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지역 시험유역에 대한 RUSLE 인자특성 분석 (I) - 강우침식능 인자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RUSLE Factors based on Measured Data of Gangwon Experimental Watershed (I)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9 no.6, 2009년, pp.111 - 117  

이종설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정재학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국내 실무에서는 RUSLE 공식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식의 각 매개변수에 대한 국내의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공식의 매개변수 중 강우침식능 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우침식능 인자는 강우의 총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의 곱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강원지역 시험유역의 토사유출량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10개의 강우에너지 산정식의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총강우량, 최대 강우강도, 총 에너지, 토사유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 공식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9년 동안의 10분 단위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릉지역 30분 강우강도와 60분 강우강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has been most widely used to estimate sediment yield in Korea. However RUSLE factors have not been verified based on measured data of sediment yiel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the rainfall erosivity factor R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험유역의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표 1의 강우에너지 산정식 (5)~(14)를 42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적용하여 총 강우에너지 E와 R을 산정하고 이를 최대강우강도 Imax, 총강우량 P, 관측토사유출량 Qms와의 비교를 통해 강우 에너지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다음 표 2는 P와 E, Imax와 E의 결정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P와 E는 식 (7)에 의해 산정된 E가 P와 가장 상관성이 높으며, Imax는 식 (12)에 의한 것이 가장 상관성이 높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RUSLE공식의 매개변수, 특히 강우침식능 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시험유역에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단일호우기반으로 관측된 토사유출량을 이용하여 RUSLE 공식의 적용성 및 각 인자의 민감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국내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RUSLE 공식의 매개변수 중 강우침식능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침식능 인자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RUSLE 공식의 매개변수 중 강우침식능 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우침식능 인자는 강우의 총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의 곱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강원지역 시험유역의 토사유출량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10개의 강우에너지 산정식의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총강우량, 최대 강우강도, 총 에너지, 토사유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 공식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산지환경이 급변하는 지역의 하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매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대형 산불, 지역개발에 따른 건설활동, 산림관리를 위한 대규모 벌목 등과 같이 산지환경이 급변하는 지역의 하류에서는 토사재해의 위험성이 매우 높고, 특히 집중호우시 하천으로 다량 유입되는 토사로 인해 하천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국내 실무에서는 RUSLE 공식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데,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가?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국내 실무에서는 RUSLE 공식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식의 각 매개변수에 대한 국내의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공식의 매개변수 중 강우침식능 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남정만, 김한종, 김준호 (2006)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의 토양침식인자 추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 해양과환경연구논문집, 제30권 제1호, pp. 47-58 

  2. 노재경, 권순국 (1984) 강우특성을 이용한 강우에너지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농학연구, 제9권, 제2호, pp. 23-31 

  3. 손광익 (2001) 해외 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 - RUSLE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4(3), pp. 199-207 

  4. 임재영, 서규우, 송일준, 송무효 (2000) USLE 계열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산업기술연구지, 제14권, pp. 61-71 

  5. Brown, L.C. and Foster, G.R. (1987) Storm erosivity using idealized intensity distribu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0, pp. 379-386 

  6. Carter, C.E., Greer, J.D., Braud, H.J. and Floyd, J.M. (1974) Raindrop characteristics in south central United States, Transactions of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17, pp. 100-103 

  7. Jayawardena, A.W. and Rezaur, R.B. (2000) Drop size distribution and kinetic energy load of rainstorms in Hong Kong, Hydrological Processes 14, pp. 1069-1082 

  8. Onega, K., Shirai, K. and Yoshinaga, A. (1988) Rainfall erosion and how to control its effects on farmland in Okinawa, In Rimwanich, S.(eds), Land conservation for future generations, Department of Land Development, Bangkok, pp. 627-639 

  9. Rosewell, C.J. (1986) Rainfall kinetic energy in eastern Australia,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5, pp. 1965-1971 

  10. van Dijk, A.I.J.M, Bruijnzeel, L.A. and Rosewell, CJ. (2002) Rainfall intensity-kinetic energy relationships :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Hydrology 261, pp. 1-23 

  11.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reosion losses: A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 Dep. Agric., Agric. Handb. No. 537 

  12. Zanchi, C. and Torri, D. (1980) Evaluation of rainfall energy in central Italy, In De Boodt, M. and D. Gabriels(eds), Assessment of erosion, Wiley, London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