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두흡수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사진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Clinical Assessment, Panoramic and MRI Findings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4 no.4 = no.77, 2009년, pp.409 - 420  

장헌수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허윤경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김균요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고유정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채종문 (원광대 대전치과병원 교정학교실) ,  최재갑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 한 해 동안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내원한 하악과두흡수 환자 중에 MRI를 촬영한 4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관절원판의 위치와 과두의 흡수 형태를 조사했으며 그리고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평가 1) 여자가 34명, 남자가 8명으로 여자가 훨씬 많았으며, 이들의 연령분포는 10대가 14명, 20대가 13명, 30대가 7명, 40대가 3명, 50대가 4명 그리고 60대가 1명 이었고 10대와 2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 대부분의 환자가 이상기능활동을 보고했다. 3) 다른 관절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5명 있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 받은 경우는 없었다. 2. 파노라마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평가 1) 파노라마로 하악과두 골변화 관찰시에 과두의 편평화나 침식, 과두형태의 변형이 초래된 Grade II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 MRI를 촬영해 관절원판의 변위 여부와 과두형태 변화를 관찰 시에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소견과 퇴행성 골변화가 동반된 stage IV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3. 악안면 골격 형태 평가 1) 여자 환자에서는 SN, SAr, saddle angle의 값이 정상군 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고, 남자에서는 SN만이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2) SNA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SNB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작은 값, ANB는 남녀 모두에서 $4.9^{\circ}$로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3) 남녀 모두 SN-GoMe, FMA의 각도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컸으며 FMA는 남자는 평균 $28.9^{\circ}$, 여자는 평균 $31.2^{\circ}$로 여자에서 수직적 성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 총후안면고경(TPFH)은 남녀 모두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5) Ramus height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6) Mandibular body length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들 결과들로 하악과두흡수는 소인인자로 수직적 악안면 골격형태로 인한 부하의 집중과 이상기능활동 증가로 측두하악 관절에 기계적 과부하가 가해져 과두흡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부하는 과두흡수가 발생하기 전에 관절원판을 변위시키고 형태를 변화시키며 이로써 관절은 부하를 받아들이기에 더 취약한 구조가 되어 부하가 가해지면 과두흡수가 촉진되리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assessment, panorama & MRI findings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42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who visi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t 200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linical 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2006년도에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전체 환자에서 파노라마와 측방횡두개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하악과두 흡수가 관찰된 환자 중에 자기공명영상(MRI) 사진을 촬영한 4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관절원판의 위치와 과두의 흡수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그리고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하악과두흡수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악과두의 흡수를 보이는 질환 중 골관절염이란? 하악과두흡수는 과두의 형태 변화와 크기 감소가 일어나 하악과두의 관절면이 파괴되고 변형이 유발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하악과두의 흡수를 보이는 질환 중 골관절염은 측두하악관절에 이환되는 염증성 질환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퇴행성 골관절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과두흡수를 동반하는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날 경우 환자가 겪게 되는 증상으로는 통증, 개구제한, 관절음, 교합 불편감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안면비대칭, 전치부 개방교합, 하악 후퇴 등1,2)도 나타날 수 있어 이러한 변화가 초래되면 임상 적으로 해결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하악과두흡수 환자중에 MRI를 촬영한 4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관절원판의 위치와 과두의 흡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임상적 평가는 어떠한가? 1. 임상적 평가 1) 여자가 34명, 남자가 8명으로 여자가 훨씬 많았으며, 이들의 연령분포는 10대가 14명, 20대가 13명, 30대가 7명, 40대가 3명, 50대가 4명 그리고 60대가 1명 이었고 10대와 2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 대부분의 환자가 이상기능활동을 보고했다. 3) 다른 관절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5명 있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 받은 경우는 없었다. 2.
하악과두흡수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하악과두흡수는 과두의 형태 변화와 크기 감소가 일어나 하악과두의 관절면이 파괴되고 변형이 유발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하악과두의 흡수를 보이는 질환 중 골관절염은 측두하악관절에 이환되는 염증성 질환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퇴행성 골관절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uang YL, Pogrel MA, Kaban LB.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ndylar resorption.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2):114-120 

