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 실태 및 북스타트를 통한 서비스 확대 가능성 연구
A Study on Exploring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the Possibilities of Service Expansion through Bookstar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3 no.4, 2009년, pp.139 - 161  

김수연 (대원대학) ,  강정아 (제천기적의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 실태를 분석하고, 특히 북스타트가 영아 대상 서비스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회원 등록기준을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어린이실 사서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76명)와 면접조사(14명)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 공공도서관의 회원 등록은 출생 직후부터 초등학생까지를 기준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영아를 포함하지 않는 도서관이 있었다. 도서관에서 만36개월 미만 영아들을 위한 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가 54.8%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도서관 첫 이용 시기로 영아기(44.0%)보다 유아기(52.0%)를 더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도서관 사서들은 북스타트의 취지에 적극 동의하고 있었으며(100%), 북스타트가 시행되어야 할 가장 적합한 장소로 도서관을 꼽은 비율이 82.4%이다. 넷째, 북스타트 도입 이후 영아 서비스 확대, 지역사회 및 아기 양육자 인식 변화, 사회적 공동 육아 실현, 이용 횟수 증가, 사서의 독서지도 및 프로그램 기획 역할 강화, 영 유아 조기 독서습관 형성에 기여, 도서 대출량 증가, 가족 이용자의 증가 등 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 내용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the possibilities of service expansion through Bookstart as a cooperation system for libraries. This study presented the problems of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toddlers by i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in-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 실태를 분석하고, 특히 북스타트가 영아 대상 서비스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회원 등록기준을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어린이실 사서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76명)와 면접조사(14명)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 공공도서관의 회원 등록은 출생 직후부터 초등학생까지를 기준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영아를 포함하지 않는 도서관이 있었다. 도서관에서 만36개월 미만 영아들을 위한 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가 54.8%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도서관 첫 이용 시기로 영아기(44.0%)보다 유아기(52.0%)를 더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도서관 사서들은 북스타트의 취지에 적극 동의하고 있었으며(100%), 북스타트가 시행되어야 할 가장 적합한 장소로 도서관을 꼽은 비율이 82.4%이다. 넷째, 북스타트 도입 이후 영아 서비스 확대, 지역사회 및 아기 양육자 인식 변화, 사회적 공동 육아 실현, 이용 횟수 증가, 사서의 독서지도 및 프로그램 기획 역할 강화, 영 유아 조기 독서습관 형성에 기여, 도서 대출량 증가, 가족 이용자의 증가 등 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 내용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영아기란? 영아기는 인지적 성장과 언어발달이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초기의 뇌 발달 연구는 영․유아에게 말하기, 노래, 읽기는 언어와 말하기 습득 할 수 있는 명백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칙은 무엇인가?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칙에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는 어린이의 인종, 국적, 종교, 성별, 연령, 능력, 경제적 배경, 교육 정도, 신체적 특성 등에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에게 차별 없이 제공되어야 하며, 어린이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공간, 자료, 인력, 프로그램 등은 어린이 이용자의 연령, 성별, 학년, 흥미, 생활환경 등을 고려하여 특성과 요구에 맞게 조화롭게 운영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김종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경기광주시립도서관 홈페이지. . 

  2. 구미시립도서관 형곡 본관 홈페이지. . 

  3. 국가통계포털. . 

  4. 금산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5. 김영석. 2004. 영국 북스타트 운동의 의의와 그 추진 현황-셰필드 북스타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291-313. 

  6. 김종성. 2008.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리에 관한 연구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 라인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69-492. 

  7. 대구광역시립남부도서관 홈페이지. . 

  8. 대구광역시립달성도서관 홈페이지. . 

  9. 대구광역시립대봉도서관 홈페이지. . 

  10. 대구광역시립두류도서관 홈페이지. . 

  11. 대구광역시립동부도서관 홈페이지. . 

  12. 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홈페이지. . 

  13. 대구광역시립서부도서관 홈페이지. . 

  14. 대구광역시립수성도서관 홈페이지. . 

  15.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 

  16. 대구학생문화센터 홈페이지. . 

  17.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홈페이지. . 

  1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9 시행계획. [서울] :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9. 설리반 마이클. 2007. 어린이사서의 서비스 제공 대상은 누구인가? 어린이 서비스의 기초. 국립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옮김.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원전: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20. 부평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21. 북스타트 코리아 홈페이지. . 

  22. 북스타트 코리아. 2008. 2008 북스타트 코리아 전국대회 자료집(미간행). [서울]: 북스타트 코리아. 

  23. 북스타트 코리아. 2009. 북스타트 시행기관 통계. 북스타트 코리아 워크숍 자료집(미간행). 서울: 북스타트 코리아. 

  24.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홈페이지. . 

  25. 서일민 외 1. 2007. 이야기를 통한 어린이도서관 다문화 서비스. 제2회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6. 순천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27. 카렌 M, 벤추렐라. 2002. 도서관을 통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12가지 도서관 활동 이야기. 도서관운동연구회 옮김. 서울: 한울아카데미. 

  28. 유네스코. 1995. "유네스코 공공도서관 선언." [2009.8.30인용].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29. 육길나, 김숙령. 2009.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의 어머니 행동 특성과 영아의 행동 특성 및 애착 안정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9(5): 95-118. 

  30. 익산시립도서관 홈페이지. . 

  31. 전주시립도서관 홈페이지. . 

  32. 전효정 외. 2004. 초기 언어발달에 있어 환경적 영향의 특수성. 아동학회지, 25(5): 163-178. 

  33. 정독도서관 홈페이지. . 

  34. 제주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35. 제천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36. 진해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37. 천안시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 

  38. 청주기적의도서관 홈페이지. . 

  39. 한국 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편). 2003. 공공도서관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40.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41. 홍현진, 강미희, 정미봉, 정대근. 2009. 어린이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을 위한 도서관 실태 조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53-90. 

  42. Hill, S. 2006. "Baby Bounce: The Little Big Book Club way to begin literacy for children 0-2 years. Paper presented at the Early Literacy Research Symposium,"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Chicago, April 29-May 5 2006. 

  43. IFLA(2008). Professional Report 100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Babies to Toddler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44. Gill, P.(ed.)(2001). Public Library Service-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Munchen: Sau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