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I):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수량 분석
Analysi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the region of Gangwon with Spatial Analysis (II): Analysis of Quantiles with Interested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9 no.6, 2009년, pp.99 - 109  

정창삼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  엄명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허준행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 정확한 극치강수분포를 파악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재해를 예방하고자 지역빈도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확률강수량과 공간분석을 통하여 강원도의 강수분포를 분석하였다. 강수자료는 강원도내 기상청 관할의 66개 관측소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역빈도해석결과 GLO 분포형이 강원도에 가장 적합한 분포형으로 나타났다. 강수분포를 지속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설악동, 대관령 및 청일 일원에서 높은 확률강수량을 나타내었으며, 지속기간에 따라서 강수의 공간분포가 확연히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현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재현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역별 강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강원도 강수분포를 공간분석한 결과 영동지방에서는 일관적으로 높은 강수량이 발생하였으나 영서지방에서는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역별 강수량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지역빈도해석 이외에 다양한 지리 및 기상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ft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le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to find out the detail distribu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for preventing the disaster in the region of Gangwon. The hourly precipitation data of 66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빈도해석에 동질 지역이란 지형학적인 의미가 아닌 통계적 특성이 동일한 지점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 내 지점들이 수문학적인 동질성을 가지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이질성 척도를 산정한다. 동질지역에서 이산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이질성 척도 H는 자료의 이산도(Dispersion)를 모의 발생시킨 평균과 이산 u도의 차, 그리고 모의 발생시킨 표준편차의 비로 정의한다(Hosking, 199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에 대하여 공간분석을 통하여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의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확률강수량은 지역빈도해석 기법인 지수홍수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강수지역구분은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I): 강수지역 구분과 계절별 및 연평균 강수량 분석’ 결과를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N개의 지점을 보유한 지역에서 자료개수 ni를 갖는 지점 i에 대하여 Qi,j, j = 1,···ni의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 동질성을 가진 지역에서의 모든 지점은 같은 모집단 L-모멘트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표본의 변동성으로 인하여 표본 L-모멘트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질성을 가진 지역에서 예측되는 이산도는 그룹의 표본 L-모멘트간의 이산도 및 각 지역 내 모집단의 이산도로 산정할 필요가 있다.
  •  지역빈도해석을 위하여 사용하는 여러 지점의 자료는 동질성있는 지역 내의 자료로 간주한다. 즉, 각 지점별 자료의 규모는 다르지만 동일한 분포형으로부터 추출된 자료라 가정한 후 각 지역의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한다. 동질성있는 자료에 대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는 다음과 같다.
  • 군집화한 지역의 이질성 척도 H1, H2, H3을 산정한 결과 모든 경우 1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고, 지역 I의 지속기간 3시간 및 6시간의 H1값을 제외한 모든 지속기간에 대하여 0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빈도해석시 강원도 지역에서 군집분석으로 구분된 강수지역 모두에 대하여 동질한 지역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빈도해석에 동질 지역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역빈도해석에 동질 지역이란 지형학적인 의미가 아닌 통계적 특성이 동일한 지점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 내 지점들이 수문학적인 동질성을 가지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이질성 척도를 산정한다.
지역빈도해석은 어떤 방법인가? 지역빈도해석은 확률수문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 지점빈도해석을 보완한 방법으로 자료 보유기간이 비교적 짧아 자료보유기간보다 긴 재현기간에 대한 설계수문량 산정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서 설계수문량을 재산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이다. 지역빈도에 사용되는 여러 지점의 자료는 동질한 지역의 자료로 각 지점별로 규모는 다르지만 동일한 분포형으로부터 추출된 자료로 간주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5가지 확률분포형을 적용한 적합성 척도가 어떨 경우에 해당 분포형에 대하여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하여 적정분포형에서 제외시켰는가? 본 연구에서는 적정 분포형 산정을 위하여 Generalized Logistic (GLO),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eneralizd Normal (GNO), Pearson Type Ⅲ (PTⅢ), Generalized Pareto (GPA) 등의 5가지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각 분포형을 적용한 적합성 척도가 절대값 1.64를 넘을 경우 해당 분포형에 대하여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하여 적정분포형에서 제외시켰다. Table 4에 본 연구에 적용한 분포형의 확률밀도함수(Partial Density Function, PDF)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윤헤선, 엄명진, 조원철, 허준행 (2009) 지역빈도해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2권, 제6호, pp. 465-480 

  2. 허준행, 이영석, 남우성, 김경덕(2004) 한강유역에 대한 강우지역 빈도해석의 적용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68-172 

  3. Bradley, A.A. (1998), Regional Frequency Analysis Methods for Evaluating Changes in Hydrologic Extremes, Water Resour. Res., Vol. 34, No. 4, pp. 741?750 

  4. Cunnane, C. (1989) Statistical distribution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Operational, Hydrol. Rep. No. 33, WMO Publ. No. 718, Geneva, pp. 73 

  5. Darlymple, T. (1960) "Flood-Frequency Analyses", Water Supply Paper 1543-A, U. S. Geological Survey, Reston, USA 

  6. Fowler, H.J. and Kilsby, C.G. (2003) A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united kingdom extreme rainfall from 1961 to 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pp. 1313-1334 

  7. Heo, J.-H., Boes, D.C. and Salas, J.D. (1990) Regional Flood Frequency Modeling and Estimation, Water Resour. Pub., No. 101,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lorado, U.S. 

  8. Hosking, J.R.M. (1990) "L-moments: Analysis and estimation of distribution using linear combinations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 pp. 105-124 

  9. Hosking, J.R. and Wallis, J.R.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 Approach based on L-Mo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Institute of Hydrology(1999) Flood estimation handbook, Institute of Hydrology, Wallingford, UK 

  11. Norbiato D., Borga, M., Sangati, M. and Zanon, F. (200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precipitation in the eastern Italian Alps and the August 29, 2003 flash flood, Journal of hydrology, Vol. 345, pp. 149-166 

  12. U.S. Water Resources Council (1981) Guidelines for determining for flood flow frequency. Bulletin 17B, Hydrology Committee, Washington, D.C 

  13.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Council (1975) Flood studies report: Vol. 1 Hydrological studies, London 

  14. Wallis, J.R., Schaefer, M.G., Barker, B.L. and Taylor, G.H. (2007) Regional precipitation-frequency analysis and spatial mapping for 24-hour and 2-hour durations for Washington State, Hydrology & Earth System Sciences, Vol. 11, No. 1, pp. 415-4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