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은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증의 한 형태로, 저작근, 안면근 또는 혀 근육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근경련이 발생하여 불수의적인 개구 및 폐구, 악골의 측방 및 후퇴운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환자의 경우, 저작, 연하 및 발음을 하는데 불편감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하악 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근긴장이상증에 대한 병태생리가 뚜렷히 입증된 바가 없어, 원인에 관련한 치료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약물요법, 행동요법, 외과적 처치 등 다양한 방법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성공률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며,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근육에 보툴리눔 톡신을 이용한 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증례를 통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을 중심으로 한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을 시행하고 해당 질환에서의 보툴리눔 톡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omandibular dystonia is a focal neurological movement disorder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sustained and often painful muscle contraction, usually producing repetitive movements or abnormal positions of the mouth, jaw and.or tongue. Patients suffering from oromandibular dystonia often experi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를 통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을 중심으로 한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을 시행하고 해당 질환에서의 보툴리눔 톡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은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증의 한 형태로, 저작근, 안면근 또는 혀 근육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근경련이 발생하여 불수의적인 개구 및 폐구, 악골의 측방 및 후퇴운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1-3)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환자에 대한 진단 및 치료가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러나 현재까지는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진단 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각 질환간의 감별은 다분히 임상가의 주관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8) 실질적으로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환자가 상당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가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이유는, 발현되는 임상 양상이 다양하고, 현재까지 뚜렷한 병태생리적 원인이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환자가 유발요인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또는 증상이 발현되기까지 잠복기간이 긴 경우, 평생 환자가 복용한 약이나 전신 상태를 파악하지 않는 이상, 또한 그것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다른 원인에 의해 증상이 발현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 진행의 어려움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연령 및 성별 간 발병 특징은 어떠합니까? 질환의 발병은 30대에서 70대까지 광범위하게 발병하나 주로 60대에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 2배 가량 호발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olosa E, Marti MJ. Blepharospasm-oromandibular dystonia syndrome (Meige's syndrome): clinical aspects. Adv Neurol 1988;49:73?84 

  2. Jankovic J. Etiology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blepharospasm and oromandibular dystonia. Adv Neurol 1988;49:103?116 

  3. Cardoso F, Jankovic J. Peripherally induced tremor and parkinsonism. Arch Neurol 1995;52(3):263?270 

  4. Michelotti A, Silva R, Paduano S, Cimino R, Farella M. Oromandibular dystonia and hormonal factors:twelve years follow-up of a case report. J Oral Rehabil. 2009;36(12):916-921 

  5. Berardelli A, Rothwell JC, Hallett M, Thompson PD, Manfredi M, Marsden CD. The pathophysiology of primary dystonia. Brain. 1998;121:1195-1212 

  6. Balasubramaniam R, Ram S. Orofacial movement disorders.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08;20(2):273-285 

  7. Blanchet PJ, Abdillahi O, Beauvais C, Rompre PH, Lavigne GJ. Prevalence of spontaneous oral dyskinesia in the elderly: a reappraisal. Mov Disord 2004; 19(8):892?896 

  8. Klawans HL, Tanner CM, Goetz CG.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ardive dyskinesias. Adv Neurol 1988;49:185?197 

  9. Bassett A, Remick RA, Blasberg B. Tardive dyskinesia: an unrecognized cause of orofacial pai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6;61(6):570?572 

  10. 유지원, 윤창륙, 조영곤, 안종모.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임상적 증상 발현.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8;33(4):375-382 

  11. Logroscino G, Livrea P, Anaclerio D, et al. Agreement among neurologists on the clinical diagnosis of dystonia at different body sit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3;74(3):348?350 

  12. Derogatis LR, Lipman RS, Rickels K, Uhlenhuth EH, Covi L.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 (HSCL): a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Behav Sci 1974;19(1):1?15 

  13. Epidemiologic Study of Dystonia in Europe (ESDE) Collaborative Group. Sex related influences on the frequency and age of onset of primary dystonia. Neurology. 1999;53:1871?1873 

  14. Watts MW, Tan EK, Jankovic J. Bruxism and cranial-cervical dystonia: is there a relationship? Cranio 1999;17(3):196?201 

  15. Thompson PD, Obeso JA, Delgado G, Gallego J, Marsden CD. Focal dystonia of the jaw and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unilateral jaw and masticatory spasm.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6;49(6):651?656 

  16. Wang A, Jankovic J. Hemifacial spasm: clinical findings and treatment. Muscle Nerve 1998;21(12):1740?1747 

  17. Jankovic J, Ford J. Blepharospasm and orofacialcervical dystonia: clinical and pharmacological findings in 100 patients. Ann Neurol 1983;13(4):402?411 

  18. Osborne TE, Grace EG, Schwartz MK. Sever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econdary to the effects of tardive dyskinesia: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Cranio 1989;7(1):58?62 

  19. Clark GT, Stiles A, Lockerman LZ,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use of botulinum toxin in orofacial pain disorders. Dent Clin North Am 2007;51(1):245?261 

  20. Tan EK, Jankovic J. Botulinum toxin A in patients with oromandibular dystonia. Long term follow up. Neurology.1999;53:2102-2107 

  21. Bridayasiri R, Cardoso F, Truong DD. Botulinum toxin in blepharospasm and oromandibular dystonia:comparing different botulinum toxin preparations. Eur J Neurol. 2006;13:21?29 

  22. Singer C, Papapetropoulos S. A comparison of jawclosing and jaw-opening idiopathic oromandibular dystonia. Parkinsonism Relat Disord. 2006;12:11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