  2. Norman JED, Bramley P. A textbook of colour atla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olfe 1990:69-77 

  3. Stegenga B, de Bont LG, Boering G. Osteoarthrosis as the cause of craniomandibular pain and dysfunction:a unifying concept. J Oral Maxillofac Surg 1989;47:249-256 

  4. Stegenga B, de Bont LG, Boering G, van Willigen JD. Tissue responses to degenerative chang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 review. J Oral Maxillofac Surg 1991;49:1079-1088 

  5. de Bont LG, Stegenga B. Pathology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and osteoarthrosi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3;22:71-74 

  6. Tanne K, Tanaka E, Sakuda M. Stress distributions in the TMJ during clenching in patients with vertical discrepancies of the craniofacial complex. J of Orofacial Pain 1995;9:153-160 

  7. Lin HY.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patients with rheumatic arthritis. J Chin Med Assoc 2007;70(12):527-534 

  8. Wilkes CH.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logical variation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9;115:469-477 

  9. Broods SL, Westesson PL. Temporomandibular Joint:Value of coronal MR Imaging. Radiology 1993;188:317-321 

  10. Tasaki MM. Classification and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displacement in patients and symptom-free volunteer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6;109:249-262 

  11. 대한치과교정학회.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연구 결과보고서. 부정교합백서발간위원회 

  12. 구 선주, 김균요, 허 윤경, 채 종문, 최 재갑. 하악과두흡수 환자의 임상적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9;34(1):91-102 

  13. Kasper et al. Harrison's prince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vol.2, 2006. McGrow-Hill, pp.2397-2407 

  14. Takada K, Lowe AA, Freund VK. Canonical correlations between masticatory muscle orientation and dentoskeletal morphology in children. Am J Orthod 1984;86:331-341 

  15. De Bont LGM, Boering G, Leim RSB, Eulderink F, Westesson PL et al. Osteoarthritis and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 light microscopic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1986;44:634-643 

  16. Larheim TA. Rol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ells Tissues Organs 2005;180:6-21 

  17. Schellhas KP.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Radiologic staging with clinical, surgical, and pathologic correlation. Magn Reson Imaging. 1989;7:495-515 

  18. Worth HM. Radiolog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Zarb GA, Carlsson GE, editors: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dysfunction, St Louis, 1979, Mosby, pp. 321-372 

  19. Langland OE, Langlais R, Morris CR. Principles and practice of Panoramic Radiology. WB Saunders Co 1982;426-429 

  20. Hatcher DC. Craniofacial imaging. J Calif Dent Assoc 1991;19:27-34 

  21. 이 현경, 정 규림, 박 영국. 수직적 분류에 의한 골격성III급 부정교합자의 측모특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지 1992;22:205-226 

  22. 배 근욱. 유 영규. 악안면 두개골격의 수직 수평적 부조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지 1988;18:175-187 

  23. Hideki I. TMJ osteoarthritis/osteoarthrosis and dentofacial morphology in Japanese females. Orthodontic waves 2006;65:101?106 

  24. Schellhas KP. Pediatric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Effect on facial development. Am J Orthod and Dentofac Orthop 1993;104:51-59 

  25. Nickerson JW, Boering G. Natural course of osteoarthrosis as it relates to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Oral Maxillofacial Surgery Clin North Am 1989;1:27-45 

  26. Nickerson JW, Moystad A. Observation on individuals with radiographic bilateral condylar remodeling. J. Craniomandibular Pract 1982;1:21-37 

  27. Stringert HG, Worms FW. Variations in skeletal and dental patterns wi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 preliminary report. Am J Orthod 1986;89:285-297 

  28. Burch JG, Tallents RH, Wade DB, Beck FM.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of asymptomatic volunteers and symptoma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b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displacement. Am ortho-DO 1988;248-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