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철도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
An Estimation Model of the Minimum Required Dwell Time for Urban Railway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2 no.6 = no.55, 2009년, pp.953 - 960  

김동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통물류연구실)

초록

도시철도 주요구간에서는 상습적인 지연 및 후행열차로의 지연파급확산으로 구간운행시분 증대 및 정시운행 불가, 나아가 혼잡증대로 인해 이용승객이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운행계획은 승객과의 약속이자 타 자원운영계획과 연계하여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고밀도 운행 도시철도의 경우 정차시분이 운행시격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효율적 서비스계획 수립 시 정차시분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분야의 정차시분 관련 선행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운영기관 환경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과 실제 현장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사례를 함께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major operation section of urban railway, there has been occurred habitual delay, and delay propagation and spread to consecutive trains. Therefore, this delay cause the increase of operation time and irregular operation, also the increase of crowd and inconvenience to passengers. The railw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도시철도 운영구간에서 승객서비스 및 운영효율성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적정 최소소요정차시분 추정을 위한 실용모델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철도 운영환경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을 제시하고 실제 데이터를 사용한 추정결과와 실제 기록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최근 광역도시권 궤도교통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분야에서의 승객서비스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국내외 연구사례와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운영기관 제반환경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데이터에 제시된 모델을 적용한 사례와 함께 타당성을 검토하고 결론을 제시한다.
  •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는 역별 시간대별 단위시간당 환승수요 및 유출입수요를 상세히 관리하고 있지 못하며, 실적기반의 환승 및 유출입승객수는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용 추정모델은 현실상황에서 가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역/시간대별로 선행열차와의 시격에 따른 동적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을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절에서는 실제 현장 가용데이터에 추정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 실적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모델 적용을 위해 가용한 데이터는 역/시간대별 유출입승객수(IP, OP)와 환승객수(TP), 시간대별 평균열차빈도(ITF or OTF)이며, 현재 가장 혼잡하여 운영상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단방향(외선) 및 출근시간대(07-10시)의 주요 혼잡역을 사례로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선철도의 특징은? 간선철도의 경우 정상 운행조건과 통상적 지연요인에 따른 운영 여유를 전제로 한 정시스케쥴에 따라 운행되며, 적정 범위 내의 지연요인인 외란은 다이아(diagram)의 강인성(robustness) 혹은 탄력성(elasticity) 특성에 따라 이후 운행과정에서 자연회복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철도의 경우 스케쥴에 해당하는 계획다이아는 존재하나 피크타임 시간대에는 수요과다 및 상습지연으로 다이아의 존재가 무의미하게 운행되는 경향이 있다.
도시철도 운행에서 정차시간이 커지면 어떻게 되는가? 도시철도 운행에서 정차시간은 운행시격의 가장 큰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승객서비스 및 운영효율성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요소이다. 정차시간이 커지면 주요운행구간의 총통행시간이 늘어나고 선행열차와의 시격이 확대되는 파급확산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시격확대는 차량 및 플랫폼에서의 승객혼잡을 가중시키게 되고 이는 다시 정차시간의 증대로 악순환현상이 반복된다. 그러나 현행 도시철도 운행 계획에서는 모든 시간대/역에서 30초 고정정차시분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 운행상황에서 당연한 오차를 내포하고 있다.
대도시 도시철도의 주요 운영구간의 피크타임 특징은? 대도시 도시철도의 주요 운영구간에서는 피크타임(peaktime) 시간대에 상습적인 열차지연으로 이용승객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열차지연은 시스템용량, 운행스케쥴, 승객 시공간 분포, 차량운용계획 등 철도자원 및 운영규정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지연자체가 원인이 되어 해당 열차의 후속일정 및 이후 열차들까지 파급확산되는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동희, 홍순흠(2008), “도시철도 운행역에서의 정차시분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 Michael Pead(2007), “The impact of boarding and alighting passengers on the dwell time at railway stations,” Aston University Online Document, www.michaelpead.co.uk/writing 

  3. N. G. Harris and R. J. Anderson(2007),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urban rail boarding and alighting rates,” Proc. IMechE Vol. 221 Part F: J. Rail and Rapid Transit 

  4. Andre Puong(2004), Dwell Time Model and Analysis for the MBTA Red Line, UC Berkeley Center for Future Urban Transport, MIT's Open Course Ware project, Assignments for 1.258. Last accessed October, 2004 at http://ocw.mit.edu 

  5. Zhang Qi, Han Baoming, and Li Dewei(2008), “Modeling and simulation of passenger alighting and boarding movement in Beijing metro st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16. 

  6.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2005), Passenger Flow and Train Dwell Time, http://www.wmata.com 

  7. William H.K. Lam, Chung-Yu Cheung, and C.F. Lam(1999), “A study of crowding effects at the Hong Kong light rail transit st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3 

  8. 오석문, 김형진(2005), “서울시 혼잡 지하철역의 승하차 시간 분석,”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