L. Kirn, H.S. Lenihan and J.S. Oliver, 2004. Benthic changes during 10 years organic enrichment by McMurdo Station, Antarctica. Mar. Pollut. Bull., 49: 43-60 

  39. Crawford, C.M., C.K.A. MacLeod, and L.M. MitcheIl, 2003. Effects of shellfish farming on the benthic environment. Aquaculture 224: 117-140 

  40. Dahlback, B. and L.A.H.Gunnarsson, 1981. Sedimentation and sulfate reduction under a mussel sulture. Mar. Biol., 63:269-275 

  41. Diaz, R.J. and R.Rosenberg, 1995.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ral responses of bethic macrofauna. Oceanogr. Mar. Biol. Ann. Rev., 33:245-303 

  42. Diaz, R.J. and R.Rosenberg, 2008. Spreading dead zones and consequences for marine ecosystems. Science, 321:926-929 

  43. Diaz-Castaneda, V. and L.H.Harris, 2004. Bio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polychaete fauna from soft bottoms of Bahia Todos Santos, Baja California, Mexico. Deep-Sea Res Part II, 51:827-847 

  44. Edgar, G.J., C.K. Macleod, R.B. Mawbey and D. Shields, 2005. Broad-scale effects of marine salmonid aquaculture on rnacrobenthos and sediment environment in southeastern Tasmania. J. Exp. Mar. Biol. Ecol., 327: 70-90 

  45. Etter, R.J. and Grassle, J.F., 1992. Patterns of species diversity in the deep sea as a function of sediment particle size diversity. Nature, 360: 576-578 

  46. Frouin, P., 2000.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s of tropical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194: 39-53 

  47. Grant, J., A. Hatcher, D.B. Scott, P. Pocklington, C.T. Schafer and G.V. Winters, 1995.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evaluating impacts of shellfish aquaculture on benthic communities. Estuaries, 18: 124-144 

  48. Gray, J.S., R. 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 249-279 

  49. Hong, J.S., 1983. Three tube-building amphipods frorn experimental plates in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Zool., 26(2): 135-153 

  50. Huston, M., 1979. A general hypothesis of species diversity. Am. Nat., 113: 91-101 

  51.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6): 557-566 

  52. Karakassis I, E. Hatziyanni, M. Tsapakis and W. Plaiti, 1999. Benthic recovery following cessation of fish farming: a series of successes and catastrophes. Mar. Ecol. Prog. Ser., 184: 205-218 

  53. Kaspar, H.F., P.A. Gillespic, l.C. Boyer and A.L. MacKenzie, 1985. Effects of mussel aquaculture on the nitrogen cycle and benthic communities in Kenepura Sound, Malborough Sound, New Zealand. Mar. Biol., 85: 127-136 

  54. Kim, C.B., 1991. A systematic study of marine gammaridean amphipoda from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443 pp 

  55. Lirn, H.S., R.J. Diaz, J.S. Hong and L.C. Schaffuer,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n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 Pollut. Bull., 52: 1517-1526 

  56. Mallet, A.L., C.E. Carver and T. Landry, 2006. Impact of suspended and off-bottom Eastern oyster culture on the benthic environment in eastern Canada. Aquaculture, 255: 362-373 

  57. Nickell, L.A., K.D. Black, D.J. Hughes, J. Overnell, T. Brand, T.D. Nickell, E. Breyer and M.S. Harvey, 2003. Bioturbation, sediment fluxes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round a salmon cage farm in Loch Creran, Scotland. J. Exp. Mar. Biol. Ecol., 285-286: 221-233 

  58.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59. Rosenberg, R. and H.C. Nilsson, 2005. Deterioraion of soft-bottom benthos along the Swedish Skagerrak coast. J. Sea Res., 54:231-242 

  60. Samuelson, G.M., 2001. Polychaetes as indicators of environmantal disturbance on subarctic tidal falts, Iqaluit, Baffin Island. Nunavut Territory. Mar. Pollut. Bull., 42:733-741 

  61. Shannon, C.E., and W.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62. Snelgrove, P.V.R., 1998. The biodiversity of macrofaunal organisms in marine sediments. Biodiversity Conserv., 7: 1123-1132 

  63.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 111-177 

  64. Stenton-Dozey, J.M.E., T. Probyn and A. Busby, 2001. Impact of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raft-culture on benthic macrofauna, in situ oxygen uptake, and nutrient fluxes in Saldahana Bay, South Africa. Can. J. Fish. Aquat. Sci., 58: 1021-1031 

  65. Tenore, K.R., L.F. Boyer, R.M. Cal, J. Corral, C. Garcia-Fernandez, N. Gonzalez, E. Gonzalez-Gurriaran, R.B. Hanso, J. Oglesias, M. Krom, E. Lopez-Jamar, J. McClain, M.M. Pamatmat, A. Perez, D.C. Rhoads, G. De Santiago, J. Tietjjen, J. Westrich and H.L. Windom, 1982. Coastal upwelling in the Rias Bajas, NW Spain: contrasting the benthic regimes of the Rias de Arosa and de Muros. J. Mar. Res., 40: 701-772 

  66. Thorne, A.J., 1998. Alterations in the structure of macrobenthic communities related to the culture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Zoology, University of Tasmania, Hobart, p.102 

  67. Warwick, R.M., 1993.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on marine communities: 

  68. Yokoyama, H., M. Inoue and K. Abo, 2004. Estimation ofthe assimilative capacity of fish-farm environments based on the current 

  69. Yoon, S.P., 2006. The eelgrass, Zostera marina and its associate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Gwangyang Bay, Korea. Ph. D. Thesis, Univ. Inha, Incheon, Korea. 237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