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합소리 유형에 따른 H-reflex변화와 MVIC변화 분석
A Study on H-reflex Change and MVIC Change Depending upon Shouting Type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9 no.4, 2009년, pp.655 - 661  

정익수 (충남대학교) ,  오정환 (충남대학교) ,  이동진 (충남대학교) ,  이건희 (충남대학교) ,  이진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합소리를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인체내부의 근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H-reflex방법과 대퇴직근의 MVIC측정을 하여 추후 충격력과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최적의 기합소리의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설계하였다. 가자미근 H반사는 정강신경이 지나가는 오금에 전기자극을 주어 유발하였고, 표면근전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결과 기합 없이 측정한 결과 보다 기합을 지르면서 측정 시 28%증가하였고, 기합을 짧게 지른 직후 측정한 결과 29%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근전도 측정은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Rectus femoris)에 표면전극을 부착해 MVIC를 측정한 결과 기합의 유형에 따라 10%와 1%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기합이 운동신경효율성(H-reflex)과 MVIC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근력증대에 긍정적인 요인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근력증대의 변인 중 기합소리뿐만 아니라 호흡과 관련된 연구, 뇌파와 관련된 연구 등 일반화시킬 수 있는 많은 변인들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houting actions on the strength of the human body. Both H-reflex and MVIC measures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were used to investigate effects on impact force and motor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optimum shouting methods. The H-reflex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합소리의 세가지 유형에 따른 H-reflex변화와 EMG변화를 분석하여 이후 최대 근력을 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기합소리의 방법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추후 기합을 이용하는 많은 스포츠 종목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합 소리의 3가지 유형에 따른 H-reflex 변화와 MVIC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후 최대 근력을 발현할 수 있는 최적의 기합소리의 방법을 찾고자 진행된 연구이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최대근력은 근육의 수축속도 각도 신장정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의 최대 근력은 등척성 수축 방법을 통한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한 충격력을 검증하고자 시행한 사전연구로서 해부학적으로 주동는이라고 생각되는 근육 중 본 연구에서는 대퇴직근만을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태권도 동작 수행에서 주동근으로 사용되어진 근육 모두를 면밀히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합소리의 유형 즉, 기합없이 수행, 기합을 지르면서 수행, 기합을 짧게 지른 직후 수행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 H-reflex변화와 대퇴직근의 EMG변화를 분석하여 추후 충격력과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 연구대상자는 기합사용의 유무에 따른 개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스포츠 종목가운데서도 가장 빈번히 기합을 사용하는 대학엘리트 태권도 겨루기 선수 6 명을 선정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기합소리가 충격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학적 검사상 이상소견이 없는 평균경력이 10년 이상이고 4단 이상의 선수로서 세부적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인 특성은<표 1>과 같다.
  • 근력의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H-reflex측정 자료와(Chestnut & Docherty, 1999; Hakkinen, 1989; Sale, 1988) MVIC값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 근력의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내고 있다. 이는 H-reflex의 측정으로 태권도에서의 기합이 얼마나 더 많은 운동 뉴우런을 동원 할 수 있는 가를 밝히고 EMG방법을 통해 근력의 활성정도를 비교함으로써 기합의 사용이 근력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다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경환, 윤준구(2001). 기합이 운동 신경 효율성의 변화와 근력 증대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2(4), 85-93. 

  2. 김규호, 박승한, 김정기, 김의식, 허용, 김진형(2006).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등속성 대퇴근력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7(4), 425-431. 

  3. 김규호, 박승한, 반부근(2007). 초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체력과 등속성 대퇴근력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8(2), 557-562. 

  4. 김이수(2004). 동양무예에 있어서 기합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43(3), 41-51. 

  5. 문영진, 이순호, 임비오(2007). 역도 인상동작 수행시 바벨 증가에 따른 EMG 경향성에 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1-12. 

  6. 박장규(2005). 태권도 선수들의 대퇴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335-343. 

  7. 신성휴, 박기자, 권문석, 김태완(2004). 태권도 발차기 분류에 따른 Muscle Activity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4), 497-507. 

  8. 윤상진(2006). 원거리 근수축이 H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9. 이상철(1992). 배근력 측정시 기합과 경쟁부여가 최장근의 근전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31(1), 385-390. 

  10. 이종호, 이창섭(1983). 기합소리와 근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지, 10(1), 99-107. 

  11. 이충영(2004). 12주간 웨이트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틀이닝이 태권도선수의 대퇴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2693-2705. 

  12. 이충영(2005). 대학교 태권도 선수의 체중감량 수준이 대퇴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161-168. 

  13. 최창국, 권영진(1983). 기합이 근력증가에 주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22(2), 2161-2166. 

  14. 황수진(2006). 기립자세에서 체중부하량에 따른 가자미근 호프만반사의 변화.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5. Chestnut, J. L., & Docherty, D.(1999). The effects of 4 and 10 repetion maximum weight training protocols on neuromuscular adaptations in untrained 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3(4), 353-359. 

  16. Hakkinen, K.(1989). Neuromuscular and hormonal adaptations during strength and power training: A review.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29(1), 9-26. 

  17. Sale, D. G.(1988). Neural adaption to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5), 135-145. 

  18. Williams, L. R. T., Sullivan S. J., Seaborne, D. E., & Morelli, M.(1992). Reli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for H-reflex recordings. Electromyography Clinical Neurophysiology, 32, 4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